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수 삼고리고분군 출토 토기의 변천양상과 그 의미 = Transition process and meanings of excavated pottery from the Samgo-ri Tombs of Jangs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405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장수 삼고리고분군은 1995년 처음 조사된 이후 장수지역을 대표하는 가야유적으로 동촌리ㆍ삼봉리고분군과 더불어 큰 틀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삼고리고분군 묘제 및 출토유물에 대한 세세한 변천 과정과 특징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현재까지 조사된 것 가운데 보고서가 간행된 유구를 중심으로 부장유물의 특징과 변천양상을 파악하였다. 고분 출토유물은 크게 재지계, 대가야계, 백제계, 신라계로 구분되어진다. 대가야계 토기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적의 상대편년과 특징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분군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 5세기 전후로 목곽묘 단계가 확인되며, 이후 석곽묘 단계로 발전되다가 6세기 중ㆍ후엽부터는 토광묘 단계로 변화한다.
      목곽묘 단계는 비교적 이른 시기 발형기대와 유개식 장경호, 고배 등이 확인되어 장수지역 가야문화의 시작이 한 단계 앞서게 되었다. 수혈식 석곽묘 단계에서는 유입된 대가야토기를 재지 생산시설을 기반으로 충실히 모방한 토기류를 생산한 것과 재지계+대가야계 양식이 결합한 토기의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가야지역의 중심지(고령)와 함께 주변지역에 위치한 가야세력(함양ㆍ산청ㆍ합천) 등과 교류 양상이 있었음을 파악하였다. 토광묘 단계에서 백제화된 묘제의 장축방향과 부장유물을 간소화하는 박장 양상이 파악된다.
      이러한 변천과정은 목곽묘에서 석곽묘로 다시 석실분으로 변화하는 일반적인 가야지역 고분 문화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6세기 중ㆍ후엽에 석곽묘 이전 단계에 삼고리세력이 사용한 토광묘(목곽묘)다 다시 주 묘제로 등장하는 특이한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수 삼고리고분군은 5세기~6세기에 이르는 기간에 조영되었고, 무덤과 출토유물 등의 변천 과정을 통해 이 지역의 독특한 문화양상을 잘 나타내고 있다
      번역하기

      장수 삼고리고분군은 1995년 처음 조사된 이후 장수지역을 대표하는 가야유적으로 동촌리ㆍ삼봉리고분군과 더불어 큰 틀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삼고리고분군 묘제 및 출토유물에 대...

      장수 삼고리고분군은 1995년 처음 조사된 이후 장수지역을 대표하는 가야유적으로 동촌리ㆍ삼봉리고분군과 더불어 큰 틀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삼고리고분군 묘제 및 출토유물에 대한 세세한 변천 과정과 특징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현재까지 조사된 것 가운데 보고서가 간행된 유구를 중심으로 부장유물의 특징과 변천양상을 파악하였다. 고분 출토유물은 크게 재지계, 대가야계, 백제계, 신라계로 구분되어진다. 대가야계 토기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적의 상대편년과 특징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분군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 5세기 전후로 목곽묘 단계가 확인되며, 이후 석곽묘 단계로 발전되다가 6세기 중ㆍ후엽부터는 토광묘 단계로 변화한다.
      목곽묘 단계는 비교적 이른 시기 발형기대와 유개식 장경호, 고배 등이 확인되어 장수지역 가야문화의 시작이 한 단계 앞서게 되었다. 수혈식 석곽묘 단계에서는 유입된 대가야토기를 재지 생산시설을 기반으로 충실히 모방한 토기류를 생산한 것과 재지계+대가야계 양식이 결합한 토기의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가야지역의 중심지(고령)와 함께 주변지역에 위치한 가야세력(함양ㆍ산청ㆍ합천) 등과 교류 양상이 있었음을 파악하였다. 토광묘 단계에서 백제화된 묘제의 장축방향과 부장유물을 간소화하는 박장 양상이 파악된다.
      이러한 변천과정은 목곽묘에서 석곽묘로 다시 석실분으로 변화하는 일반적인 가야지역 고분 문화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6세기 중ㆍ후엽에 석곽묘 이전 단계에 삼고리세력이 사용한 토광묘(목곽묘)다 다시 주 묘제로 등장하는 특이한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수 삼고리고분군은 5세기~6세기에 이르는 기간에 조영되었고, 무덤과 출토유물 등의 변천 과정을 통해 이 지역의 독특한 문화양상을 잘 나타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Jangsu Samgo-ri Tombs were first investigated in 1995,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a broad framework along with the Dongchon-ri and Sambong-ri Tombs as representative Gaya relics in the Jangsu region.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etailed transi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urial body and excavated artifacts of the Samgo-ri Tomb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patterns of buried relics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reported relics among the relics investigated so far.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tomb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local-type, Daegaya-type, Baekje-type, and Silla-type. Daegaya-type earthenware was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relative age and artifacts of the remains were identified. Looking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tomb groups based on this, the stage of wood coffin tombs was confirmed around the 5th century, and then it developed into the stage of stone wall tombs. From the middle and late 6th century, it changes to the pit burial stage.
      At wood coffin tomb stage, bowl-shaped pottery, the long-necked jar with lid-type, the mounted dish were confirmed at a relatively early stage, and the beginning of the Gaya culture in the Jangsu region is one step ahead. At the pit type stone wall tombs stage, pottery that faithfully imitates the inflowed Daegaya pottery based on the local production facility is produced, and pottery that combines the local + Daegaya form is also being produced. In particular, there was a pattern of exchange with the Gaya forces (Hamyang, Sancheong, and Hapche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aya region (Goryeong) and the surrounding areas.
      In the pit burial stage,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Baekje burial body part and pattern to simplify, shabby funeral the burial relics are identified. This transition process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culture of tombs in the Gaya region, which changes from wooden coffin tombs to stone wall tombs and back to stone-chamber tombs. In the middle and late 6th centur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eculiar phenomenon of returning to the earthen tombs used by local powers before the stone wall tombs.
      Through this, the Jangsu Samgorio Tomb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5th to the 6th centuries, and through the transition process of tombs and excavated relics, the unique cultural aspect of the region is expres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xchanges with a wide range of surrounding areas continued for a long time through excavated relics.
      번역하기

      Since the Jangsu Samgo-ri Tombs were first investigated in 1995,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a broad framework along with the Dongchon-ri and Sambong-ri Tombs as representative Gaya relics in the Jangsu region.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un...

      Since the Jangsu Samgo-ri Tombs were first investigated in 1995,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a broad framework along with the Dongchon-ri and Sambong-ri Tombs as representative Gaya relics in the Jangsu region.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etailed transi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urial body and excavated artifacts of the Samgo-ri Tomb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patterns of buried relics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reported relics among the relics investigated so far.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tomb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local-type, Daegaya-type, Baekje-type, and Silla-type. Daegaya-type earthenware was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relative age and artifacts of the remains were identified. Looking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tomb groups based on this, the stage of wood coffin tombs was confirmed around the 5th century, and then it developed into the stage of stone wall tombs. From the middle and late 6th century, it changes to the pit burial stage.
      At wood coffin tomb stage, bowl-shaped pottery, the long-necked jar with lid-type, the mounted dish were confirmed at a relatively early stage, and the beginning of the Gaya culture in the Jangsu region is one step ahead. At the pit type stone wall tombs stage, pottery that faithfully imitates the inflowed Daegaya pottery based on the local production facility is produced, and pottery that combines the local + Daegaya form is also being produced. In particular, there was a pattern of exchange with the Gaya forces (Hamyang, Sancheong, and Hapche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aya region (Goryeong) and the surrounding areas.
      In the pit burial stage,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Baekje burial body part and pattern to simplify, shabby funeral the burial relics are identified. This transition process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culture of tombs in the Gaya region, which changes from wooden coffin tombs to stone wall tombs and back to stone-chamber tombs. In the middle and late 6th centur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eculiar phenomenon of returning to the earthen tombs used by local powers before the stone wall tombs.
      Through this, the Jangsu Samgorio Tomb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5th to the 6th centuries, and through the transition process of tombs and excavated relics, the unique cultural aspect of the region is expres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xchanges with a wide range of surrounding areas continued for a long time through excavated rel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배, "호남동부지역 가야토기의 유입과 변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2 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합천 문림리유적" 2015

      3 경남고고학연구소, "진주 무촌 Ⅳ-삼국시대(2)" 2005

      4 전상학, "진안고원 가야의 지역성" 호남고고학회 43 : 35-66, 2013

      5 조인진, "전북 동부 지역 석곽묘 출토 토기 연구 : 장경호와 기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6 전상학, "장수가야의 지역상과 교류관계, in 백제와 가야 그리고 신라의 각축장 금강 상류지역" 한국상고사학회 2011

      7 전상학, "장수가야의 발전과정과 그 역동성" 호남고고학회 57 : 26-37, 2017

      8 군산대학교박물관, "장수 삼봉리고분군" 2000

      9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삼봉리 고분군-1호분-" 2015

      10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삼봉리 고분군-16·19호분-" 2020

      1 박성배, "호남동부지역 가야토기의 유입과 변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2 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합천 문림리유적" 2015

      3 경남고고학연구소, "진주 무촌 Ⅳ-삼국시대(2)" 2005

      4 전상학, "진안고원 가야의 지역성" 호남고고학회 43 : 35-66, 2013

      5 조인진, "전북 동부 지역 석곽묘 출토 토기 연구 : 장경호와 기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6 전상학, "장수가야의 지역상과 교류관계, in 백제와 가야 그리고 신라의 각축장 금강 상류지역" 한국상고사학회 2011

      7 전상학, "장수가야의 발전과정과 그 역동성" 호남고고학회 57 : 26-37, 2017

      8 군산대학교박물관, "장수 삼봉리고분군" 2000

      9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삼봉리 고분군-1호분-" 2015

      10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삼봉리 고분군-16·19호분-" 2020

      11 군산대학교박물관, "장수 삼봉리 고분군 · 동촌리 고분군" 2005

      12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삼고리고분군B 변경(3차)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21

      13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삼고리고분군B 2차 추가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20

      14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삼고리고분군B 2차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9

      15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삼고리고분군 –1~3호분-" 2020

      16 군산대학교박물관, "장수 삼고리고분군" 2005

      17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동촌리고분군 –1호분-" 2015

      18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동촌리 고분군-30호분-" 2019

      19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동촌리 고분군-1·14·25호분-" 2020

      20 최은비, "삼국시대 고령양식 토기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2016

      21 조영제, "부산대고고학과 창설 20주년 기념논문집" 2010

      22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대가야 역사관 신축부지내 고령 지산동 고분군" 2000

      23 곽장근, "금강 상류지역의 교통망과 그 재편과정, In 백제와 가야 그리고 신라의 각축장 금강 상류지역" 한국상고사학회 2011

      24 朴天秀, "가야토기-가야의 역사와 문화" 진인진 2010

      25 박승규, "가야토기 양식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26 朴升圭, "가야고분군Ⅱ"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8

      27 啓明大學校博物館, "高靈 池山洞高墳群 32~35號墳" 1981

      28 財)嶺南文化財硏究院, "高靈 池山洞古墳群Ⅴ" 2006

      29 財)嶺南文化財硏究院, "高靈 池山洞古墳群Ⅳ" 2006

      30 財)嶺南文化財硏究院, "高靈 池山洞古墳群Ⅲ" 2006

      31 財)嶺南文化財硏究院, "高靈 池山洞古墳群Ⅱ" 2006

      32 財)嶺南文化財硏究院, "高靈 池山洞古墳群Ⅰ" 2004

      33 財)嶺南文化財硏究院, "高靈 池山洞古墳群 30號墳" 1998

      34 財)大東文化財硏究院, "高靈 池山洞 第73~75號墳" 2012

      35 곽장근, "湖南 東部地域의 石槨墓 硏究" 全北大學校 大學院 1999

      36 朴升圭, "大加耶의 遺蹟과 遺物" 대가야박물관 2003

      37 朴天秀, "大加耶圈 墳墓의 編年" 韓國考古學會 39 : 1998

      38 高靈郡, "大伽倻古墳 發掘調査報告書-44·45號墳-" 1979

      39 釜山大學校博物館, "咸陽 白川里 1號墳"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 -> 역사학연구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회 -> 호남사학회
      영문명 : Chonnam Historical Association -> Honam Histor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18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