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양한 국내 토종 및 외래종 동물털 시료를 확보하여 털의 형태학적 요소들을 분석하고유형을 분류함으로써 모발(털) 증거물의 식별 및 출처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표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1616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04-214(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한 국내 토종 및 외래종 동물털 시료를 확보하여 털의 형태학적 요소들을 분석하고유형을 분류함으로써 모발(털) 증거물의 식별 및 출처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표로...
본 연구는 다양한 국내 토종 및 외래종 동물털 시료를 확보하여 털의 형태학적 요소들을 분석하고유형을 분류함으로써 모발(털) 증거물의 식별 및 출처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표로 하였다. 34종동물털 시료의 모표피, 모수질, 모수질률 등 3가지 형태학적 요소를 분석한 결과, 모표피는 CI (41%), CR (26%), CA (12%), CS (12%), CH (6%), CE (3%) 6가지 유형, 모수질은 MA (50%), MC (18%), MG (11.8%), MU (8.5%), MM (6%), M L(3%), MZ (3%) 7가지 유형, 모수질률은 G4 유형(0.31~0.40, 3%), G5 유형(0.41~0.50, 21%), G6 유형(0.51~0.60, 35%), G7 유형(0.61~0.70, 21%), G8 유형(0.71~0.80, 15%), G9 유형(0.81~0.90, 6%)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털의 형태학적 요소는 동물의 종(種) 이 다름에도 동일한 형태학적 특징이 나타날 수 있으며, 동일한 과(科)임에도 종(種)에 기반하여 나타나는유형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표피-모수질 복합 요소를 적용한 결과, 34종의 시료를 총 16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단일 요소를 적용한 경우보다 세부적인 분류를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표피-모수질 복합 요소를 적용한 이후 모수질률을 추가로 분석한 결과, 군집특성을 보이는CI-MA (11종) 유형은 3가지 군집, CR-MA (4종) 유형은 2가지 군집으로 추가적인 세부 분류가 가능함을알 수 있어서, 향후 다양한 분석요소를 개발 및 적용한다면 개인식별에 가깝게 세부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 variety of animal hair samples, analyse the morphological elements of the hair and classify them into types to provide a basis for the identification and provenance of hair evidence After obtaining 34 animal hair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 variety of animal hair samples, analyse the morphological elements of the hair and classify them into types to provide a basis for the identification and provenance of hair evidence After obtaining 34 animal hair samples and analysing the three morphological factors of cuticle, medulla, and medullary inde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ticle was divided into 6 types: CI (41%), CR (26%), CA (12%), CS (12%), CH (6%), CE (3%), medulla was divided into 7 types: MA (50%), MC (18%), MG (11.8%), MU (8. 5%), MM(6%), ML(3%), MZ(3%), medullary index could be classified into 5 types: G4 type (0.31~0.40, 3%), G5 type (0.41~0.50, 21%), G6 type (0.51~0.60, 35%), G7 type (0.61~0.70, 21%), G8 type (0.71~0.80, 15%), G9 type (0.81~0.90, 6%). The morphological elements of animal hair have shown that different animal species may have the sa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ven within the same family,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characteristics exhibited depending on the species. By applying the cuticle-medulla composite type, we were able to classify 34 samples into a total of 16 types, and found that the classification was more detailed than we had using a single fact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medullary index, CI-MA (11 species) with class characteristic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nd CR-MA (4 species) into two groups, confirming that by applying different analytical factors it is possible to make a detailed classification close to personal identification.
변사체 발견 장소에 따른 국내의 곤충 감정을 통한 최소 PMI 추정사례에 대한 검토
적응형 지도 대비 학습을 통한 효과적인 얼굴 위조탐지 방법
실시간 객체인식 모듈을 활용한 영상 내 군중밀도 산출 및 자동 추출 프로그램의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