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진전쟁기 明 將官에 대한 接待都監 운영 양상 = The Management of Jeopdae Dogam for the Military Officials of the Ming Dynasty Dispatched to Joseon during the Imjin W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08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Ming by analyzing historical records, relics, and paintings of the management of Jeopdae Dogam, a temporary organization to supply the necessary to the commanders and officials of ...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Ming by analyzing historical records, relics, and paintings of the management of Jeopdae Dogam, a temporary organization to supply the necessary to the commanders and officials of the Ming Dynasty dispatched to Joseon during the Imjin War.
      Jeopdae Dogam was temporarily established to take care affairs of the Ming officials, because it was difficult for the prime officials of Joseon Dynasty alone to respond to their demands while the prestigious military officials of the Ming Dynasty were dispatched frequently to Joseon.
      The places to respond the prestigious military officials of the Ming Dynasty were also change. Due to the loss of capital palaces, Yongmangwan in Uiju, the guest houses in Yeongyu, Pyeongyang, Haeju, etc. and mansions of Jeongneung-dong in Seoul were used as the temporary palace. Even if there were not the emperor’s documents, King Seonjo went to Hongjewon or Mohwagwan in the Seogyo area to welcome the military officials of the Ming Dynasty. The construction of the Saengsadang shrines and memorial stones for the prestigious military officials of the Ming Dynasty were also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during the Imjin War.
      As the military officials continued to be dispatched from the Ming Dynasty, complaints about the reception of Jeopdae Dogam gradually increased in addition to the problems of foods and residences. Considering that high official of Dogam was neglected to respond due to their respective duties, the government appointed a separate Dangsang of Bibyeonsa to take charge of Dogam's work and to examine various tasks at the government office every day. The head of Saganwon was appointed as a translator, and Sahu Dangsang responded closely for the military officials of the Ming Dynasty.
      Pyeongyang-bu gave a banquet for the military of Ming returned, and one of the high officials was sent in advance to make hold a banquet with the governor of Pyeongyang as soon as generals of Ming Dynasty arrive there.
      The funeral rites for the generals of the Ming Dynasty who was sacrificed during the war held at the residences of capital town as a mortuary, and the memorial service was prepared in Jeopdae Dogam. King Seonjo visited the mortuary and stopped the state affairs for two days to encourage the military.
      Gunmun Dogam consisted of 20 people, including Jeopbansa, Nangcheong, Nangjung, and Wonoerang for Hyeong Gae, the Governor General of the military of Ming. Cheonjojangsa jeonbyeoldo of the Sejeonseohwa-cheop, which was handed down to the family of Kim Dae-hyun, showed a unique aspect as the mercenaries of troops of Ming Dynasty dispatched to Joseon during the Imjin War, such as Portuguese soldiers and monkeys. It is also noteworthy that several ethnic groups participated in the war during the Imjin War.
      Gyeongri Dogam consisted of 20 people and set up for Gyeongri Yang Ho and Man Se-deok. The place where they took care the military affairs appeared in the Gwanban Jemyeong-cheop and Hwanghwa Sahurok. It is significant that the Joseon government created voluntarily four monuments for Gyeongri Yangho. On the other hand, Gyeongri Man Se-deok made the Joseon government build his monument on Jaseong Fortress in Pusan, and the general Yu Jeong had a painter draw the documentary paintings to promote his achievem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모리스꾸랑, "한국서지" 일조각 2005

      2 정은주, "조선전기 明使 迎接과 記錄畵" 한국언어문화학회 (43) : 111-149, 2010

      3 "조선왕조실록"

      4 정은주,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사회평론 2012

      5 정은주, "조선시대 명청사행 관련 회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6 이종서, "조선시대 남별궁(南別宮)의 평면 구조와 변화" 한국건축역사학회 29 (29): 51-64, 2020

      7 황만기, "정탁(鄭琢)의 병법 수용 양상 연구" 영남문화연구원 (25) : 313-337, 2014

      8 박현규, "정유재란기 明軍의 戰勝 문물 고찰" 동아인문학회 (50) : 291-319, 2020

      9 윤진영, "장서각 소장의 『관반제명첩』" 7 : 2002

      10 이유원, "임하필기 권16"

      1 모리스꾸랑, "한국서지" 일조각 2005

      2 정은주, "조선전기 明使 迎接과 記錄畵" 한국언어문화학회 (43) : 111-149, 2010

      3 "조선왕조실록"

      4 정은주,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사회평론 2012

      5 정은주, "조선시대 명청사행 관련 회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6 이종서, "조선시대 남별궁(南別宮)의 평면 구조와 변화" 한국건축역사학회 29 (29): 51-64, 2020

      7 황만기, "정탁(鄭琢)의 병법 수용 양상 연구" 영남문화연구원 (25) : 313-337, 2014

      8 박현규, "정유재란기 明軍의 戰勝 문물 고찰" 동아인문학회 (50) : 291-319, 2020

      9 윤진영, "장서각 소장의 『관반제명첩』" 7 : 2002

      10 이유원, "임하필기 권16"

      11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12 이정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戰鬪記錄畵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2016

      13 한명기, "임진왜란과 명나라 군대" 54 : 2001

      14 김경태, "임진왜란 후, 明 주둔군 문제와 조선의 대응" 국학연구원 (147) : 353-397, 2009

      15 한명기, "임진왜란 시기 명군참전의 사회문화적 영향" 35 : 1997

      16 한명기, "임진왜란 시기 명군지휘부의 조선에 대한 요구와 간섭" 한국학연구소 (36) : 477-523, 2015

      17 한명기, "임진왜란 시기 明軍 逃亡兵 문제에 대한 一考" 한국학연구소 (44) : 453-484, 2017

      18 이정귀, "월사집 권16"

      19 차천로, "오산집 권6"

      20 이긍익, "연려실기술 권16"

      21 "신증동국여지승람 권3"

      22 "승정원일기"

      23 안대회, "소사전투에서 활약한 원숭이 기병대의 실체―임진왜란에 참전한 명(明) 원군(援軍)의 특수부대" 역사문제연구소 (124) : 294-323, 2018

      24 "세전서화첩" 민속원 2012

      25 이익, "성호사설 권23"

      26 이덕형, "선조대 유릉 택지에서 드러나는 왕릉 조영의 변화와 원인 -裕陵 擇地 풍수담론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13 (13): 171-200, 2010

      27 申欽, "상촌집 권57"

      28 하우봉, "동아시아 국제전쟁으로서의 임진전쟁" 한일관계사학회 (39) : 331-368, 2011

      29 "대동지지 권1"

      30 趙慶男, "난중잡록 3, 4"

      31 박정혜, "그림으로 기록한 가문의 역사: 조선시대 ≪풍산김씨세전서화첩≫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239-286, 2006

      32 "궁궐지 2" 서울학연구소 1996

      33 劉展, "邢玠與明代援朝抗倭戰爭" 山東師範大學 2011

      34 "通文館志 권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35 차혜원, "言官 徐觀瀾의 임진전쟁" 명청사학회 (53) : 63-95, 2020

      36 이항복, "白沙別集 권1"

      37 "明神宗實錄 卷250"

      38 林莉娜, "明人《出警入蹕圖》之綜合研究 上・下" 127・128 : 1993

      39 박현규, "明 邢玠 [經略御倭奏議]의丁酉再亂 史料 考察" 중국사학회 (113) : 35-62, 2018

      40 陳尙勝, "明 萬曆時期 朝鮮援助戰爭에 관련된 중요인물 - 『明史』에 立傳된 인물들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27-48, 2012

      41 成俔, "慵齋叢話 권1"

      42 김대현, "悠然堂集 권3"

      43 嚴璹, "忠烈祠志"

      44 "大明會典 卷97"

      45 정정남, "壬辰倭亂 이후 南別宮의 公廨的 역할과 그 공간 활용 - 장서각 소장 『소공동홍고양가도형』․『사대부가배치도형』의 분석을 통하여 -" 한국건축역사학회 18 (18): 43-62, 2009

      46 朴世采, "南溪集 권1"

      47 "再造藩邦志 2"

      48 魏沂釗, "便宜行事—尚方劍在晚明軍事中的應用" 東北師範大學 2020

      49 허지은, "丁應泰의朝鮮誣告事件을 통해 본 조명관계" 한국사학회 (76) : 169-205, 2004

      50 沈喜壽, "一松遺稿"

      51 허지은, "『海東諸國紀』의 유통과 조・중・일 관계" 인문과학연구소 (52) : 277-318, 2018

      52 정은주, "《영사정팔경도(永思亭八景圖)》의 문화적 함의와 회화적 특징" 한국학중앙연구원 39 (39): 139-174, 2016

      53 우경섭, "17-18세기 임진왜란 참전 明軍에 대한 기억" 한국학연구소 (46) : 323-354, 2017

      54 劉永連, "1601年朝鲜漢城明軍逃兵之亂" 31 (31):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0.99 1.7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