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柳子厚, "李儁先生傳" 東邦文化社 1-419, 1947
2 "황성신문"
3 이인직, "혈의누·귀의성·치악산, 한국신소설선집1" 서울대학교출판부 1-390, 2003
4 최기영, "한말 李儁의 정치·계몽활동과 민족운동 In: 헤이그 한국특사 100주년 기념 헤이그 특사와 한국 독립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67-197, 2007
5 조은, "한말 서울 지역 첩의 존재양식 - 한성부 호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5 (65): 74-100, 2004
6 박용옥, "한국 여성 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지식산업사 1-567, 2001
7 정지영, "조선후기의 첩(妾)과 가족질서 - 가부장제와 여성의 위계" 한국사회사학회 (65) : 6-40, 2004
8 문숙자, "조선후기 兩班의 일상과 家族內外의 남녀관계" 한국고문서학회 28 : 209-233, 2006
9 황수연, "조선후기 첩과 아내-은폐된 갈등과 전략적 화해"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0): 349-380, 2006
10 김두헌, "조선후기 중인의 庶類 및 첩에 대한 차별-牛峯金, 漢陽劉, 井邑李 중인 가계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3 : 33-66, 2000
1 柳子厚, "李儁先生傳" 東邦文化社 1-419, 1947
2 "황성신문"
3 이인직, "혈의누·귀의성·치악산, 한국신소설선집1" 서울대학교출판부 1-390, 2003
4 최기영, "한말 李儁의 정치·계몽활동과 민족운동 In: 헤이그 한국특사 100주년 기념 헤이그 특사와 한국 독립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67-197, 2007
5 조은, "한말 서울 지역 첩의 존재양식 - 한성부 호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5 (65): 74-100, 2004
6 박용옥, "한국 여성 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지식산업사 1-567, 2001
7 정지영, "조선후기의 첩(妾)과 가족질서 - 가부장제와 여성의 위계" 한국사회사학회 (65) : 6-40, 2004
8 문숙자, "조선후기 兩班의 일상과 家族內外의 남녀관계" 한국고문서학회 28 : 209-233, 2006
9 황수연, "조선후기 첩과 아내-은폐된 갈등과 전략적 화해"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0): 349-380, 2006
10 김두헌, "조선후기 중인의 庶類 및 첩에 대한 차별-牛峯金, 漢陽劉, 井邑李 중인 가계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3 : 33-66, 2000
11 "제국신문"
12 "자선부인회잡지"
13 이상경, "이인직 소설의 근대성 연구-이인직 연구2 In: 민족문학과 근대성" 문학과지성사 1995
14 박애경, "야만의 표상으로서의 여성 소수자들 - 『제국신문』에 나타난 첩, 무녀, 기생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19 (19): 103-138, 2008
15 이경하, "애국계몽운동가 申蕭堂의 생애와 신문독자투고" 국문학회 (11) : 115-140, 2004
16 정숙희, "신소설 작가 최찬식 연구" 경희대 1974
17 이해조, "빈상설·홍도화·원앙도, 한국신소설선집4" 서울대학교 출판부 1-377, 2003
18 "매일신문"
19 "만세보"
20 "독립신문"
21 정경숙, "대한제국말기 여성운동의 성격 연구" 이화여대 1988
22 "대한매일신보"
23 이유미, "근대초기 신문소설의 여성인물 재현 양상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16) : 75-98, 2007
24 윤해동, "근대를 다시 읽는다 1·2" 역사비평사 1-592, 2006
25 정출헌,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질곡과 『사씨남정기』 In: 고전문학과 여성주의적 시각" 소명출판 87-115, 2003
26 李柱璟, "全州李氏完豊大君派世譜 卷五" 대경출판사 1981
27 李榮寬, "全州李氏完豊君派譜, 연활자본, 18권 8책 중 권7" 1926
28 정출헌, "『구운몽』의 작품세계와 그 이념적 기반 In: 김만중 문학 연구" 국학자료원 1993
29 이경하, "「제국신문」여성독자투고에 나타난 근대계몽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8) : 67-98, 2004
30 최원식, "1910년대 친일문학과 근대성" 민족문학사학회 (14) : 172-263,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