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 졸업생 특성 및 전공과 직무의 일치 여부가 핵심역량, 대학교육 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K대학을 졸업한 지 5년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88946
2021
-
373
KCI등재
학술저널
579-601(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졸업생 특성 및 전공과 직무의 일치 여부가 핵심역량, 대학교육 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K대학을 졸업한 지 5년 이...
본 연구는 대학 졸업생 특성 및 전공과 직무의 일치 여부가 핵심역량, 대학교육 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K대학을 졸업한 지 5년 이하인 졸업생 1,314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영향요인은 핵심역량, 대학 교육과정 만족도(전공교육과정 만족도,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교육여건, 대학시설, 학생지원)이며, 졸업생 특성은 성별과 학문계열은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MIMIC(Multiple-indicators Multiple-causes)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전공과 직무의 일치 여부는 핵심역량 수준과 전공교육과정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대학전공과 직무가 일치하는 졸업생의 경우 전공과 직무가 불일치한 졸업생에 비해 졸업 당시의 핵심역량, 전공교육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제변수인 성별과 학문계열은 교양교육과정 만족도와 대학생활 만족도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과 직무의 불일치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학교육 차원에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education on major-job mismatch after graduating from the university. For this study, 1,341 graduates who graduated from K university for 5 years or les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education on major-job mismatch after graduating from the university. For this study, 1,341 graduates who graduated from K university for 5 years or less were used for the analysis. Specifically, the determinants of university education were set to core competency, major edu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and university life (education conditions, university facilities, student support), and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analyzed by MIMIC (Multiple-indicators multiple-causes) model by setting the gender and academic background of graduates as control variabl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ro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cademic background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university lif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major-job mismatch of graduates was influenced depending on the level of core competency,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level of core competency,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e more major and job of graduates is likely to be congrue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strategies that can be realized at university education were present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major-job mismatch.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우, "희망직업으로의 취업과 직무-전공 일치의 관계 분석: 대졸 청년층의 첫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21 (21): 1-27, 2019
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 고홍월, "초기 대학생활경험이 향후 전공일치도 및 직무·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47-866, 2018
4 최문석, "청년층의 교육 및 전공불일치가 임금과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26 (26): 85-102, 2019
5 배하영, "직장인의 전공-직무 일치 여부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소 42 (42): 99-125, 2018
6 박용호,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299-320, 2012
7 김재현, "전문대학 교육서비스가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손정선, "전공과 직업일치에 따른 직무만족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승준, "전공-직무 불일치의 결정요인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9
10 정기덕,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금과 직무불일치 해소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7 (27): 237-259, 2016
1 이정우, "희망직업으로의 취업과 직무-전공 일치의 관계 분석: 대졸 청년층의 첫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21 (21): 1-27, 2019
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 고홍월, "초기 대학생활경험이 향후 전공일치도 및 직무·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47-866, 2018
4 최문석, "청년층의 교육 및 전공불일치가 임금과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26 (26): 85-102, 2019
5 배하영, "직장인의 전공-직무 일치 여부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소 42 (42): 99-125, 2018
6 박용호,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299-320, 2012
7 김재현, "전문대학 교육서비스가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손정선, "전공과 직업일치에 따른 직무만족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승준, "전공-직무 불일치의 결정요인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9
10 정기덕,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금과 직무불일치 해소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7 (27): 237-259, 2016
11 김안국,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153-184, 2006
12 김혜숙, "융합수업 운영이 사회맞춤형교육과정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 능력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산업경영학회 18 (18): 99-107, 2020
13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7) : 191-214, 2007
14 강영숙,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15 : 1-22, 2006
15 박가경,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방과 후 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6 장두현, "미용전공대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13 (13): 89-109, 2019
17 구본권, "로봇시대, 인간의 일" 어크로스 2015
18 장원섭, "대학에서의 취업준비와 노동시장 성과,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19 유경애, "대학생의 학습양식 차이를 고려한 교양교육의 필요성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39-170, 2013
20 김계현, "대학생의 학과(學科)(학부(學部))만족(滿足)의 要因에 관한 연구" 1 (1): 7-20, 2000
21 윤수경, "대학생의 취업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131-160, 2014
22 임은미,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수준과 전공 만족도, 전공 및 직장선택 기준의 차이" 한국청소년학회 16 (16): 33-50, 2009
23 박안숙,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및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11-519, 2016
24 이보경,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문제연구소 (38) : 1-23, 2010
25 손유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26 홍병선,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대안 모색" 3 (3): 51-78, 2009
27 정주영, "대학교육만족도, 직업가치관, 직업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53-83, 2013
28 허균, "대학 진로・취업 프로그램이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47-61, 2016
29 김정현, "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과 희망 직업 및 진로분야와의 관계: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8 (38): 47-63, 2019
30 이은준,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3-91, 2017
31 신소영, "대학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07-132, 2013
32 최윤희, "대학 교양수업에서 학습양식 유형, 수업방식별 만족도,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07-332, 2017
33 유기웅, "대학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강의 선택 관련 요인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45) : 31-54, 2012
34 조성은, "대졸 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잠재계층분석(LCA)" 한국취업진로학회 8 (8): 109-128, 2018
35 길혜지, "대졸 청년층의 직무불일치 잠재유형 변화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7 (27): 155-178, 2018
36 어윤경, "대졸 청년층의 전공-직업 일치 여부에 따른 직무 만족도 변화 추이" 102-116, 2010
37 윤미희, "대졸 재직 청년들의 전공-직무 불일치 결정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20
38 정영근, "대졸 고학력 노동시장 미스매치 연구" 한국질서경제학회 14 (14): 19-39, 2011
39 이소예, "기존 및 NCS채용제도의 전공-직무연계 관련 변인 차이분석 – 이공계 직장인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11 (11): 583-596, 2016
40 전영욱,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핵심직무역량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111-138, 2005
41 박혜숙, "국내 대학생과 재한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 비교" 교육과학연구소 41 (41): 1-27, 2010
42 김기헌, "교육과 직무의 불일치―한․일 대학졸업자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51-77, 2005
43 김홍균, "교육-직업 사이의 수직적 불일치가 임금에 미치는 효과: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6 (6): 81-107, 2013
44 강승희,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91-307, 2010
45 안도희, "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4 (34): 173-196, 2015
46 "e-나라지표 국정모니터링 지표"
47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Key DeSeCo Publication 2005
48 Kaplan, 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undations and extensions (Vol. 10)" Sage Publications 2008
49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s, Inc 56-75, 1995
50 Sloane, P. J., "Overeducation in Europe : Current Issues in Theory and Policy" Edward Elgar 11-45, 2003
51 Hartog, J., "Over-education and earnings : where are we, where should we go?" 19 (19): 131-147, 2000
52 CRSC(Core Renewal Steering Committe), "Learning Outcomes for the University Core Curriculum: Final Report" Loyola University 2004
53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54 Collins, R., "Competency-Based Degree Programs in the US: Postsecondary Credentials for Measurable Student Learning and Performance"
55 Spencer, L. M.,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1993
56 Tucker, L. R.,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38 (38): 1-10, 1973
57 문찬주,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8 (28): 51-81, 2019
음악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ㆍ청소년의 사회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영향요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