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경림 시에 나타난 수몰고향의 로컬리티 연구 = Study of the Locality of Submerged Hometown in Sin Gyeng-Rim’s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7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 Gyeng-Rim takes a socio-historical insight on life as the main material of his poems, rather than an exploration of his ego to the extent that he defines his works as social poetry. Thus, it is necessary to read places in his poetry from the persp...

      Sin Gyeng-Rim takes a socio-historical insight on life as the main material of his poems, rather than an exploration of his ego to the extent that he defines his works as social poetry. Thus, it is necessary to read places in hi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laceness, that is, locality of the surrounding areas discriminated as others from the central power,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m as places having his personal lyricism. In other words, Sin Gyeng-Rim produced works with his reflection on the spatial view according to the state’s development-oriented view in the 1980s through the placeness of his submerged hometown.
      The violence of the central power destroys the placeness of the local area and becomes concrete through the various ways in which the residents experience the place. Sin Gyeng-Rim visits his hometown at the crisis of submergence and experiences his past sticking in the place on the dimension of existential internality. In addition, he, who knows the geography of his hometown and each of the situations in which the residents are placed, meets and understands the essential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identity of the area to be submerged as an empathetic insider. Here, he materializes the changes that his hometown suffers, not by the inherent and original characteristics of his hometown, but from the influence of the state powe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undary.
      Ultimately, the locality of his submerged hometown, revealed through Sin Gyeng-Rim’s memories and representation is to make works of art with the anger and the sense of loss of the residents in the submerged area,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central viewpoint and to reinstate their lives. Currently, in the village submerged by Chungju Dam, the Namhan-gang riverside landscape, which had been beautiful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dam, was destroyed and left as a mud flat, which rather spoils its image as a tourist destination, so it experiences a deteriorated locality. Therefore, a study on the locality of the submerged hometown in his poetry becomes a realistic and practical work that puts the development plans of the central power, not considering the placeness of the local area on the brakes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submerged area because of the construction of Chungju Dam with such a series of iss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신경림은 자신의 작품을 사회시로 규정할 만큼 개인적 자아에 관한 탐구보다는 사회·역사적 삶의 통찰을 시의 주된 제재로 삼는다. 따라서 그의 시에 나타난 장소는 개인적 서정을 담은 것...

      신경림은 자신의 작품을 사회시로 규정할 만큼 개인적 자아에 관한 탐구보다는 사회·역사적 삶의 통찰을 시의 주된 제재로 삼는다. 따라서 그의 시에 나타난 장소는 개인적 서정을 담은 것으로 이해하기보다 중심권력으로부터 타자로 차별된 주변지역의 장소성, 즉 로컬리티의 시선으로 읽어낼 필요가 있다. 즉 신경림은 수몰고향의 장소성을 통해 1980년대 국가의 발전지상주의에 따른 공간관에 대한 성찰을 작품화한 것이다.
      중심권력의 폭력성은 로컬의 장소성을 파괴하며, 이는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장소 경험 방식을 통해 구체화된다. 신경림은 수몰 위기에 처한 고향을 방문하여 장소에 어린 자신의 과거를 실존적 내부성의 차원에서 경험한다. 또한 고향의 지리와 사람들이 처한 상황을 면면히 알고 있는 그는 감정이입적 내부자의 상태로 수몰 지역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본질적 요소들을 만나고 이해한다. 여기서 그는 고향의 내재적이고 본원적인 특성이 아닌, 그 경계 바깥과 연결된 국가 권력의 영향으로 고향이 어떤 변화를 겪는지를 형상화한다.
      궁극적으로 신경림의 기억과 재현을 통해 드러나는 수몰고향의 로컬리티는 중심의 시각에서 배제되어 온 수몰민들의 분노와 상실감을 작품화하여 그들의 타자화된 삶을 복권하는 것이다. 현재 충주댐으로 수몰된 마을은 댐 건설로 이전의 아름답던 남한강변 경관이 훼손되고 벌 형태로 남아 오히려 관광지 면모를 흐리는 등 낙후된 지역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신경림 시에 나타난 수몰고향의 로컬리티 연구는 충주댐 수몰 지역이 이러한 문제로 점철된 상황에서 로컬의 장소성을 고려하지 않는 중심권력의 발전계획에 제동을 거는 현실적·실천적 작업이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충주댐 수몰마을사 편찬위원회, "충주댐수몰마을사-충주편" 제천 국제문화인쇄사 2001

      2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3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인문한국사업 ‘로컬리티의 인문학’ 아젠다"

      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이주와 로컬리티의 재구성" 소명출판 2013

      5 배윤기, "의식의 공간으로서 로컬과 로컬리티의 정치"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 : 107-138, 2010

      6 송지선, "신경림의 『농무』에 나타난 장소 연구" 국어문학회 51 (51): 113-143, 2011

      7 이선남, "신경림 시의 공간 연구 : '고향', '타향', '길'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5

      8 윤청림, "신경림 시의 공간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9 조준환, "신경림 시에 나타난 공간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10 노창선, "신경림 문학공간 연구" 한국문예창작학회 6 (6): 133-154, 2007

      1 충주댐 수몰마을사 편찬위원회, "충주댐수몰마을사-충주편" 제천 국제문화인쇄사 2001

      2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3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인문한국사업 ‘로컬리티의 인문학’ 아젠다"

      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이주와 로컬리티의 재구성" 소명출판 2013

      5 배윤기, "의식의 공간으로서 로컬과 로컬리티의 정치"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 : 107-138, 2010

      6 송지선, "신경림의 『농무』에 나타난 장소 연구" 국어문학회 51 (51): 113-143, 2011

      7 이선남, "신경림 시의 공간 연구 : '고향', '타향', '길'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5

      8 윤청림, "신경림 시의 공간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9 조준환, "신경림 시에 나타난 공간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10 노창선, "신경림 문학공간 연구" 한국문예창작학회 6 (6): 133-154, 2007

      11 강정구, "문학지리학으로 읽어본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 - 1950-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5-27, 2012

      12 강정구, "문학지리학으로 읽어본 1980년대 신경림 시의 장소" 한국어문학회 (117) : 317-338, 2012

      13 신지은, "로컬의 일상과 실천" 소명 2013

      14 문재원, "로컬리티,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 혜안 2009

      15 신경림, "달 넘세" 창작과비평사 1985

      16 임동주, "남한강의 어제와 오늘" 도서출판 남한강 1992

      17 가스통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동문선 2003

      18 마르쿠스 슈뢰르, "공간, 장소, 경계-공간의 사회학 이론 정립을 위하여" 에코리브르 2010

      19 피터 버거, "고향을 잃은 사람들:근대화의 의식 구조" 한벗 1981

      20 전광식, "고향" 문학과지성사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