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자료 한문소설 <금산사대몽록(金山寺大夢錄)>의 성격과 의미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7세기 중반에 창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작자 미상의 「금화사몽유록 (金華寺夢遊錄)」의 조선후기 개작본인 「금산사대몽록(金山寺大夢錄)」을 신자 료로 소개하였다. 「금산사...

      본고는 17세기 중반에 창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작자 미상의 「금화사몽유록 (金華寺夢遊錄)」의 조선후기 개작본인 「금산사대몽록(金山寺大夢錄)」을 신자 료로 소개하였다. 「금산사대몽록」은 박철상 소장본으로 가로 20cm, 세로 32.5cm 의 크기에 총99장, 매면 11행, 매행 평균 28자, 단정한 해서체의 상하(上下) 1책 으로 필사된 17회(回) 구성의 장회체(章回體) 작품이다. 작품은 그 시작에 경주 최씨(慶州崔氏) 석계(石溪) 최 선생(崔先生)이 연의(演義)를 하고, 그 둘째 아 들인 석련(錫璉)이 부친의 유고를 편차해 정리하고 교정해 주석을 붙였으며, 최 선생의 제자였던 탐진 최씨(耽津崔氏) 기와산인(畸窩散人) 최인식(崔仁植)이 중간중간에 비평을 삽입함으로써 완성되었음을 확인해 준다. 석계 최 선생은 서문 과 발문을 통해 1760년에서 1825년까지 살았던 최덕리(崔德履)라는 인물로 1820년 3월 하순에 서문을 남기고 있어 작품의 창작시기를 알 수 있다. 이후 일실 되었던 작품을 차남이 되찾아 증보와 주석을 더하고 제자의 비평이 더해져 1852 년 이후 장정한 것으로 파악된다. 작품은 「금화사몽유록」에 기반하고 있으나 원작에는 없는 제1회와 제2회에 걸 쳐 금산사에 재앙을 부리던 요귀가 호승(胡僧)의 술법으로 오생(吳生)의 집안에 의탁해 태어나 꿈에서 중국 역대 창업군주(創業君主)들의 연회에 참여하여 그 전 말을 전하는 과정과 하편에 해당하는 제11회에서 제17회까지 전쟁 대목이 새롭게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이본(異本)이 아닌 개작본(改作本)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개작의 방향이 숭명배호(崇明排胡)의 논리에 동의하면서 작품의 서사 구도를 장 회체의 군담적(軍談的) 성격을 확장함으로써 조선후기 통속화 경향에 부응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뿐만 아니라 「금산사대몽록」의 존재는 「대관재몽유록(大觀齋夢遊錄)」, 「사수 몽유록(泗水夢遊錄)」과 함께 적대자를 설정해 퇴치한다는 몽유록의 독특한 서사 구도를 마련한 한편, 작자가 분명하게 확인되는 문한명(文漢命)의 「금산사기(金 山寺記)」, 김제성(金濟性)의 「왕회전(王會傳)」과 함께 조선후기 「금화사몽유 록」의 장회체 개작이라는 일군의 현상이루었다는 점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는 「금화사몽유록」의 수많은 이본의 존재가 증명하듯이 독자들의 소중화(小中 華) 주의에 대한 동조를 기반으로 삼고, 다시 군담적 성격을 더하며 존명사상(尊 明思想)을 더욱 강화하는 일련의 현상이 19세기에 다발적으로 진행되었던 조선 후기 소설사의 의미있는 장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troduced the Geumsansa-daemongrok(金山寺大夢錄) as a new material, which is an adaptation of Geumhwasa-mongyurok(金華寺夢遊錄) of the late Joseon Period. Geumhwasa-mongyurok had been authored in the middle of 17th century wh...

      This article introduced the Geumsansa-daemongrok(金山寺大夢錄) as a new material, which is an adaptation of Geumhwasa-mongyurok(金華寺夢遊錄) of the late Joseon Period. Geumhwasa-mongyurok had been authored in the middle of 17th century while the author of it is unknown. Geumsansa-daemongrok, which is in the collection of Park Cheol-sang, has the size of 20cm x 32.5cm and has 99 pages. Each page has 11 lines and each line has average 28 neat ‘haeseo-che’(square style) Chinese characters. The Geumsansa-daemongrok has the transcription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bound in one book. It has 17 chapters as a ‘janghoe-che'(chapter-titled style, 章回體) novel. It has been verified by this study that the Geumsansa-daemongrok had been adapted by Seokgye(石溪) Mr. Choi(崔先 生) of Gyeongju Choi family(慶州崔氏) and his second son Seokryeon(錫璉) took the posthumous work of his father for editing in sequence, proofreading and annotation. Then giwa-sanin(畸窩散人) Choi In-sik(崔仁植) from Tamjin Choi family(耽津崔氏), who was a student of Seokgye Mr. Choi, added multiple reviews in the narration to complete the work.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and the postscript, Seokgye Mr. Choi is Choi Deok-li(崔德履), who lived from 1760 till 1825 and he authored the introduction in the late March of 1820. It has been learned by this study that his second son completed the bookbinding in 1852 or after by taking back the work which had been lent to an other person, adding supplementation, annotation and including the reviews by a student of the original adapter Mr. Choi. The Geumsansa-daemongrok is based on the Geumhwasa-mongyurok; however, it is not a different version but it is an adaptation; because it is added of newly created chapters such as the Chapter 1 and Chapter 2, in which an evil spirit, who had been causing disasters to the Geumsan-sa Temple(金山寺), was born in the family of Oh Saeng(吳生) by the magic of an outlander monk and propagated the whole stories of the dynasty-founding by attending the banquet of the past dynasty-founding kings of China, and from Chapter 11 to Chapter 17, in which the war scenes against the military power of Yuan(元) are described. Meanwhil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daptation direction agreed with the logic of ‘revering Ming (明) while ostracizing outlanders’(崇明排胡) and supported the popularization trend during late Joseon period by expanding the character of military story in the form of ‘janghoe-che'(chapter-titled style, 章回體) for the narration composition of the work.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Geumsansa-daemongrok is one of the adaptations of Geumhwasa-mongyurok together with the Geumsansa-gi(金山寺記) by Mun Han-myeong(文漢命) and the Wanghoe-jeon(the story of the kings’ banquet, 王會傳) by Kim Je-seong(金濟性). Like the many different versions of Geu mhwasa-mongyurok, the Geumsansa-daemongrok also has the multiple significant scenes in the history of late Joseon period novels in the 19th century, at which time the novels agreed to the Minor Sinocentrism of the readers, added the character of military story and reinforced the thought of revering Ming(明).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금산사대몽록」의 구성
      • 3. 「금산사대몽록」의 성립 경위
      • 4. 신자료로서의 특징과 개작의 방향
      • 국문초록
      • 1. 서론
      • 2. 「금산사대몽록」의 구성
      • 3. 「금산사대몽록」의 성립 경위
      • 4. 신자료로서의 특징과 개작의 방향
      • 5. 조선후기 몽유록으로서의 「금산사대몽록」-결론을 대신하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용수, "洛渚本<金山寺創業宴錄>의 원전비평 연구와 그 이본적 특징" 동양한문학회 33 (33): 357-384, 2011

      2 조세용, "사수몽유록 고" 안암어문학회 6 : 96-102, 1962

      3 장효현, "교감본 한국한문소설 몽유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4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목록" 집문당 1999

      5 洪在烋, "金山寺記攷" 효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실 9 : 109-120, 1986

      6 권우행, "金山寺記 思想背景考" 16 : 61-82, 1991

      7 권우행, "金山寺夢遊錄의 背景연구" 15 : 63-77, 1990

      8 차용주, "金山寺夢遊錄 攷" 2 : 51-63, 1973

      9 정용수, "「금산사몽유록(金山寺夢遊錄)」계의 창작배경과 주제의식" 한국고소설학회 10 : 177-201, 2000

      10 임치균, "「王會傳」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 : 67-87, 1999

      1 정용수, "洛渚本<金山寺創業宴錄>의 원전비평 연구와 그 이본적 특징" 동양한문학회 33 (33): 357-384, 2011

      2 조세용, "사수몽유록 고" 안암어문학회 6 : 96-102, 1962

      3 장효현, "교감본 한국한문소설 몽유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4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목록" 집문당 1999

      5 洪在烋, "金山寺記攷" 효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실 9 : 109-120, 1986

      6 권우행, "金山寺記 思想背景考" 16 : 61-82, 1991

      7 권우행, "金山寺夢遊錄의 背景연구" 15 : 63-77, 1990

      8 차용주, "金山寺夢遊錄 攷" 2 : 51-63, 1973

      9 정용수, "「금산사몽유록(金山寺夢遊錄)」계의 창작배경과 주제의식" 한국고소설학회 10 : 177-201, 2000

      10 임치균, "「王會傳」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 : 67-87, 1999

      11 박혜인, "〈왕회전〉의 군담소설적 성격 연구 : 장편화 양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4

      12 양언석, "<사수몽유록> 연구" 4 : 145-166, 1996

      13 김정녀, "<금화사몽유록>의 양식적 특징과 그 의미" 13 : 169-198, 2002

      14 김정녀, "<金華寺夢遊錄>의 異本 계열과 善本" 민족문화연구원 (41) : 217-250, 2004

      15 김정녀, "<金華寺夢遊錄> 국문본의 유통 양상과 수용 층위" 우리문학회 (38) : 7-64, 2013

      16 정용수, "<金山寺夢遊錄>의 역사 현장과 그 배경설화의 소설적 변모"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617-638, 2006

      17 김현영, "<王會傳>의 서사적 특징과 그 의미-<금화사몽유록>과의 대비를 통하여-" 한국고소설학회 (21) : 365-392, 2006

      18 임치균, "<王會傳>의 八字 評語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0) : 194-221, 2013

      19 이병직, "<王會傳>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14) : 6-182,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97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