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블랜디드 PBL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 공간 활용 전략 연구 = Research on Effective Learning Space Using for Blended PB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918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학습환경 모델인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 이하 PBL)을 블랜디드 학습으로 운영할 때 PBL의 각 과정이 어떤 공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인지 탐색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형성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온라인 공간과 면대면 공간을 함께 활용하여 PBL을 실행한 선행 연구 결과들로부터 두 공간의 활용 전략을 추출한 후 전략을 반영한 수업을 설계, 실행하고,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로부터 각각의 공간 활용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 결과 PBL 실행 시 문제해결을 위한 논의와 자료 공유를 위해 PBL 과정에서 온라인 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수업공간에 접근 가능, 자료의 집결 및 공유 용이, 문제해결을 위한 충분한 시간 확보, 교수자와의 친밀감 형성, 학습자들 간의 공동체적 유대감 형성에 더욱 효과적․효율적이었으며, 논의의 효율성 저하, 팀 토론 시 교수자 도움의 부재, 업로드 용량 부족 등의 제한점을 가졌다. PBL 실행 시 면대면 공간에서 PBL에 대한 소개, 초기 활동, 문제의 해결안 발표, 종합정리를 수행하는 것은 PBL에 대한 분명한 이해 도모, 학습내용의 정리 측면에서 효과적․효율적이었으며, 동일한 문제를 여러 팀이 발표함으로써 오는 지루함은 제한점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블랜디드 PBL 실행 시 학습자들이 PBL에 익숙하지 않은 강좌 초기에는 팀 활동 시 온라인 공간과 함께 면대면 공간을 병행하여 활용하고 학습자들이 PBL에 익숙해진 이후에 온라인 공간을 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활동에 적극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학습환경 모델인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 이하 PBL)을 블랜디드 학습으로 운영할 때 PBL의 각 과정이 어떤 공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인...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학습환경 모델인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 이하 PBL)을 블랜디드 학습으로 운영할 때 PBL의 각 과정이 어떤 공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인지 탐색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형성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온라인 공간과 면대면 공간을 함께 활용하여 PBL을 실행한 선행 연구 결과들로부터 두 공간의 활용 전략을 추출한 후 전략을 반영한 수업을 설계, 실행하고,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로부터 각각의 공간 활용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 결과 PBL 실행 시 문제해결을 위한 논의와 자료 공유를 위해 PBL 과정에서 온라인 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수업공간에 접근 가능, 자료의 집결 및 공유 용이, 문제해결을 위한 충분한 시간 확보, 교수자와의 친밀감 형성, 학습자들 간의 공동체적 유대감 형성에 더욱 효과적․효율적이었으며, 논의의 효율성 저하, 팀 토론 시 교수자 도움의 부재, 업로드 용량 부족 등의 제한점을 가졌다. PBL 실행 시 면대면 공간에서 PBL에 대한 소개, 초기 활동, 문제의 해결안 발표, 종합정리를 수행하는 것은 PBL에 대한 분명한 이해 도모, 학습내용의 정리 측면에서 효과적․효율적이었으며, 동일한 문제를 여러 팀이 발표함으로써 오는 지루함은 제한점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블랜디드 PBL 실행 시 학습자들이 PBL에 익숙하지 않은 강좌 초기에는 팀 활동 시 온라인 공간과 함께 면대면 공간을 병행하여 활용하고 학습자들이 PBL에 익숙해진 이후에 온라인 공간을 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활동에 적극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years blended PBL has been attempting to utilize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o which some of PBL processes are applied. In blended PBL, learners are able to acquire more time and space in furthering their team discussion, problem identification, and team collaboration by eliciting or suggesting possible solutions. Learners, however, might feel over-loaded with additional activities or some of PBL processes, which were assigned to implement for online activities, resulting in improper learning PBL process. At this point, concerns on to what extent PBL and online learning space have to blend, and in what way they are utilized emerged as issues of significance. In this research, learning strategies that are mostly adopted in PBL and its problem solving process were implemented and reviewed in order to identify which strategies need to either overcome or strengthen. Those strategies were reviewed from the respect of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As results shown in the research, strength of blended PBL are easy access to online freed from time and space limits for sharing information and resources, as well as discussion on the problem emerged; sufficient time to available for problem solving over the class hour; and getting acquaint with professors through individual contact online. Things to overcome are inefficient and tedious time lags to discuss, professor\ s late response or little involvement, and the limited storage capacity for students to upload files. In implementing PBL, as for offline activities, strong are introduction to PBL activities which done in early stage, presentation of possible solutions drawn by each team, and review with evaluative comments. A thing to overcome is long and tedious student groups\ presentation on the identical issue for during the class. For the utmost utilization in blended PBL, learners enable to use online and offline appropriately. However, in early stage of the PBL most of students seemed to bala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for them to be accustomed with is needed. Once learners have experienced and acquainted with the blended PBL, using online more than offline seem to be effective on the condition of providing professors\ active feedback without delay.
      번역하기

      In recent years blended PBL has been attempting to utilize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o which some of PBL processes are applied. In blended PBL, learners are able to acquire more time and space in furthering their team discussion, problem identi...

      In recent years blended PBL has been attempting to utilize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o which some of PBL processes are applied. In blended PBL, learners are able to acquire more time and space in furthering their team discussion, problem identification, and team collaboration by eliciting or suggesting possible solutions. Learners, however, might feel over-loaded with additional activities or some of PBL processes, which were assigned to implement for online activities, resulting in improper learning PBL process. At this point, concerns on to what extent PBL and online learning space have to blend, and in what way they are utilized emerged as issues of significance. In this research, learning strategies that are mostly adopted in PBL and its problem solving process were implemented and reviewed in order to identify which strategies need to either overcome or strengthen. Those strategies were reviewed from the respect of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As results shown in the research, strength of blended PBL are easy access to online freed from time and space limits for sharing information and resources, as well as discussion on the problem emerged; sufficient time to available for problem solving over the class hour; and getting acquaint with professors through individual contact online. Things to overcome are inefficient and tedious time lags to discuss, professor\ s late response or little involvement, and the limited storage capacity for students to upload files. In implementing PBL, as for offline activities, strong are introduction to PBL activities which done in early stage, presentation of possible solutions drawn by each team, and review with evaluative comments. A thing to overcome is long and tedious student groups\ presentation on the identical issue for during the class. For the utmost utilization in blended PBL, learners enable to use online and offline appropriately. However, in early stage of the PBL most of students seemed to bala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for them to be accustomed with is needed. Once learners have experienced and acquainted with the blended PBL, using online more than offline seem to be effective on the condition of providing professors\ active feedback without del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인터넷활용 문제중심 학습모형" 39 (39): 259-284, 2001

      2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의 개발 사례: 초등, 고등, 대학교의 경우" 15 (15): 301-330, 1999

      3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분석" 9 (9): 1-14, 2005

      4 "웹기반 PBL에서 튜터의 역할수행에 대한 사례연구" 21 (21): 97-129, 2005b

      5 "온라인 문제기반학습 설계모형 개발 연구" 2005a

      6 "온라인 PBL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활동에 대한 연구" 12 (12): 33-64, 2006

      7 "사례분석을 통한 PBL의 문제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20 (20): 37-61, 2004

      8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23 (23): 35-65, 2007

      9 "기반수학강좌의 자기주도형 Blended Learning-PBL 수업 모델 연구" 19 (19): 769-785, 2005

      10 "http://www.gwsae.org/Executiveupdate/2001/March/Blended.htm)"

      1 "인터넷활용 문제중심 학습모형" 39 (39): 259-284, 2001

      2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의 개발 사례: 초등, 고등, 대학교의 경우" 15 (15): 301-330, 1999

      3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분석" 9 (9): 1-14, 2005

      4 "웹기반 PBL에서 튜터의 역할수행에 대한 사례연구" 21 (21): 97-129, 2005b

      5 "온라인 문제기반학습 설계모형 개발 연구" 2005a

      6 "온라인 PBL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활동에 대한 연구" 12 (12): 33-64, 2006

      7 "사례분석을 통한 PBL의 문제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20 (20): 37-61, 2004

      8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23 (23): 35-65, 2007

      9 "기반수학강좌의 자기주도형 Blended Learning-PBL 수업 모델 연구" 19 (19): 769-785, 2005

      10 "http://www.gwsae.org/Executiveupdate/2001/March/Blended.htm)"

      11 "how to gain the most from PBL. Ont" 1994

      12 "Using multimedia to overcome the problems with problem based learning" 25 : 97-115, 1997

      13 "The effects of modeling expert cognitive strategies during problem-based learning" Seattle, W. A 2001

      14 "The challenge of using problem-based learning online" PA: SRHE and Open University Press 2006

      15 "The Lear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in an Online Problem-Based Learning Course" New Orleans, LA 2000

      16 "Technology and Problem-Based learning" Information Science Publishing 2006

      17 "Shifting sand: Integrat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technology in education" NIE Singapore 2003

      18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2 education" Alexandria, VA. ASCD 2002

      19 "Problem-bas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 Untold Stories" PA: SRHE and Open University Press 2000

      20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2000

      21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ine and Beyond: A Brief Overview" CA: Jossey-Bass Publishers 3-12, 1996

      22 "Integrating Computers into the problem-Solving Process" Jossey-Bass (95) : 2003

      23 "From face-to-face to online participation : tensions in facilitating problem-based learning" PA: SRHE and Open University Press 2006

      24 "Formative research : a methodology for creating and improving design theori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33-652, 1999

      25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CT to support globally distributed PBL teams" ACM/SIGCSE 2004

      26 "Designing miltimedia materials using a problem-based learning design" 1998

      27 "Designing a PBL experience for Online Delivery in a Six-Week Course" New Orleans, LA 2000

      28 "Computer-supported problem-based learning"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Washington, DC 1995

      29 "Building learning communities in cyberspace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online classroom" Jossey-Bass 1999

      30 "Blended learning systems : definition,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San Francisco: Pfeiffer 2004

      31 "Blended e-Learning : The Power is in the Mix" ASTD 2001

      32 "Blended Learning : An old friends gets a new name. Executive Update" Greater Washington Society of Association Executives 2001

      33 "Activity and interaction of students in an electronic learning environment for problem-based learning" 23 (23): 11-22, 2002

      34 "A pattern language as an instrument in designing for productive learning conversations" 1 : 4271-4276, 2004

      35 "A computer simulation designed for problem-based learning" 93 : 47-54,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