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deal Form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Korean Bae, Ju-chae The four major components of Standard Korean are grammar, vocabulary, orthography, and pronunciation. The last three have been stipulated more than once. But the regulations 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32334
2006
-
810.5
KCI등재
학술저널
69-92(24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deal Form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Korean Bae, Ju-chae The four major components of Standard Korean are grammar, vocabulary, orthography, and pronunciation. The last three have been stipulated more than once. But the regulations a...
The Ideal Form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Korean
Bae, Ju-chae
The four major components of Standard Korean are grammar, vocabulary, orthography, and pronunciation. The last three have been stipulated more than once. But the regulations are not systematically related to one another and some of their clauses are behind language change. So a good many have fel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Korean on any scale. The situation leads to discuss the ideal form of it. The basic elements of Standard Pronunciation should include allophones and suprasegmentals as well as phonemes. Actual pronunciation data should be collected carefully before deciding correct pronunciations on the basis of two principles, i.e. the principle of unification and the principle of regularization. A regulation such as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Korean is indispensible along with specified pronunciations in dictionaries.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Korean can be described in reference to spellings while the Orthography of Korean should not depend on pronunciations so as to avoid circular reasoning.
국문 초록 (Abstract)
국어 標準語를 구성하는 部門 가운데 標準文法을 제외하고 標準語彙, 標準表記, 標準發音에 대한 규정이 한 번 이상씩 공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이 有機的으로 잘 짜여져 마련되지 못한 ...
국어 標準語를 구성하는 部門 가운데 標準文法을 제외하고 標準語彙, 標準表記, 標準發音에 대한 규정이 한 번 이상씩 공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이 有機的으로 잘 짜여져 마련되지 못한 면이 있고 言語變化를 적절히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면도 있어 改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標準發音法의 이상적인 모습이 어떤 것인지를 논의했다. 우선 표준발음의 구성요소로서 音素뿐만 아니라 變異音과 超分節音도 포함할 필요가 있고 現實發音의 정확한 實態調査를 바탕으로 統一의 원칙과 規則化의 원칙에 따라 査定作業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 표준발음법이라는 규정은 辭典의 발음표시와 함께 필요한 존재이며 그것을 文書로뿐만 아니라 音聲媒體를 통해서도 공표해야 한다. 그리고 한글 맞춤법과 같은 표준표기법을 發音에 의지하지 않고 서술하고 표준발음법은 表記에 의지하여 서술하는 것이 循環論을 피하는 길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13-215, 2003
2 "표준어 사정 기준과 표준어의 성격" 국립국어연구원 (14-1) : 23-44, 2004
3 "표준 발음법과 언어 현실" 국립국어연구원 (14-1) : 45-65, 2004
4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5 "통일시대의 한글 맞춤법" 박이정 210-211, 1998
6 "자음-ㅎ 연쇄에서의 음변화"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34 : 21-41, 2004
7 민현식, "국어 정서법 연구" 태학사 327-, 1999
8 "국어 운율론" 한국연구원 1997
9 "국어 억양의 기본 성격과 특징" 국립국어연구원 58-90, 1993
10 "音韻現象과 形態論的 制約 國語音韻體系의 硏究 에 재수록" 91-115, 19711972
1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13-215, 2003
2 "표준어 사정 기준과 표준어의 성격" 국립국어연구원 (14-1) : 23-44, 2004
3 "표준 발음법과 언어 현실" 국립국어연구원 (14-1) : 45-65, 2004
4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5 "통일시대의 한글 맞춤법" 박이정 210-211, 1998
6 "자음-ㅎ 연쇄에서의 음변화"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34 : 21-41, 2004
7 민현식, "국어 정서법 연구" 태학사 327-, 1999
8 "국어 운율론" 한국연구원 1997
9 "국어 억양의 기본 성격과 특징" 국립국어연구원 58-90, 1993
10 "音韻現象과 形態論的 制約 國語音韻體系의 硏究 에 재수록" 91-115, 19711972
11 "韓國語 標準語의 諸問題 韓國 語文의 諸問題" 7-46, 1983
12 "方言 資料의 蒐集 方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 : 88-117, 1979
13 "改訂 國語史槪說" 民衆書館 229-, 1972
14 "‘하다’ 형용사에서의 表現的 長音 國語學의 새로운 認識과 展開" 744-762, 1991
15 "‘표준 발음법’과 ‘문화어발음법’ 규정" 국립국어연구원 157-188, 1993
16 "Palatalization in Korean" Tower Press 1976
17 "Palatalization in Korean" Tower Press 1976
淸凉山 遊山文學에 나타난 공간인식과 그 변모 양상 禹應順 425 -周世鵬과 李滉의 作品을 중심으로-
批判的 主體 형성을 위한 文識性 교육 원리 및 모형 探究
朝鮮朝 初期의 口碑文學史-새로 찾은 民謠ㆍ俗談 資料를 중심으로-
第7次 敎育課程의 文法 敎科書와 敎師用 指導書 검토-‘單語’와 ‘文章’ 單元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9-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942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