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목구조의 초고층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대안을 제시한다. 목구조의 고층화가 활성화되지 않은 이유로는 여전히 국내 목조 건축에 허용응력설계법(ASD)만이 적용되고 있어 경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02198
2021
-
0
학술저널
264-26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목구조의 초고층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대안을 제시한다. 목구조의 고층화가 활성화되지 않은 이유로는 여전히 국내 목조 건축에 허용응력설계법(ASD)만이 적용되고 있어 경제...
본 논문에서는 목구조의 초고층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대안을 제시한다. 목구조의 고층화가 활성화되지 않은 이유로는 여전히 국내 목조 건축에 허용응력설계법(ASD)만이 적용되고 있어 경제성 및 효율성이 증대되기 어려우며 또한 재료 성능에 있어 목재의 한계가 분명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를 보완하여 목조 건축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해석기법의 전환 및 고층 목조 건축에 적용 가능한 RC조, 강구조에 적용되는 초고층 구조시스템의 유형을 분류하여 각 재료의 상호 보완에 의한 최적화된 목구조 시스템 대안을 제시하였다.
교량 교대 확폭 공사 중 기존 교대 및 접속부 안정성 확보를 위한 가시설흙막이 구조물 관리 사례 분석
재사용 특성을 고려한 시스템 비계 수직재의 허용강도 변화 분석
BIM을 활용한 건축물 손상부위 표현을 위한 디지털 트윈 기초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