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연해주 고려인들이 러시아로의 이주와 정착,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연해주로 재이주 과정에서 강제된 러시아화와 자발적 러시아화 사이에서 민족어와 민족 교육에 대해 경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899652
2016
Korean
학술저널
21-44(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연해주 고려인들이 러시아로의 이주와 정착,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연해주로 재이주 과정에서 강제된 러시아화와 자발적 러시아화 사이에서 민족어와 민족 교육에 대해 경험...
본 연구는 연해주 고려인들이 러시아로의 이주와 정착,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연해주로 재이주 과정에서 강제된 러시아화와 자발적 러시아화 사이에서 민족어와 민족 교육에 대해 경험했던 것이 어떻게 현재의 민족어관에 구현되었는지를 확인하려고 하였다. 러시아 당국의 혹독한 러시아화 요구에 대응하여 고려인들은 그 속에서 생존하기 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러시아화를 하였다. 그 결과 고려인들은 빠르고도 거의 완벽하게 민족어를 상실하게 되었다. 연해주 고려인들의 60%가 러시아어를 제1언어로, 32%정도가 고려말을 제1언어로 수용하고 있다. 이런 경향은 학력, 성별, 조부모의 영향과는 무관하게 나타나나, 나이가 많을수록 고려말을, 적을수록 러시아어를 제1언어로 보고 있다. 75% 정도가 러시아어를, 11% 정도가 고려말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언어로 보고 있다. 여기에서도 나이가 많을수록 고려어를, 적을수록 러시아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약 80%가 러시아어를, 약 16%가 고려말을 가정에서 사용되는 말로 보고 있다. 이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연해주 고려인에게 고려말은 이미 제1언어의 지위를 러시아어에 양도했으며,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조차도 러시아어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고려말은 상속어의 지위마저도 확보하기 힘든 상태가 되었다. 연해주 고려인에게는 한국어는 근래에 새로 접하게 된 외국어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연해주 고려인에게 거의 민족어가 상실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민족어를 전승하고자 하는 의지는 매우 높게 나타난다. 자녀에게 가르치고 싶은 언어는 고려말이 아니라 한국어이며, 연령이 적을수록 한국어를 상속어로 보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experiences between forced and spontaneous russianization of immigrant Korean were realized in present viewpoint of national language of Korean Russian in Maritime Territory, Russia. Russian governmen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experiences between forced and spontaneous russianization of immigrant Korean were realized in present viewpoint of national language of Korean Russian in Maritime Territory, Russia. Russian government had required severe russianization to Koreans in Maritime Territory. In response to government`s force, Koreans in Maritime Territory accepted russianization spontaneously to survive in Russia. As result, the Koreans had lost national language as quickly and perfectively. The 60% of the Koreans accepts Russian as first language and 32% accepts Koryomar(고려말). The older Koreans tend to accept Koryomar as first language, the younger Koreans tend to accept Russian as first language. 75% has a good command of Russian, 11% has a good command of Koryomar. Also the older Korean Russians tend to has a good command of Koryomar, the younger Korean Russians tend to has a good command of Russian. The about 80% of Korean Russians uses Russian as home language and about 16% uses Russian as home language. Koryomar was lost the status as first language and was hard to keep status of heritage language because home language already was Russian. To Korean Russian, the Korean language is as same as a foreign language because they cannot have chances to use Korean language which was learned. But Korean Russian had great enthusiasm to transmit not Koryomar but Korean to next generation.
미래사회와 학교 교육과정의 과제: 역량 개발과 다문화 공동체 형성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기본심리욕구, 수업참여 및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일반고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하나의 접근: 학교 컨설팅의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