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포츠맨십의 실천 윤리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23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스포츠맨십의 본질을 불교윤리학에 나타나는 근본이념들에 근거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모든 존재들은 다 같이 행복해야 한다는 불교사상은 생명일체의 절대 평등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불교는 지극히 현실적이고 또한 경험적인 윤리이론을 제안하고 있다. 불교는 해탈, 열반, 깨달음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이상적 목표를 상정한다. 그 이상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행위의 실천이 필요하다. 불교에서의 행위는 몸과 입과 마음으로 확대재생산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포츠맨십의 바탕에는 당위가 아닌 개인의 행복추구가 자리한다.
      업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불교적으로 선한 행위란 일체 세계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 그리고 깨달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기반한 행위가 불교적으로 선한 업으로 기능한다. 불교적인 윤리에서 진정한 스포츠맨십의 실현은 자기희생이나 당위의 실현을 위한 삶이 아니라 자신의 행복 증진을 위한 삶을 산다는 것이다.
      사념처 수행에서 몸은 생물학적 몸이 아니라 존재를 지각하는 실존의 주체로서 몸을 말한다. 따라서 몸의 마음챙김은 심신일여로서의 몸의 지각을 통해 형성되는 감정구조가 마음챙김으로 정화돼 가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 현장에서 사념처의 적용은 인간적인 성숙과 존재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자각을 돕는 것이며 이는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인 인식으로 전인교육, 자기수양을 이룰 수 있는 내적인 힘을 제공하는 방법론을 찾는 것이라 사료된다.
      스포츠맨십에 대한 불교의 윤리관은 스포츠 현장에 있어서 스포츠맨십의 실천 즉 옳은 행동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고, 스포츠맨십의 실천에 대한 도덕적 결정의 기준을 제시하며, 스포츠맨십으로 사는 것에 대한 정당화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스포츠맨십의 본질을 불교윤리학에 나타나는 근본이념들에 근거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모든 존재들은 다 같이 행복해야 한다는 불교사상은 생명일체의 절대 평등을 강조...

      본 논문의 목적은 스포츠맨십의 본질을 불교윤리학에 나타나는 근본이념들에 근거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모든 존재들은 다 같이 행복해야 한다는 불교사상은 생명일체의 절대 평등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불교는 지극히 현실적이고 또한 경험적인 윤리이론을 제안하고 있다. 불교는 해탈, 열반, 깨달음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이상적 목표를 상정한다. 그 이상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행위의 실천이 필요하다. 불교에서의 행위는 몸과 입과 마음으로 확대재생산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포츠맨십의 바탕에는 당위가 아닌 개인의 행복추구가 자리한다.
      업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불교적으로 선한 행위란 일체 세계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 그리고 깨달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기반한 행위가 불교적으로 선한 업으로 기능한다. 불교적인 윤리에서 진정한 스포츠맨십의 실현은 자기희생이나 당위의 실현을 위한 삶이 아니라 자신의 행복 증진을 위한 삶을 산다는 것이다.
      사념처 수행에서 몸은 생물학적 몸이 아니라 존재를 지각하는 실존의 주체로서 몸을 말한다. 따라서 몸의 마음챙김은 심신일여로서의 몸의 지각을 통해 형성되는 감정구조가 마음챙김으로 정화돼 가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 현장에서 사념처의 적용은 인간적인 성숙과 존재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자각을 돕는 것이며 이는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인 인식으로 전인교육, 자기수양을 이룰 수 있는 내적인 힘을 제공하는 방법론을 찾는 것이라 사료된다.
      스포츠맨십에 대한 불교의 윤리관은 스포츠 현장에 있어서 스포츠맨십의 실천 즉 옳은 행동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고, 스포츠맨십의 실천에 대한 도덕적 결정의 기준을 제시하며, 스포츠맨십으로 사는 것에 대한 정당화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is to observe the essence of sportsmanship based on basic ideologies of Buddhist ethics. Buddhism proposes realistic and experience-based ethics theories. It has the ideal purpose which can be expressed as realization, or nirvana. In order to achieve that purpose, practice of good behavior is needed. Behavior in Buddhism is a kind of reproducing and enlarging behavior by body, mouth, and mind. Accordingly, there is an individual pursue of happiness in sportsmanship.
      According to Buddhist Ethics, the realization of sportsmanship is not about sacrifice or a thing to do, but rather improving one"s happiness.
      In the four foundation of mindfulness, body is not biological, but an existential subject of perceiving existence. Accordingly, through body mindfulness, correspondence of body and mind can be perceived, and this emotional structure can be purified into the mindfulness. Applying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to sports is to help perceive human maturity and essence of existence, and this again helps to find the methodologies of inner power through which all-rounded education and self-meditation can be achieved.
      Buddhist Ethics regarding sportsmanship can provide the analysis of good behaving structure of sportsmanship, propose the ethical standards of sportsmanship, and justify living by sportsmanship.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is to observe the essence of sportsmanship based on basic ideologies of Buddhist ethics. Buddhism proposes realistic and experience-based ethics theories. It has the ideal purpose which can be expressed as realization, o...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is to observe the essence of sportsmanship based on basic ideologies of Buddhist ethics. Buddhism proposes realistic and experience-based ethics theories. It has the ideal purpose which can be expressed as realization, or nirvana. In order to achieve that purpose, practice of good behavior is needed. Behavior in Buddhism is a kind of reproducing and enlarging behavior by body, mouth, and mind. Accordingly, there is an individual pursue of happiness in sportsmanship.
      According to Buddhist Ethics, the realization of sportsmanship is not about sacrifice or a thing to do, but rather improving one"s happiness.
      In the four foundation of mindfulness, body is not biological, but an existential subject of perceiving existence. Accordingly, through body mindfulness, correspondence of body and mind can be perceived, and this emotional structure can be purified into the mindfulness. Applying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to sports is to help perceive human maturity and essence of existence, and this again helps to find the methodologies of inner power through which all-rounded education and self-meditation can be achieved.
      Buddhist Ethics regarding sportsmanship can provide the analysis of good behaving structure of sportsmanship, propose the ethical standards of sportsmanship, and justify living by sportsman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초기불교의 자아관
      • Ⅲ. 몸의 마음챙김에 대한 새로운 가치 탐색
      • Ⅵ. 스포츠맨십에 대한 불교의 실천 윤리관
      • ABSTRACT
      • Ⅰ. 서론
      • Ⅱ. 초기불교의 자아관
      • Ⅲ. 몸의 마음챙김에 대한 새로운 가치 탐색
      • Ⅵ. 스포츠맨십에 대한 불교의 실천 윤리관
      • Ⅴ. 결론
      • References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재, "홀리스틱교육과정" 책사랑 2000

      2 이계영, "칸트윤리학에 기초한 스포츠맨십의 본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 (10): 89-97, 2016

      3 곽철환, "이것이 불교의 핵심이다" 불광출판사 2014

      4 D. Hyland, "스포츠철학" (주) 북스힐 2006

      5 최의창, "스포츠맨십은 가르칠 수 있는가? ― 체육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 지도의 어려움과 가능성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1-24, 2010

      6 카렌 암스트롱, "스스로 깨어난 자붓다" 도서출판 푸름숲 2003

      7 법정, "숫타니파타" 샘터사 1991

      8 법상, "붓다수업" 민족사 2015

      9 한자경, "불교의 무아론" 이화여대출판부 2006

      10 김동화, "불교윤리학" 보련각 1989

      1 김현재, "홀리스틱교육과정" 책사랑 2000

      2 이계영, "칸트윤리학에 기초한 스포츠맨십의 본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 (10): 89-97, 2016

      3 곽철환, "이것이 불교의 핵심이다" 불광출판사 2014

      4 D. Hyland, "스포츠철학" (주) 북스힐 2006

      5 최의창, "스포츠맨십은 가르칠 수 있는가? ― 체육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 지도의 어려움과 가능성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1-24, 2010

      6 카렌 암스트롱, "스스로 깨어난 자붓다" 도서출판 푸름숲 2003

      7 법정, "숫타니파타" 샘터사 1991

      8 법상, "붓다수업" 민족사 2015

      9 한자경, "불교의 무아론" 이화여대출판부 2006

      10 김동화, "불교윤리학" 보련각 1989

      11 요한슨, "불교심리학" 시공사 1996

      12 동봉, "불교경전17" 민족사 2014

      13 이계영, "몸의 마음챙김에 대한 새로운 가치 탐색 -사념처 수행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18 (18): 1-19, 2010

      14 박미옥, "마음챙김의 치유적 기능이 가지는 교육적 함의 -위빠사나(vipassanā) 수행을 중심으로-" 한국종교교육학회 42 : 97-120, 2013

      15 각묵, "디가니까야 2. 제2권 대품"

      16 이중표, "근본불교" 민족사 2010

      17 Clayton, Barbra, "S.a.nitideva, Virtue and Consequentialism" Snow Lion Publications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7 0.78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