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성이 어떻게 증진되어 가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로서,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한 유치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60499
대구 :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및아동교육 , 2020. 8
2020
한국어
대구
60 ; 26 cm
지도교수: 손은애
I804:22009-20000034022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성이 어떻게 증진되어 가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로서,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한 유치원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성이 어떻게 증진되어 가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로서,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한 유치원 만 4세반 22(남9명, 여13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활동에 관한 연구를 2018년 09월∼2020년 06월까지 수행하였다.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담, 활동결과물, 학부모 면담과 가정과 연계, 교사 저널 등을 통하여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관한 탐구를 하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해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대해 탐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성 사고가 신장되었다. 유아들은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하면서 간판에 대한 다양한 특성을 탐색하고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의 유창성이 증진 되었다. 유아들은 많은 아이디어 속에서 정보들을 선택하여 표상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간판을 구체화-상세화 시키며 세련되게 하는 정교성이 길러져 창의적 사고가 증진 되었다.
둘째,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적 태도가 신장되었다. 유아들이 직접 생활 주변에 있는 간판의 모습을 관찰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민감성이 증진되었다. 프로젝트 활동 속에서 문제에 대해 주체적이고 자율적으로 해결해 나가며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능동적으로 변화하는 독립심이 증진되는 창의적 태도가 증진 되었다.
결론적으로 <간판>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사고와 창의적 태도가 신장하였으며,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