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의력 신장을 위한 오브제 활용 미술수업 지도방안 -중학교 교육과정 중심으로- = Art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Objects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Focusing on Middle School Educ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03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오브제를 활용한 수업 활동을 지도하여 창의신장의 효과를 배가시키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미술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구...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오브제를 활용한 수업 활동을 지도하여 창의신장의 효과를 배가시키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미술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적 인 형상 찾기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창의력 신창을 위한 오브제 활용 미술수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풍에 활용할 오브제를 직접 찾도록 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절약에 대한 올바른 사고와 흥미를 이끌어 내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참여도 또한 높다. 또 오브제라는 표현양식을 가지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문제를 참신한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 신장을 위하여 오브제의 이해를 바탕요로 미적, 11험, 표현, 강상 영역이 연계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오브제 활용 미술수업 지도과장에 있어 창의적 문제 해결 법을 적용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적 표현을 최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는 점은 주요한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는 오브제 활용 미술수업이 단순한 그리기나 만들기 위주의 편향적 수업 진행을 지양하고 다양한 물성체험을 통해 대상을 확대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 education is one of core subjects that help students develop creativity and its key task is to present active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on the field of teaching. But, art education based on this idea has been neglected on the fie...

      Art education is one of core subjects that help students develop creativity and its key task is to present active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on the field of teaching. But, art education based on this idea has been neglected on the field of schooling due to factors of academic environment in curriculum and class hours. The essence of art education is not merely in cultivation of esthetic emotion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artists but in cultivation of artistic gift, ability and creativity inherent in everyone. This research is aimed to double the effect of creativity development through the use of objects in art class for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focuses on seeking practical and concrete ways for them to participate in art class. The effects of art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objects are as follows. For starters, the use of objects is very effective in drawing interests from students as it is linked directly with their daily lives. Moreover, it is possible to have students participate in art class by encouraging them to look for objects used in schooling for themselves, The use of objects in art education is principal media of schooling that provide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can conceive their own way of self-expression by accepting diversity and variability and at the same time, it can promote creative thinking. They come to have a fresh approach to a problem on the basis of various information and ideas with the form of expression called the object. Through this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above effects, we find that art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objects can extend the activities from simple painting or making things to visual and tactual experience with objects. Besides, it offers concrete ways to maximize creative expression of learners through idea exploration and elaboration process by help of the method for creative solution for a proble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