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 곶자왈 시험림 산림유형별 임분구조와 관리방향 =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by Forest Types in Jeju Gotjawal Experimental Fores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주도 곶자왈 시험림을 대상으로 산림유형을 분류하고 식생구조 특성을 평가하였다.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된 수종별 흉고단면적을 이용한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5가지 산림유형으로...

      제주도 곶자왈 시험림을 대상으로 산림유형을 분류하고 식생구조 특성을 평가하였다.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된 수종별 흉고단면적을 이용한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5가지 산림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제주도 곶자왈 시험림의 산림유형은 중요치를 고려하여 종가시나무 순림, 종가시나무우점림, 편백 우점림, 활엽수혼효림, 침활혼효림으로 각각 명명하였다. 종가시나무 우점림과 편백 우점림은 숲 틈의 인위적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보이며, 종가시나무 순림, 활엽수혼효림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교란 위협으로부터 보호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침활혼효림은소나무 재선충병 피해지이므로, 고사목 발생으로 인한 식생 교란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곶자왈 지역의 산림자원 보전전략 수립에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ju Island. Five forest types were classified through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using the basal area for each tree species collected through field surveys. The forest types in the Gotjawal Experimental Forest in Jeju Island were divided into five...

      Jeju Island. Five forest types were classified through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using the basal area for each tree species collected through field surveys. The forest types in the Gotjawal Experimental Forest in Jeju Island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such as Quercus glauca forest, Quercus glauca dominant forest, Chamaecyparis obtusa dominant forest, Broadleaf mixed forest, and Conifer-broadleaf mixed forest considering their importance valu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rtificial creation of crown gaps is required for the Quercus glauca dominant forests and the Chamaecyparis obtusa dominant forests. Moreover, it needs believe that the Quercus glauca forests and the Broadleaf mixed forests have to be protected from the threat of disturbance through continuous or long-term monitoring. As the Conifer-broadleaf mixed forests are located in areas where damage from pine wilt disease has occurred, it should prepare to prevent forest disturbance from occurrence of deed tre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 a conservation approach for the forest resources in the Gotjawal reg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준형, "한국 남부권역 곰솔 임분의 식생구조 및 생장 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7 (47): 135-145, 2013

      2 정상훈, "속리산 천왕봉 일대의 산림형 분류와 생태적 특성" 한국산림과학회 104 (104): 375-382, 2015

      3 정상훈, "다변량 통계 분석법의 연속 적용에 의한 서부 지리산 천연림의 산림 피복형 분류" 한국산림과학회 102 (102): 407-414, 2013

      4 송주현,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 사찰림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33 (33): 722-733, 2019

      5 Day FP, "Vegetation patterns on a southern appalachian watershed" 55 (55): 1064-1067, 1974

      6 Lee DK, "Silviculture" Hyangmunsa 68-80, 2010

      7 Braun-Blaunquet J,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Springer-Verlag 865-, 1964

      8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9 Yamamoto SI, "Gap characteristics and gap regeneration in primary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western Japan" 105 : 28-45, 1992

      10 Lee KJ, "Forest ecology" Hyangmunsa 1-100, 1999

      1 박준형, "한국 남부권역 곰솔 임분의 식생구조 및 생장 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7 (47): 135-145, 2013

      2 정상훈, "속리산 천왕봉 일대의 산림형 분류와 생태적 특성" 한국산림과학회 104 (104): 375-382, 2015

      3 정상훈, "다변량 통계 분석법의 연속 적용에 의한 서부 지리산 천연림의 산림 피복형 분류" 한국산림과학회 102 (102): 407-414, 2013

      4 송주현,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 사찰림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33 (33): 722-733, 2019

      5 Day FP, "Vegetation patterns on a southern appalachian watershed" 55 (55): 1064-1067, 1974

      6 Lee DK, "Silviculture" Hyangmunsa 68-80, 2010

      7 Braun-Blaunquet J,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Springer-Verlag 865-, 1964

      8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9 Yamamoto SI, "Gap characteristics and gap regeneration in primary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western Japan" 105 : 28-45, 1992

      10 Lee KJ, "Forest ecology" Hyangmunsa 1-100, 1999

      11 임은영, "Floristics of bryophytes in Dongbaek-dongsan at Seonheul Gotjawal" 한국식물분류학회 43 (43): 274-284, 2013

      12 Brower JE,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C. Brown Co. Publishers DBQ, 194-, 1977

      13 Salwasser H, "Ecosystem management: Can it sustain diversity and productivity?" 92 (92): 6-10, 1994

      14 Pielou EC, "Ecological diversity" Wiley 165-, 1975

      15 Whittaker RH,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147 : 250-260, 1965

      16 손호준, "DMZ 인근지역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대성산, 주파령)의 식물상 및 식생군집분석" 한국산림과학회 105 (105): 19-41, 2016

      17 이정민, "Cluster 분석에 의한 백두대간 남부권역 천연림의 산림 분류" 한국산림과학회 103 (103): 12-22, 2014

      18 Shannon DE,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27 : 379-423, 194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