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규모 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역할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436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소규모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경험을 통해 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 수업과 이들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수업 실태를 이해하고 소규모 초등학교 체육 활...

      이 연구는 소규모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경험을 통해 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 수업과 이들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수업 실태를 이해하고 소규모 초등학교 체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있다. 경상북도의 소규모 초등학교인 Y초등학교와 U초등학교에 근무하는 두 명의 체육전담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문서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인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동전의 양면’과 ‘또 다른 역할’이라는 2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먼저 동전의 양면은 소규모 초등학교의체육전담교사의 업무수행과 개별지도 및 어려운 수업환경에 관한 것이며, 또 다른 역할은 체육수업의 외적인 부분에서 체육전담교사에게 부여되는 보모 및 지역의 체육지도자 역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전담교사의 실상을 이해하고 체육전담교사의 운영에 관한 자료로서 유용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physical education in small elementary schools and to explore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vitalizing physic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role of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rough the 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physical education in small elementary schools and to explore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vitalizing physic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role of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rough the experiences of small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wo teachers of small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buk-do, Y and U,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s was analyzed by the inductive analysis.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the duties of small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 small size of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other roles small elementary P.E teachers play. First, the small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ried to realize their values on physical education. But they had difficulties to do so because of many school task that they’ve been given. Second, as the classes were small and had a family-like atmosphere,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able to teach students individually and gave them feedback easily. But they had difficulty in managing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normally because of small class size and the lack of indoor physical education facility. So, they tried to find out appropriate course work and teaching-learning method. Thir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lso played the role of parents for their students in school. They did not only volunteer for the community physical activities but also became a physical education leader of the comm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및 절차
      • 2. 연구참여자 및 배경학교 현황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및 절차
      • 2. 연구참여자 및 배경학교 현황
      • 3. 자료 수집
      • 4. 자료분석
      • 5. 연구의 진실성
      • Ⅲ. 연구결과 및 논의
      • 1. 동전의 양면(업무와 수업)
      • 2. 또 다른 역할
      • Ⅴ. 요약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기, "통폐합이 교육수준을 높인다" 1999

      2 최종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제의 학교운영 사례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4 (54): 652-666, 2015

      3 김지헌,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일상적 학교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5 (15): 123-137, 2008

      4 이상돈, "초등학교 체육전담 남교사로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35-553, 2015

      5 김인상,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심층적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4

      6 안양옥,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분석" 서울교육대학 초등교육연구소 1995

      7 홍의국, "초등학교 교과전담제 개선 방안 : 울산광역시 초등학교 교과전담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8 이승배, "초등체육 교과전담제 운영의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체육학회 49 (49): 215-232, 2010

      9 유정애, "체육에서의 질적연구 논문작성법" 무지개사 2004

      1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아카데미프레스 2012

      1 이상기, "통폐합이 교육수준을 높인다" 1999

      2 최종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제의 학교운영 사례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4 (54): 652-666, 2015

      3 김지헌,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일상적 학교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5 (15): 123-137, 2008

      4 이상돈, "초등학교 체육전담 남교사로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35-553, 2015

      5 김인상,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심층적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4

      6 안양옥,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분석" 서울교육대학 초등교육연구소 1995

      7 홍의국, "초등학교 교과전담제 개선 방안 : 울산광역시 초등학교 교과전담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8 이승배, "초등체육 교과전담제 운영의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체육학회 49 (49): 215-232, 2010

      9 유정애, "체육에서의 질적연구 논문작성법" 무지개사 2004

      1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아카데미프레스 2012

      11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0

      12 곽영순, "질적 연구 :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2009

      13 교육통계서비스, "지역별 초등학교 학급수별 학교 수"

      14 최준렬, "외국의 통․폐합 학교 운영사례" 1994

      15 이승일, "소규모학교 통폐합의 효과·비용 분석과 대안 모색 : 전라북도 농산어촌 초등학교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7

      16 천종문, "소규모 초등학교의 학년군 통합 체육수업에 관한 사례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7 한승현,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의 내러티브 탐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8 이정선, "소규모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 일상성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38 (38): 49-79, 2007

      19 윤병용,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문화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0 임경진, "소규모 농촌 초등학교의 학교 문화"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1 Spradley, J, P., "문화기술적 면접법" 시그마프레스 2003

      22 박상은, "도서벽지 초등학생의 또래집단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9

      23 정우식, "농촌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의 신체활동 일상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55-70, 2014

      24 나영성, "농촌 초등학교의 소규모화에 따른 교육주체들의 학교 유지 발전 사례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5 이동훈, "농촌 소규모 초등학생의 체육 문화"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6 李蓮玉,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 어린이의 학교외 생활 문화 연구"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27 조준례, "농어촌 학교의 현주소와 진단" 1994

      28 남궁윤, "농어촌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 연구" 13-1 (13-1): 81-115, 2006

      29 정일환,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자율적 운영 제고를 위한 학교공동체의 활성화 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225-249, 2005

      30 최준렬,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정책 분석" 13 : 44-65, 2008

      31 김재호,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실태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32 유기현, "남자 중학생의 스포츠 참여가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3 우형식, "과소규모 학교 통폐합추진 방향" 1999

      34 Wolcott, H. F.,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Academic Press 3-52, 1992

      35 교육부, "2016년도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계획"

      36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37 한국스포츠개발원, "2014년 체육백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4-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3-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 1.37 1.644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