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울진 12령 샛재[鳥嶺] 城隍祠와 褓負商團 = Saeje Seongwhangsa of The Twelve Paths, which was located in Uljin, was a formal organization of peddl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16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2령 길은 고대부터 경상북도 내륙지방과 울진 지역을 연결한 주요 교통로였다. 필자는 울진 鳥嶺 城隍祠 내에 걸려있는 현판 분석과 현지 조사를 통해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12령 길을 통하여 울진과 봉화를 동서로 연결하는 상업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이들 지역 장시를 아우르는 보부상 조직이 존재하였음과, 이들 보부상이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 해체되면서 선질꾼으로 그 명맥이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12령을 중심으로 활동한 이들 보부상[이후 선질꾼]들의 신앙 구심체 역할을 하였던 곳은 샛재 성황사인데, 제당의 운영이 지닌 의미는 첫째, 샛재 성황사에 모신 ‘鳥嶺城隍神’을 통해 보부상들이 안전과 싱압 활동의 번성을 기원하였다. 이와 함께 산'간이나 고갯마루에 있는 제당과 여기에서 모시는 신령의 변화과정을 ‘산신당의 산신→산신당의 성황→○○山[○○○嶺] 성황사의 성황’으로 설정한다면 샛재 성황사에서 모시는 ‘鳥嶺城隍神’은 지역의 전통을 반영하여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있다.
      둘째, 각종 중수 현판의 제목을 보면 당시 보부상단에서 샛재 성황시를 신앙 공간으로서의 기능과 함께 선배 보부상들을 위한 齋舍로 활용하려는 의지가 투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일제 강점기에 접어들면서 샛재성황사 重修와 유지, 제사에 보부상단의 후예들과 선질꾼으로 대표되는 행상단들이 지속적으로 관여함으로써 보부상단의 전통을 이어가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지역을 오가며 장사를 하였던 상단들이 쇠퇴하면서 자연스럽게 인근 마을 주민들에 의해 유지되었으나, 지금은 경제ㆍ사회ㆍ지형적인 영향으로 인해 그 명맥이 끊어져서 정기적으로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울진 샛재성황사는 12령을 오가며 장사를 하였던 보부상단에 의해 유지되고, 이들을 위한 신앙 구심체 역할을 하였기에 자연 마을 내에 있는 제당 운영과는 구분될 수 있는 마을공동체 신앙의 한 형태를 보여준다.
      번역하기

      12령 길은 고대부터 경상북도 내륙지방과 울진 지역을 연결한 주요 교통로였다. 필자는 울진 鳥嶺 城隍祠 내에 걸려있는 현판 분석과 현지 조사를 통해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12령 길을 통하...

      12령 길은 고대부터 경상북도 내륙지방과 울진 지역을 연결한 주요 교통로였다. 필자는 울진 鳥嶺 城隍祠 내에 걸려있는 현판 분석과 현지 조사를 통해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12령 길을 통하여 울진과 봉화를 동서로 연결하는 상업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이들 지역 장시를 아우르는 보부상 조직이 존재하였음과, 이들 보부상이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 해체되면서 선질꾼으로 그 명맥이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12령을 중심으로 활동한 이들 보부상[이후 선질꾼]들의 신앙 구심체 역할을 하였던 곳은 샛재 성황사인데, 제당의 운영이 지닌 의미는 첫째, 샛재 성황사에 모신 ‘鳥嶺城隍神’을 통해 보부상들이 안전과 싱압 활동의 번성을 기원하였다. 이와 함께 산'간이나 고갯마루에 있는 제당과 여기에서 모시는 신령의 변화과정을 ‘산신당의 산신→산신당의 성황→○○山[○○○嶺] 성황사의 성황’으로 설정한다면 샛재 성황사에서 모시는 ‘鳥嶺城隍神’은 지역의 전통을 반영하여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있다.
      둘째, 각종 중수 현판의 제목을 보면 당시 보부상단에서 샛재 성황시를 신앙 공간으로서의 기능과 함께 선배 보부상들을 위한 齋舍로 활용하려는 의지가 투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일제 강점기에 접어들면서 샛재성황사 重修와 유지, 제사에 보부상단의 후예들과 선질꾼으로 대표되는 행상단들이 지속적으로 관여함으로써 보부상단의 전통을 이어가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지역을 오가며 장사를 하였던 상단들이 쇠퇴하면서 자연스럽게 인근 마을 주민들에 의해 유지되었으나, 지금은 경제ㆍ사회ㆍ지형적인 영향으로 인해 그 명맥이 끊어져서 정기적으로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울진 샛재성황사는 12령을 오가며 장사를 하였던 보부상단에 의해 유지되고, 이들을 위한 신앙 구심체 역할을 하였기에 자연 마을 내에 있는 제당 운영과는 구분될 수 있는 마을공동체 신앙의 한 형태를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aeje Seongwhangsa of The Twelve Paths which was located in Uljin.
      The Seongwhangsa, Uljin saeje was the center of rituals for peddlers. The peddlers who conducted business between Uljin and Bonghwa prayed for security and prosperity of commercial activities leaning on Saeje Seongwhangsin.
      Judging from the 〈Jaesojungsubalgiin>, written on the board hanging in the Seongwhangsa, Uljin saeje, Seongwhangsa is believed to have been used as a village shrine, and as the shrine for the ancestral spirits of the peddlers. Although the formal organization of the peddlers disintegrated, the tradition of the peddlers has been well preserved by the reconstruction of Seongwhangsa, Ulgin satje and the ritual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aeje Seongwhangsa of The Twelve Paths which was located in Uljin. The Seongwhangsa, Uljin saeje was the center of rituals for peddlers. The peddlers who conducted business between Uljin and Bonghwa prayed f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aeje Seongwhangsa of The Twelve Paths which was located in Uljin.
      The Seongwhangsa, Uljin saeje was the center of rituals for peddlers. The peddlers who conducted business between Uljin and Bonghwa prayed for security and prosperity of commercial activities leaning on Saeje Seongwhangsin.
      Judging from the 〈Jaesojungsubalgiin>, written on the board hanging in the Seongwhangsa, Uljin saeje, Seongwhangsa is believed to have been used as a village shrine, and as the shrine for the ancestral spirits of the peddlers. Although the formal organization of the peddlers disintegrated, the tradition of the peddlers has been well preserved by the reconstruction of Seongwhangsa, Ulgin satje and the ritu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머리말
      • 2. 역사 지리적 배경
      • 3. 샛재 성황사의 연혁과 운영
      • 4. 샛재 성황사의 성격
      • 〈국문 요약〉
      • 1. 머리말
      • 2. 역사 지리적 배경
      • 3. 샛재 성황사의 연혁과 운영
      • 4. 샛재 성황사의 성격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林園十六志"

      2 김도현, "歷代 地理誌의 三陟郡 敍述에 대한 一考察 in: 江原文化史硏究"

      3 정승모, "호서지역 보부상단의 조직과 활동"

      4 "현지 조사:2002년 9월 1일~2010년 5월 30일"

      5 서영대, "한국의 성황신앙과 군자봉 성황사 in: 군자봉 성황제"

      6 이창식, "한국의 보부상" 밀알 2001

      7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마을제당 경상북도 하"

      8 신종원, "한국 산악숭배의 역사적 전개 in: 한국의 산악숭배와 지리산 성모천왕"

      9 김효경, "한국 마을신앙의 人物神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8

      10 신종원․노남호, "태백산 사길령 산령각제 연구" 강원향토문화연구회 3 : 1998

      1 "林園十六志"

      2 김도현, "歷代 地理誌의 三陟郡 敍述에 대한 一考察 in: 江原文化史硏究"

      3 정승모, "호서지역 보부상단의 조직과 활동"

      4 "현지 조사:2002년 9월 1일~2010년 5월 30일"

      5 서영대, "한국의 성황신앙과 군자봉 성황사 in: 군자봉 성황제"

      6 이창식, "한국의 보부상" 밀알 2001

      7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마을제당 경상북도 하"

      8 신종원, "한국 산악숭배의 역사적 전개 in: 한국의 산악숭배와 지리산 성모천왕"

      9 김효경, "한국 마을신앙의 人物神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8

      10 신종원․노남호, "태백산 사길령 산령각제 연구" 강원향토문화연구회 3 : 1998

      11 유교성, "충청우도 산팔구 상무사우사-이조말기 보부상의 조직과 기능에 대한 일고찰" 역사학회 10 : 1958

      12 강성복, "조선후기 충청지역의 동제 연구:동제 관련 촌락자료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13 고동환, "조선후기 교통발달과 전국적 시장권의 형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8) : 1996

      14 장주근, "이 책 간행의 경위와 의의 in: 한국의 마을제당 서울․경기편"

      15 이기태, "읍치 성황제 주재집단의 변화와 제의 전통의 창출" 민속원 1997

      16 이소래, "원주시 신림면의 마을신앙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17 김도현, "울진 12령을 넘나든 선질꾼과 그 문화 연구 in: 울진 내성행상불망비 보존처리 보고서" 울진군․(주)비산문화재 2006

      18 안동대 박물관, "울진 12령 넘나든 선질꾼들의 삶과 문화"

      19 고동환, "상품의 유통 in: 한국사 33권"

      20 김도현, "삼척지역 불교문화의 형성과 발전 in: 삼척의 불교미술"

      21 이기태, "사회계층에 따른 역사적 인물의 신격화 과정과 제의 전통의 창출" 비교민속학회 (15) : 1998

      22 박민일, "보부상-상리사 규칙" 강원대 강원문화연구소 10 : 1990

      23 천혜숙, "보부상 집단의 신앙 결사와 후포 산신각 in: 동해안 마을의 신당과 제의" 민속원 2007

      24 이필영, "민속과 신앙" 국사편찬위원회 29 : 2000

      25 "명단 현판"

      26 이필영, "마을신앙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웅진닷컴 2001

      27 김도현, "동해시 동호동 천제단 운영과 그 성격"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 14 : 2008

      28 조재곤, "대한제국 말기(1904~1910)보부상 단체의 동향" 북악사학회 5 : 1998

      29 이관호, "내포지역 마을신앙의 전승과 변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30 조재곤, "고종대 보부상 조직의 변천과 역할" 국민대 1997

      31 이기태, "경북의 마을제당과 제의의 특성 in: 한국의 마을제당 경상북도 편"

      32 장주근, "강원지역 마을제당의 성격 in: 한국의 마을제당 강원도 편"

      33 김도현, "강원도 영동 남부지역 고을 및 마을신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34 신종원, "강원도 땅이름의 참모습 조선지지자료 강원도편" 경인문화사 2007

      35 "齋所重修發起人"

      36 "鳥嶺城隍齋舍重修峕寄附人芳名錄"

      37 "鳥嶺城隍祠重修任員及寄贈芳名錄"

      38 "鳥嶺城隍祠影幀奉安時"

      39 "鳥嶺城隍祠 重修記"

      40 "鳥嶺城隍祠 重修時"

      41 "鳥嶺城隍祠 蓋瓦時"

      42 "鳥嶺城隍祠"

      43 "鳥嶺城隍堂重修時寄附人芳名錄"

      44 "鳥嶺城隍保護金烈名記"

      45 張萬始, "靑坡遺稿"

      46 "重修記"

      47 "重修 上樑文"

      48 "輿地圖書"

      49 "輿地圖(奎4709-37)"

      50 "萬機要覽"

      51 "無題 현판"

      52 "漢城府完文節目"

      53 "海東地圖(古4709-61)"

      54 최광식, "洞祭의 起源문제에 대한 일고찰" 한국역사민속학회 10 : 2000

      55 "施財記"

      56 "新增東國輿地勝覽"

      57 申景濬, "山經表"

      58 "大東方輿全圖(奎 10341)"

      59 "增補文獻備考"

      60 "城隍堂改像時"

      61 주보원, "十二嶺 負商古道" 울진문화원 울진향토사연구회 (창간) : 2007

      62 최보영, "元洪州等六郡商務右社의 지속과 변화" 2007 한국민속학자대회 조직위원회․국립민속박물관 2007

      63 "備邊司印方眼地圖(奎12154)"

      64 "http://e-kyujanggak.snu.ac.kr"

      65 노봉선, "12령 관련 구전 민요" 울진문화원 (8) :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Practice Folkloristic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7 1.3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