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평생교육사의 임파워먼트, 전문직업성, 무형식학습 및 직무만족의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Empowerment, Professionalism,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158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사의 임파워먼트, 전문직업성, 무형식학습 및 직무만족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 무형식학습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모집단은 평생...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사의 임파워먼트, 전문직업성, 무형식학습 및 직무만족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 무형식학습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모집단은 평생교육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평생교육 관련 시설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로 설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온라인 설문을 활용하였으며, 최종 257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SPSS WIN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서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서는 AMOS 2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임파워먼트, 전문직업성, 무형식학습, 직무만족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사의 임파워먼트는 전문직업성, 무형식학습,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사의 무형식학습은 전문직업성,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사의 직무만족은 전문직업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평생교육사의 무형식학습은 임파워먼트와 전문직업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만족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사의 보수교육 설계 시 경력기간이나 근무기관 유형 등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교육 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평생교육사의 전문직업성, 무형식학습,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평생교육사의 임파워먼트 인식수준을 높여 일에 관한 내적 동기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평생교육사는 일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무형식학습 활동이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동기 요소라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문직업성 수준을 높여야 한다. 또한 무형식학습을 통한 업무능력 향상이 직무에 스스로 만족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요인으로 평가할 수 있다. 넷째, 직무만족이 전문직업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평생교육사의 근무환경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과중한 업무, 평생교육에 대한 상사의 낮은 인식, 충분하지 못한 보상 등의 외부적 요인이 직무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다섯째, 평생교육사의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해 평생교육사 스스로 직무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 역량을 키우는 노력이 필요하며, 조직 내부에서의 체계적인 무형식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의 전문직업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사의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한 시사점과 실천적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urposes to verify an impact relationship among empowerment, professionalism,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ors, also it purpose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The ta...

      This study purposes to verify an impact relationship among empowerment, professionalism,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ors, also it purpose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consisted of individuals who possessed a lifelong educator certification and were actively engaged in activities within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 total of 257 completed survey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er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s using the SPSS WIN 25.0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Furthermore, the researcher employed the AMOS 24.0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to validate the structural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derived throug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owerment, professionalism,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ifelong educator. Second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mpower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rofessionalism,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of the lifelong educators. Thirdly, it was observed that informal learning of the lifelong educator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ir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Fourthly, job satisfaction of the lifelong educators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professionalism. Lastly, informal learning of the lifelong educators was identified to provid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professionalism, while it did not show any medi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presents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as follows. Firstly, it emphasizes the need for differentiated educational design when developing compensation education for lifelong educators, taking into account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career duration and types of workplace. Secondly,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creasing awareness and perception of empowerment of lifelong educator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thereby providing internal motivation for their work. Thirdly, lifelong educators should recognize that various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occurring in the workplace are important motivational factors for enhancing their expertis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y should strive to elevate their level of professionalism. Moreover, it identifies enhanced job performance through informal learning as a contributing factor in achieving job satisfaction. Fourthly, the study reveals that external factors, including an unstable working environment, excessive workload, low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by superiors, and inadequate compensation, negatively affect job satisfaction as per the result that job satisfaction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s on professionalism. Hence, it suggests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these areas. Lastly, in order to enhance professionalism, it is essential to empower lifelong educators to discover meaning in their work and foster efforts to develop competencies. Additionally, supporting the systematic informal learning within organizations is imperative.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in validat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nhancement of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ors and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identifying implications and practical approaches to further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목 차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용어의 정의 7
      • 제2장 이론적 배경 8
      • 제1절 평생교육사 8
      • 1.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직무 8
      • 2. 전문직으로서의 평생교육사 12
      • 제2절 임파워먼트 15
      • 1. 임파워먼트의 개념 15
      • 2.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소 20
      • 제3절 전문직업성 23
      • 1. 전문직업성의 개념 23
      • 2. 전문직업성의 구성요소 29
      • 제4절 무형식학습 32
      • 1. 무형식학습의 개념 32
      • 2. 무형식학습의 구성요소 38
      • 제5절 직무만족 41
      • 1. 직무만족의 개념 41
      • 2. 직무만족의 구성요소 43
      • 제6절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 46
      • 1. 임파워먼트와 전문직업성 간의 관계 46
      • 2. 임파워먼트와 무형식학습 간의 관계 48
      • 3.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 50
      • 4. 무형식학습과 전문직업성 간의 관계 52
      • 5. 무형식학습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54
      • 6. 직무만족과 전문직업성 간의 관계 56
      • 7. 임파워먼트와 전문직업성 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 58
      • 8. 임파워먼트와 전문직업성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61
      • 제3장 연구 방법 63
      •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63
      • 1. 연구모형 63
      • 2. 연구가설 64
      • 제2절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66
      • 제3절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67
      • 1. 측정도구 67
      • 2. 분석방법 72
      • 제4장 연구결과 73
      • 제1절 일반적 특성 73
      • 제2절 사전 검증 75
      • 1. 결측치 및 이상치 진단 75
      • 2. 기술통계 및 정규성 검증 75
      • 제3절 일반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수 차이 분석 77
      • 1. 성별에 따른 측정변수 차이 분석 77
      • 2. 연령에 따른 측정변수 차이 분석 78
      • 3. 최종학력에 따른 측정변수 차이 분석 81
      • 4. 평생교육사 자격급수에 따른 측정변수 차이 분석 84
      • 5. 평생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측정변수 차이 분석 86
      • 6. 평생교육 경력기간에 따른 측정변수 차이 분석 88
      • 7. 고용형태에 따른 측정변수 차이 분석 90
      • 제4절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92
      • 제5절 측정모형 분석 96
      • 1. 측정모델에 대한 적합도 평가 96
      • 2. 집중타당성 98
      • 3. 판별타당성 검정 100
      • 4. 구조 모형 분석 100
      • 제6절 직접효과 및 매개효과 분석 102
      • 1. 직접효과 분석 102
      • 2. 간접효과 분석 103
      • 제7절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104
      • 제5장 결론 및 제언 113
      • 제1절 결론 113
      • 제2절 제언 117
      • 참고문헌 119
      • 부록 141
      • Abstract 1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