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용액에서 Sodium hyaluronate와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의 회합성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ggregation properties of Sodium hyaluronate with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surfactants in aqueous sol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00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용액에서 Sodium hyaluronate(NaHA)와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의 회합성질에 관한 연구를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와 관련하여 조사하였다. 계면장력을 측정한 결과 특정 ...

      수용액에서 Sodium hyaluronate(NaHA)와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의 회합성질에 관한 연구를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와 관련하여 조사하였다. 계면장력을 측정한 결과 특정 농도에서 최소값(C min )을 나타내는 포물선 모양의 그래프를 보여주었다. 이 최소 농도 이상에서 계면장력의 증가는 공기와 물의 접촉면에서 NaHA사슬과 이합체 계면활성제들로 이루어진 집합체의 형성과 관계있다고 생각된다. NaHA와 계면활성제의 착물결합체에서 하나의 NaHA 음전하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양전하 비율을 보면 약간 양전하가 우세하나, 전체적으로 전하의 균형은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NaHA/이합체 계면활성제의 착물결합체에서 계면활성제 농도와 점성도의 관계가 비 선형성을 나타내는 것은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와 관계되기 때문이다. 이 비 선형성은 착물체의 성장에 따른 크기 증가와 C min 농도 이상에서의 수축 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associative properties of sodium hyaluronate (NaHA) and Alkane-bis (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surfactants in aqueous solution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chemical structure of surfactant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nter...

      A study on the associative properties of sodium hyaluronate (NaHA) and Alkane-bis (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surfactants in aqueous solution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chemical structure of surfactant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nterfacial tension, a parabolic graph showing the minimum value (c min ) at a specific concentration was shown. Above this minimum concentration the increase in interfacial tension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aggregates of NaHA chains and dimeric surfactants. The plot of viscosity vs surfactant concentration shows a slight maxium at c min and a viscosity decrease at high surfactant concentrations. Viscosity nonlinear behavior is related to the size increase due to the complex growth and to the size shrinkage following from the interaction with electrolyte ions and free micelles. The results of surface tension measurements show a broad region of surface tension decrease, indicating the NaHA-surfactant interaction. The increase in surface tension above c min may be related to the adsorption of clusters, consisting of free NaHA chains and dimeric surfactant. The strong adsorption of surfactant is observed at high concentr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토론 4. 결 론 References
      •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토론 4. 결 론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일, "오일 극성도에 따른 에멀젼의 점도와 유기개념도에 의한 해석"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1 (31): 623-627, 2014

      2 김문찬, "목본계 바이오매스오일의 에멀젼 연료화 연구"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3 (33): 836-847, 2016

      3 랑문정, "고분자 유기실리콘 계면활성제의 개발 동향"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2 (32): 546-567, 2015

      4 이남민, "TTAB와 다른 계면활성제(DTAB, CTAB, Tween-20, Tween-40 및 Tween-80)와의혼합미셀화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 56 (56): 556-562, 2012

      5 S. Tian,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xploatory application of anionic surfactant fatty acid methyl ester" 19 : 467-475, 2016

      6 Z. Peng, "Synthesis and properties of hydrolysis resistant trioxane surfactants" 342 : 127-131, 2009

      7 X. Zeng, "Synthesis and propertied of new triceplic tetrasiloxane surfactants containing hydrocabon chain" 37 : 846-853, 2016

      8 C, S. Kweon, "Synthe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oligopropylene oxide allyl methyl ether" 9 (9): 146-152, 2003

      9 C. Zhang, "Synergetic effect of binary mixtures contained newly cationic surfactants" 232 : 36-44, 2017

      10 M. Manick, "Swollen mixed pluonic surfactant micelles as templates for mesoporous nanotubes with diverse framework" 524 : 445-455, 2018

      1 김정일, "오일 극성도에 따른 에멀젼의 점도와 유기개념도에 의한 해석"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1 (31): 623-627, 2014

      2 김문찬, "목본계 바이오매스오일의 에멀젼 연료화 연구"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3 (33): 836-847, 2016

      3 랑문정, "고분자 유기실리콘 계면활성제의 개발 동향"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2 (32): 546-567, 2015

      4 이남민, "TTAB와 다른 계면활성제(DTAB, CTAB, Tween-20, Tween-40 및 Tween-80)와의혼합미셀화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 56 (56): 556-562, 2012

      5 S. Tian,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xploatory application of anionic surfactant fatty acid methyl ester" 19 : 467-475, 2016

      6 Z. Peng, "Synthesis and properties of hydrolysis resistant trioxane surfactants" 342 : 127-131, 2009

      7 X. Zeng, "Synthesis and propertied of new triceplic tetrasiloxane surfactants containing hydrocabon chain" 37 : 846-853, 2016

      8 C, S. Kweon, "Synthe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oligopropylene oxide allyl methyl ether" 9 (9): 146-152, 2003

      9 C. Zhang, "Synergetic effect of binary mixtures contained newly cationic surfactants" 232 : 36-44, 2017

      10 M. Manick, "Swollen mixed pluonic surfactant micelles as templates for mesoporous nanotubes with diverse framework" 524 : 445-455, 2018

      11 김수지, "Swollen Micelle을 이용한 난용성 효능물질의 안정화 연구"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42 (42): 9-13, 2016

      12 D. W. Kim, "Surface active properties and LCST behaviour of ol;igo propylene oxide sufactants in aqueous solutions" 25 (25): 1182-1188, 2004

      13 J. Penfold, "Structure of mixed anionic/nonanionic surfactants micelles" 109 : 10760-10770, 2005

      14 이슬, "Sorbitan Laurate 계면활성제 합성 및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업화학회 22 (22): 37-44, 2011

      15 W. Wang, "Properties and glucosamide based tetrasiloxsane surfactants" 33 : 654-659, 2012

      16 S. Gerber, "Mixed micelles formed by a polaamphile with carbohhydrate headgroups" 21 : 6707-6711, 2005

      17 A, Dar, "Mixed micelle formation and solubilization brhavior toward polycyclic hydrocabons binry and ternary cationic surfactants" 111 : 3122-3135, 2007

      18 A. K. Sood, "Micellization behavior of the gemini surfactants with some conventional syrfacta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14 : 235-244, 2011

      19 J. S. Park, "Investigation on a Zwitterionic surfactant having ethylene oxide" 110 (110): 605-608, 2006

      20 H. Salminen, "Influence of surfactant composition on physical and oxidative stability of lipid particles" 122 (122): 46-55, 2014

      21 C. Wang, "Adsorption and aggreation behavior tetrasiloxane tailed suffactants containig methyl ester" 115 : 3811-3815, 2011

      22 P. Scajev, "A carrier density dependent diffusion coefficient, recombivnation rate and diffusion length" 8 : 1029-1038,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9-01-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KCI등재
      2019-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9-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6-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油化學會誌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4 0.35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