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숙인 생활시설 종사자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며 둘째, 슈퍼비전이 두 변수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867920
청주 :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18. 8
2018
한국어
충청북도
iv, 68 p. : 삽화, 도표; 26 cm.
청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 study on emotional labor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homeless shelter workers : Focused on moderating role of supervision
지도교수:장수미
참고문헌: p. 53-58
I804:43007-20000010402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숙인 생활시설 종사자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며 둘째, 슈퍼비전이 두 변수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숙인 생활시설 종사자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며 둘째, 슈퍼비전이 두 변수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노숙인 생활시설 종사자 중 사회복지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상담부장,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생활복지사, 생활지도원이다. 총 32개 노숙인 시설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224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회수율 87.1%), 이중 218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척도의 신뢰도 검사, 기술 통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석사재학이상, 재활시설 종사자가 학사출신 및 요양시설 종사자보다 감정노동을 더 많이 인식하였다. 전문직 삶의 질에서는 40대 ~ 50대 이상의 연령이 20대의 종사자보다 공감만족을 더 많이 인식하였으며,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는 종교가 없는 경우 있는 경우보다 더 많이 인식하였다.
둘째, 노숙인 생활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정노동은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 영역인 공감만족과는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소진과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와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슈퍼비전은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어, 노숙인 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에도 불구하고 전문적 삶의 질의 저하를 완충하는 요인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노숙인 생활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에 대한 사회복지 학문적, 실천적, 정책적 관심을 제고하였고, 시설차원에서 종사자의 감정노동 대처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감정노동의 전문직 삶의 질에 관계에서 슈퍼비전의 조절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시설차원에서 종사자에 대한 슈퍼비전 제공의 필요성 강화, 슈퍼바이저 인력의 확보와 정기적인 슈퍼비전 시스템의 운영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s an effect of emotional labor that workers in homeless shelters experience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econd, it verifies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ion between two variabl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s an effect of emotional labor that workers in homeless shelters experience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econd, it verifies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ion between two variables. Objects of study are counseling department heads,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ocial workers, and care workers who are responsible for social welfare-related task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otal 32 homeless shelters and total 224 ones were collected (The collect rate of 87.1%). Among them, response of 218 persons was used in an analysis. For methods of data analyses, a reliability test of scal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hierarchical analysis were don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found that workers who took master's degrees and above in rehabilitation facilities got more aware of emotional labor than those who did bachelor's degrees in care faciliti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has found that workers in their 40s and 50s and above got more aware of compassion satisfaction than those who are in their 20s. And it has found that workers without religion got more aware of traumatic stress than those who do not believe in religions. Second, the results which examined an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workers in homeless shelters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re as follows: Emotional labor indicat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passion satisfaction, the sub-domain, an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Third, supervision was the factor which buffered decline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despite emotional labor of workers in homeless shelters as moderating effect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improved academic, practical, and political interest in social welfare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program development for coping with emotional labor of workers at a facilities' level. And it emphasized reinforcement of the necessity of providing supervision for workers at facilities' level, the security of supervision personnel, and the importance of operating supervision systems regularl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