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부진아를 위한 ‘무용을 중심으로 한 통합예술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초등예비교사들에 대한 교육 방법 모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436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부진아를 위한 통합예술교육의 한 예로 고안된 ‘무용을 중심으로 한 통합예술프로그램’을 초등예비교사들에게 습득하게 하고 그 효과를 분석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학습부진아를 위한 통합예술교육의 한 예로 고안된 ‘무용을 중심으로 한 통합예술프로그램’을 초등예비교사들에게 습득하게 하고 그 효과를 분석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무용을 중심으로 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은초등예비교사들에게 학습부진아를 지도 할 수 있는 하나의 실습 과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습 과정의 경험을통해서 차후 현장교사가 되었을 때 학습부진아들에 대한 이해의 증진은 물론 이 프로그램을 실제로 지도할 수 있는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매주 2시간씩 10차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그 과정에서 참여한 초등예비교사들은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이해정도, 초등예비교사의 긍정적 인식, 통합교육의 필요성, 교수학습과정의 변화 여부, 프로그램적용 기대 효과에 대한 기대 등으로 구성된 인식변화조사를 위한 사전 사후를 검사를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 분석을 위해서 집단 심층면접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프로그램 종료 후학습부진학생들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변화는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학습부진아들에게 예술 매체를 통한 교육의 필요성과 이를 통해서 초등예비교사의 실천적 지도능력 향상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셋째, ‘무용을중심으로 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은 자아인식과 타인인식 그리고 사회성증진 등 자신의 존재감에 대한 인식을 구체화하고 관계형성의 새로운 인식과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향후 교육현장에서 학습부진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ith integrated ar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under achievement as an example, has as its purpose mak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cquire the devised integrated art program and analyze its effect. For this research, every week ...

      This research, with integrated ar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under achievement as an example, has as its purpose mak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cquire the devised integrated art program and analyze its effect. For this research, every week for 2 hours and 10 times,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conducted and in that process,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ducted a pre-post inspection for perception change examination that is formed by understanding children with under achievement, the positive percep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need for integrated art education, whether the teacher education process has changed and the expectation of program application expected effect. Also, a detailed Focus Group Interview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As a result, first, the perception chan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f children with under achievement after the program was very positive. Second, an education need through artistic media was brought to the children with under achievement and through this, a change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actice supervision ability increase was brought. Third,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centering on dancing’ materialized perception for one’s existence such as self-perception, perception of others and increase of sociability and made possible new perceptions and acceptance of relationship formation. Such research is considered to help practically the on-scene supervision of children with under achievement by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자료처리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자료처리
      • Ⅲ. 연구 결과
      • 1. 인식조사에 따른 논의 및 결과
      • 2. 차시별 결과에 따른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1. 학습부진학생들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 2. 학습부진아의 정의적 특성 지도의 효과
      • 3. 교수·학습과정의 변화 여부에 따른 지도 역량 강화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진,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지원 연구: 강점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10

      2 윤만석, "학습부진아동의 정서적 특성과 지능 프로파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3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 "학습부진아, 어떻게 살릴 것인가?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

      4 오상철, "학력향상 중점학교 지원 사업"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10

      5 박주영, "하나로 수업 모형을 적용한 창작무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81-89, 2010

      6 안이환, "통합학급의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사회성측정 특징 및 또래관계망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1 (21): 627-646, 2014

      7 전주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체육수업 지도유형과 체육수업 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20 (20): 101-113, 2016

      8 신남철, "초등학생의 체육 학습부진의 원인에 따른 유형 분류" 11 (11): 73-85, 2005

      9 임명제, "초등학생의 무용학습이 평형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101-108, 2010

      10 조소영,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거꾸로 교실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1 이화진,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지원 연구: 강점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10

      2 윤만석, "학습부진아동의 정서적 특성과 지능 프로파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3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 "학습부진아, 어떻게 살릴 것인가?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

      4 오상철, "학력향상 중점학교 지원 사업"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10

      5 박주영, "하나로 수업 모형을 적용한 창작무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81-89, 2010

      6 안이환, "통합학급의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사회성측정 특징 및 또래관계망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1 (21): 627-646, 2014

      7 전주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체육수업 지도유형과 체육수업 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20 (20): 101-113, 2016

      8 신남철, "초등학생의 체육 학습부진의 원인에 따른 유형 분류" 11 (11): 73-85, 2005

      9 임명제, "초등학생의 무용학습이 평형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101-108, 2010

      10 조소영,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거꾸로 교실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11 이규경,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교우관계 특성"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47-67, 2010

      12 손준구,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체육수업에서 느끼는 세 가지 고충" 한국초등체육학회 13 (13): 41-58, 2008

      13 박수영, "초등학교 남교사가 겪는 표현 활동(무용) 수업 지도의 어려움"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55-67, 2016

      14 윤채영, "초등 학습부진아와 일반아의 학업동기와 학습전략 특성 비교" 대한사고개발학회 8 (8): 125-149, 2012

      15 권은경, "창작무용 학습이 학습 부진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5 (5): 49-71, 2000

      16 함지선, "중등 예비 체육교사의 무용수업 참여 후 수업 실천 가능성 탐색"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143-159, 2013

      17 한국교육개발원, "장애아 진단 및 평가 학습(학업)능력 진단"

      18 송미숙, "예비 초등 교사의 무용 수업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우리춤연구소 11 (11): 53-69, 2015

      19 정종식, "수학학습의 위계성을 고려한 학습부진아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3학년 무리수와 실수단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교육부, "보도자료"

      21 황정규, "대학교수와 학생평가" 14 (14): 56-59, 1984

      22 정문성,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가능성 탐색: ‘사회로 예술하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283-305, 2014

      23 Weiner, "Violence in the Judicial Workplace one states’s Experience" (576) : 38-53, 2001

      24 Schuman, H., "Questions and answers in attitude surveys: Experiments on question form, wording, and context" Academic Press 1981

      25 Kirk Robert H, "Nutrition in health instruction : The Tennessee Health Education Project" 7 (7): 68-71, 1973

      26 Elksnin, "Fostering Social-Emotional Learning in the Classroom" 124 (124): 63-75, 2003

      27 Ingram, "Educators'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15 (15): 149-161, 1953

      28 Ruppert, S., "Critical evidence: How the arts benefit student achievement"

      29 Ory, J. C., "Attitude change measured by scales with 4 and 5 response options" 1981

      30 Dubois, B.,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question mark response category in attitude scale" 1975

      31 Winnick, J. P,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Human Kinetics 2005

      32 Likert, R., "A Technique for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140 : 1-55, 1932

      33 김중형, "'즐거운 생활' 중 신체활동 영역지도의 활성화 방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4-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3-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 1.37 1.644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