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창빈, "행복을 추구하는 행복정책은 가능한가?:행복을 목표로 하는 공공정책의 이론, 논란, 가능성과 조건들" 한국행정연구소 51 (51): 283-318, 2013
2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코로나 이후 지능형 서비스 사례분석 : 복지" (8) : 1-26, 2021
3 최고운 ; 김준수, "임파워먼트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80) : 177-204, 2022
4 김성아, "연령대별 삶의 만족 영향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2019 : 4-, 2019
5 석재은 ; 장은진,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21-349, 2016
6 김혜연, "성별 및 연령 집단별 주관적 삶의 질(subjective well-being)의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24 (24): 47-72, 2020
7 박희봉 ; 이희창,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비교 분석 -경제 . 사회적 요인인가? 사회자본 요인인가?-" 한국정부학회 17 (17): 709-728, 2005
8 신진영 ; 이원지, "사회적 자본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1 (11): 85-93, 2019
9 윤수인 ; 이홍직, "사회자본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8 (18): 117-123, 2023
10 이민홍 ; 고정은, "사회자본이 노인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85-110, 2015
1 우창빈, "행복을 추구하는 행복정책은 가능한가?:행복을 목표로 하는 공공정책의 이론, 논란, 가능성과 조건들" 한국행정연구소 51 (51): 283-318, 2013
2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코로나 이후 지능형 서비스 사례분석 : 복지" (8) : 1-26, 2021
3 최고운 ; 김준수, "임파워먼트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80) : 177-204, 2022
4 김성아, "연령대별 삶의 만족 영향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2019 : 4-, 2019
5 석재은 ; 장은진,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21-349, 2016
6 김혜연, "성별 및 연령 집단별 주관적 삶의 질(subjective well-being)의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24 (24): 47-72, 2020
7 박희봉 ; 이희창,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비교 분석 -경제 . 사회적 요인인가? 사회자본 요인인가?-" 한국정부학회 17 (17): 709-728, 2005
8 신진영 ; 이원지, "사회적 자본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1 (11): 85-93, 2019
9 윤수인 ; 이홍직, "사회자본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8 (18): 117-123, 2023
10 이민홍 ; 고정은, "사회자본이 노인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85-110, 2015
11 최지민 ; 김순은, "사회자본이 노인문제감소에 미치는 효과분석: 기초지방정부수준의 사회자본과 노인문제 지수를 활용하여" 한국정책학회 25 (25): 29-64, 2016
12 김지훈 ; 강욱모 ; 문수열,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과 사회적 자본 형성간의 관계분석: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0 (40): 25-50, 2013
13 김범중 ; 이홍직, "미국 이주 한인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3 (13): 145-168, 2011
14 박원우 ; 김미숙 ; 정상명 ; 허규만,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원인과 해결방안" 한국인사조직학회 15 (15): 89-133, 2007
15 최미영 ; 곽현근 ; 박현식,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미치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영향: 노인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6) : 307-328, 2014
16 이홍직,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25-42, 2009
17 강이주, "노인의 삶의 질 관련요인 분석" 가정과삶의질학회 26 (26): 129-142, 2008
18 김기영 ; 박희봉, "노인의 삶의 만족 영향 요인" 한국공공관리학회 34 (34): 231-254, 2020
19 최고운, "노인의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247-254, 2022
20 최미영,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18 : 25-46, 2008
21 김범중 ; 이미진, "노인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소득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75) : 1-27, 2020
22 권연화 ; 최열, "개인의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갈등 인식 및 포용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연구원 110 : 95-112, 2021
23 Frey, B. S., "What can economists learn from happiness research" 40 : 402-435, 2002
24 Veenhoven, R., "The four qualities of life" 1 : 1-39, 2000
25 Helliwell, J. F.,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359 : 1435-1446, 2004
26 Durand, M., "The OECD Better Life Initiative : How’s Life? and the Measurement of Well-Being" 61 (61): 1-17, 2015
27 Coleman, J. S, "The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28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 Three decades of progress" 125 (125): 276-302, 1999
29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95): 542-575, 1984
30 Campbell, A.,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31 (31): 117-124, 1976
31 Keyes, C. L. M., "Social well-being" 61 (61): 121-140, 1998
32 Kawachi, I., "Social Cohesion, Social Capital, and Health" 174 (174): 290-319, 2000
33 OECD, "OECD Guidelines on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OECD Publishing 2013
34 Putnam, R. D,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35 OECD, "How’s Life? Measuring Well-Being" OECD Publishing 2011
36 Helliwell, J. F., "Changing World Happiness. World Happiness Report" 12-45, 2019
37 Diener, E., "Advances and Open Questions in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Collabra Psych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8
38 한국행정연구원, "2021년 사회통합실태조사" 2022
39 보건복지부, "2021 보건복지통계연보"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