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판적사고 교육의 변천과 수업실제 = Critical Thinking Education Movement and Teaching Practi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판적사고 교육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진전되었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은 비판적사고 수업 접근에 대한 논쟁은 무엇인지, 다양한 비판적사고 기능을 수업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그리고 비판적사고 수업에서 강조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초·중·고등 교육의 장에서 비판적사고 수업의 계획, 비판적사고의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자료의 개발, 다양한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한 이론적 틀과 과정을 제공한다. 아울러 사려 깊은(thoughtfulness) 교실과 사고가 충만한(mindful) 학교와 같은 생각하는 학습사회로 이끌어 가야하는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변화를 기대하는 측면에서도 좋은 시사점을 던진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비판적사고 교육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진전되었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은 비판적사고 수업 접근에 대한 논쟁은 무엇인지, 다양한 비판적사고 기능을 수업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본 연구는 비판적사고 교육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진전되었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은 비판적사고 수업 접근에 대한 논쟁은 무엇인지, 다양한 비판적사고 기능을 수업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그리고 비판적사고 수업에서 강조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초·중·고등 교육의 장에서 비판적사고 수업의 계획, 비판적사고의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자료의 개발, 다양한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한 이론적 틀과 과정을 제공한다. 아울러 사려 깊은(thoughtfulness) 교실과 사고가 충만한(mindful) 학교와 같은 생각하는 학습사회로 이끌어 가야하는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변화를 기대하는 측면에서도 좋은 시사점을 던진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inking skills movement enhanced since 1980, what are the debates on critical thinking approaches, how can teachers utilize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in classroom teaching, and what emphases should be made in order for increased use of critical thinking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curriculum. Critical thinking skills movement occurred in three phases, phase 1: thinking skills, phase 2: critical/creative thinking, phase 3: thoughtful classroom/mindful school. In other words, thinking skills movement follow its evolutionary path from skill acquisition, to meaning-making, and finally to application and transfer. It is also seen the same gradual process for teachers as they learn the skills to teach thinking.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ses for planning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 developing materials for critical thinking classe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oughtful classroom and mindful school and change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lev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inking skills movement enhanced since 1980, what are the debates on critical thinking approaches, how can teachers utilize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in classroom teaching, and what emphases should be ma...

      The purpose of 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inking skills movement enhanced since 1980, what are the debates on critical thinking approaches, how can teachers utilize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in classroom teaching, and what emphases should be made in order for increased use of critical thinking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curriculum. Critical thinking skills movement occurred in three phases, phase 1: thinking skills, phase 2: critical/creative thinking, phase 3: thoughtful classroom/mindful school. In other words, thinking skills movement follow its evolutionary path from skill acquisition, to meaning-making, and finally to application and transfer. It is also seen the same gradual process for teachers as they learn the skills to teach thinking.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ses for planning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 developing materials for critical thinking classe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oughtful classroom and mindful school and change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leve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