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도ㆍ중복장애인의 자립생활지원을 통한 지역사회 통합 방안 = A Study on Education-Welfare Linked Independent Living Support for Community Integration of Person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2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성공적으로 지역사회에 통합되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령기를 거쳐 사회에 진출하게 될 성인으로서 지역사회에서 삶을 영위하게 하는 방법은 누군가로부터의 도움을 받아서 생활하거나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등의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자립적으로 생활해 낼 수 있도록 장애인의 교육, 재활을 담당하는 유관 기관들 간의 유기적 협력을 꾀하여 성공적인 사회적 통합을 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과 복지가 연계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성공적으로 지역사회에 통합되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령기를 거쳐 사회에 진출하게 ...

      이 연구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성공적으로 지역사회에 통합되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령기를 거쳐 사회에 진출하게 될 성인으로서 지역사회에서 삶을 영위하게 하는 방법은 누군가로부터의 도움을 받아서 생활하거나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등의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자립적으로 생활해 낼 수 있도록 장애인의 교육, 재활을 담당하는 유관 기관들 간의 유기적 협력을 꾀하여 성공적인 사회적 통합을 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과 복지가 연계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way of successful integrated life in local communit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fter graduating from their high schools. Adults with disabilities could live with others’ help or independently in their community as they grow older. The study searched the way of education-welfare linked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live independently after graduating their high schools through cohesive cooperation among institutions of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way of successful integrated life in local communit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fter graduating from their high schools. Adults with disabilities could live with others’ help or independen...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way of successful integrated life in local communit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fter graduating from their high schools. Adults with disabilities could live with others’ help or independently in their community as they grow older. The study searched the way of education-welfare linked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live independently after graduating their high schools through cohesive cooperation among institutions of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Ⅱ. 자립생활관련 제도 고찰 및 연구동향 4
      • Ⅲ. 자립생활을 위한 지원조건 및 유형 9
      • Ⅳ. 논의 및 결론 12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Ⅱ. 자립생활관련 제도 고찰 및 연구동향 4
      • Ⅲ. 자립생활을 위한 지원조건 및 유형 9
      • Ⅳ. 논의 및 결론 1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용찬, "한국의 장애인복지정책과 자립생활" 5 : 32-49, 2004

      2 정종화, "한국의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제도화방안 연구" 167-170, 2006

      3 박경옥,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67-190, 2010

      4 박은송,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64-184, 2011

      5 윤순이,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09

      6 한진수,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4

      7 박은송, "중도장애학생의 졸업 후 지역사회 전환에 따른 진로·직업 실태 및 교육효과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59-180, 2011

      8 국은주, "중도장애인의 동료상담과 자립생활에 관한 연구: 국립재활원 자립생활훈련생 중 척수장애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3

      9 이달엽, "정신지체인 지역사회 적응기술 평가척도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127-156, 2004

      10 박승희, "정신지체: 정의, 분류, 지원체계" 교육과학사 1994

      1 변용찬, "한국의 장애인복지정책과 자립생활" 5 : 32-49, 2004

      2 정종화, "한국의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제도화방안 연구" 167-170, 2006

      3 박경옥,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67-190, 2010

      4 박은송,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64-184, 2011

      5 윤순이,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09

      6 한진수,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4

      7 박은송, "중도장애학생의 졸업 후 지역사회 전환에 따른 진로·직업 실태 및 교육효과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59-180, 2011

      8 국은주, "중도장애인의 동료상담과 자립생활에 관한 연구: 국립재활원 자립생활훈련생 중 척수장애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3

      9 이달엽, "정신지체인 지역사회 적응기술 평가척도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127-156, 2004

      10 박승희, "정신지체: 정의, 분류, 지원체계" 교육과학사 1994

      11 국립특수교육원, "장애학생 진로ㆍ직업교육 자립생활훈련" 국립특수교육원 2011

      12 국립특수교육원, "장애학생 진로ㆍ직업교육 내실화 사업 평가보고서" 국립특수교육원 2010

      13 교육과학기술부, "장애학생 진로ㆍ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0

      14 오혜경, "장애인의 자립생화 실천에 관한 연구" 3 (3): 39-63, 1999

      15 심석순,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평가도구개발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3 (13): 271-295, 2009

      16 이익섭, "장애인 자립생활모델에 대한 탐색적 고찰: 사회적 배제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4 (14): 49-81, 2007

      17 김익균, "장애복지론" 교문사 48-52, 2004

      18 국립특수교육원, "장애 학생 진로직업교육 자립생활훈련 성과지표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11

      19 오혜경, "장애 아동 가족 지원에 관한 고찰" 6 (6): 53-75, 2001

      20 김동호, "자립생활패러다임에서 본 한국 장애인복지관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21 조한진, "자립생활센터의 중증장애인 고용과 고용지원서비스 실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7 (17): 193-219, 2007

      22 박수경,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생애주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37-264, 2006

      23 이익섭, "자립생활 시범사업 평가 및 모델개발 보고서" 보건복지부 2006

      24 박선아,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능력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체적·정신적 자립생활능력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25 서정희, "생활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 又石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26 최영광, "생활시설 장애인의 자립생활 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기초환경 탐색"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27 통계청, "생명표: 간이 생명표(각세별)"

      28 박병현, "사회적 배제와 하층계급의 개념고찰과 이들 개념들의 한국빈곤정책에 함의" 45 : 185-219, 2001

      29 이철수, "사회복지학 사전" Blue Fish 2009

      30 박미라, "비디오 자기모델링 활용이 자폐장애 아동의 자립생활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1 윤재영, "개념도를 활용한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의 서비스 구성"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3 (13): 41-60, 2009

      32 Ratzka, A., "http://ko.wikipedia.org/wiki/"

      33 Cole, J. A., "What’s new about independent living" 60 : 458-462, 1979

      34 Oliver, M., "Social Work: Disabled People and Disabling Environments(ed.)" Kingsley Press 1991

      35 Shapiro, J., "No Pity: People with disabilities gorging a new civil rights movement" Time Books 1994

      36 DeJong, G., "Independent living: From social movement to analytic paradigm" 60 : 435-446, 1979

      37 Dejong, G., "Independent living outcomes" 65 : 66-73, 1984

      38 Brisenden, S., "Independent Living and the medical model of disability" 1 (1): 173-178, 1986

      39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IL MAP 장애인자립생활센터운영매뉴얼"

      40 DeJong, G., "Environmental Accessibility and Independent Living- Directions for Disability Policy and Research" University Center for International Rehabili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1981

      41 Wehmeyer, M., "A career education approach: Self-determination for youth with mild cognitive disabilities" 30 : 57-163, 1995

      42 교육과학기술부, "2011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0

      43 교육과학기술부, "2010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09

      44 교육과학기술부, "2010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별책 2]"

      45 교육과학기술부, "2010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별책 1]"

      46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중학교 진로교육 매뉴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