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기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남‧녀 대학생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 -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The Influence of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on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ocial Anxiety: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70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대학생들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 가족탄력성을 강조하고 발달시켜하는 부분을 살펴봄으로서 가족치료 및 상담적 접근과 가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 충정지역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545명을 대상으로 첫째, 남·녀 대학생에 따라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 가족탄력성, 대인불안감이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청소년기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남·녀 대학생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셋째, 남·녀 대학생의 청소년기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에 따른 대인불안감에 대해 가족탄력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대학생에 따라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 가족탄력성, 대인불안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녀 대학생이 청소년기에 경험한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은 대인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 대학생이 청소년기에 경험한 집단 괴롭힘 피해와 대인불안감 간의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과 남·녀 대학생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초기 성인기의 대인불안감에 대해 인식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 가족탄력성이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남으로써 개인의 문제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는 점, 청소년기에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을 한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상담 서비스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데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대학생들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 가족탄력성을 강조하고 발...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대학생들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 가족탄력성을 강조하고 발달시켜하는 부분을 살펴봄으로서 가족치료 및 상담적 접근과 가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 충정지역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545명을 대상으로 첫째, 남·녀 대학생에 따라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 가족탄력성, 대인불안감이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청소년기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남·녀 대학생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셋째, 남·녀 대학생의 청소년기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에 따른 대인불안감에 대해 가족탄력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대학생에 따라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 가족탄력성, 대인불안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녀 대학생이 청소년기에 경험한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은 대인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 대학생이 청소년기에 경험한 집단 괴롭힘 피해와 대인불안감 간의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과 남·녀 대학생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초기 성인기의 대인불안감에 대해 인식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 가족탄력성이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남으로써 개인의 문제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는 점, 청소년기에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을 한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상담 서비스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데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that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would have on the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amily therapy, counseling approach, and family education program by looking into the area where the family resilience should be emphasiz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exploration of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such relationship of influenc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total of 545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ial reg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 followings:
      First, we examined possible difference in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we examined to find whether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would affect the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rd, we examined whether the family resilience would have a moderating effect on social anxiety based on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amo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was found to affect the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family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ception towards the social anxiety in early adulthood by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validated that the family resilience was an important factor in overcoming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refore had an effect on personal problems, and furthermore,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family counseling service and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that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would have on the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amily therapy, counseling approach,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that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would have on the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amily therapy, counseling approach, and family education program by looking into the area where the family resilience should be emphasiz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exploration of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such relationship of influenc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total of 545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ial reg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 followings:
      First, we examined possible difference in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we examined to find whether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would affect the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rd, we examined whether the family resilience would have a moderating effect on social anxiety based on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amo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was found to affect the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family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ception towards the social anxiety in early adulthood by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validated that the family resilience was an important factor in overcoming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refore had an effect on personal problems, and furthermore,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family counseling service and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7
      • 2.1.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 7
      • 2.2. 대인불안감 13
      • 1. 서론 1
      •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7
      • 2.1.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 7
      • 2.2. 대인불안감 13
      • 2.3. 가족탄력성 15
      • 2.4.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 가족탄력성, 대인불안감 18
      • 3.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22
      • 3.1. 연구문제 22
      • 3.2. 연구모형 23
      • 3.3. 용어정의 24
      • 4. 연구방법 26
      • 4.1. 조사대상 26
      • 4.2. 자료수집 및 절차 31
      • 4.3. 측정도구 31
      • 4.4. 자료 분석 방법 37
      • 5. 연구결과 및 해석 38
      • 5.1. 주요 변인들의 전반적 경향 38
      • 5.2. 남녀 대학생에 따른 주요 변인 차이검증 39
      • 5.3. 남녀 대학생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41
      • 5.4. 모형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45
      • 6. 결론 및 논의 56
      • 참고문헌 63
      • 부록 74
      • ABSTRACT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