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독교교육 교육사상적 기반으로서의 코메니우스 범교육학(Pampaedia)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41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은 인간을 기르는 과정이다. 그런데 인간은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를 실현해 간다. 따라서 교육적 실천은 언제나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규정된다.
      이 과제를 실현할 수 있는 실마리를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Johann Amos Comenius)의 범교육론에서 찾고자 한다.코메니우스는 17c 중세에서 근대에로 넘어오는 시기에 산 기독교교육학자이며 그의 범교육론은 기독교교육서로서 그의 모든 교육학의 정접에 있으며 중심을 차지한다.
      범교육론은『Dererum humanarum emendatione Consultationis Catholica, 인간세계의 개선에 관한 일반담론』의 한 부분으로 코메니우스 사상을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범지(pansophia)를 가르치는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인간세계의 개선에 관한 일반담론』에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인간 세계가 개선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일반적(Catholicus) 혹은 보편적(Universalis) 이라는 형용사에 의해 제시되며, 코메니우스는 이 형용사를 그리스어인 πav(pan:전체)과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개선의 표준으로 정하는 것은 인간 즉 그의 건강이나 혹은, 시민이나 가족의 영화로운 삶이 아니라 전체(Pan, Ganzen, All)이다. 일반담론의 목표는 전체 즉 하나님의 창조질서 하나님, 인간, 세계의 질서의 회복에 있으며, 인간은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매개로 존재한다. 인간의 개선을 통해서 전체,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하는 것이다.
      코메니우스는 인간의 자연물질의 올바른 사용을 하나님의 창조질서 회복의 실천적 계기로서 파악한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물(物)은 물질주의의 죽은 물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코메니우스에게 있어서 회복된 물은 다름 아닌 모든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내포하고 있는 물(物)이며 회복된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 본질인 것이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코메니우스의 범교육론을 통하여 범교육학(Pampaedia) 교육사상에 대한 내용과 구조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코메니우스의 교육목적론의 의의를 밝히고, 나아가 그의 사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통해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 교육사상적 의의를 밝히고 나아가 현대 기독교교육의 과제 및 역할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교육은 인간을 기르는 과정이다. 그런데 인간은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를 실현해 간다. 따라서 교육적 실천은 언제나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규정된다. 이 과제를 실현할 수...

      교육은 인간을 기르는 과정이다. 그런데 인간은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를 실현해 간다. 따라서 교육적 실천은 언제나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규정된다.
      이 과제를 실현할 수 있는 실마리를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Johann Amos Comenius)의 범교육론에서 찾고자 한다.코메니우스는 17c 중세에서 근대에로 넘어오는 시기에 산 기독교교육학자이며 그의 범교육론은 기독교교육서로서 그의 모든 교육학의 정접에 있으며 중심을 차지한다.
      범교육론은『Dererum humanarum emendatione Consultationis Catholica, 인간세계의 개선에 관한 일반담론』의 한 부분으로 코메니우스 사상을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범지(pansophia)를 가르치는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인간세계의 개선에 관한 일반담론』에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인간 세계가 개선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일반적(Catholicus) 혹은 보편적(Universalis) 이라는 형용사에 의해 제시되며, 코메니우스는 이 형용사를 그리스어인 πav(pan:전체)과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개선의 표준으로 정하는 것은 인간 즉 그의 건강이나 혹은, 시민이나 가족의 영화로운 삶이 아니라 전체(Pan, Ganzen, All)이다. 일반담론의 목표는 전체 즉 하나님의 창조질서 하나님, 인간, 세계의 질서의 회복에 있으며, 인간은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매개로 존재한다. 인간의 개선을 통해서 전체,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하는 것이다.
      코메니우스는 인간의 자연물질의 올바른 사용을 하나님의 창조질서 회복의 실천적 계기로서 파악한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물(物)은 물질주의의 죽은 물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코메니우스에게 있어서 회복된 물은 다름 아닌 모든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내포하고 있는 물(物)이며 회복된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 본질인 것이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코메니우스의 범교육론을 통하여 범교육학(Pampaedia) 교육사상에 대한 내용과 구조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코메니우스의 교육목적론의 의의를 밝히고, 나아가 그의 사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통해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 교육사상적 의의를 밝히고 나아가 현대 기독교교육의 과제 및 역할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
      • B.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2
      • Ⅱ. 코메니우스의 생애와 교육사상 배경 4
      • A. 코메니우스의 생애 4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
      • B.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2
      • Ⅱ. 코메니우스의 생애와 교육사상 배경 4
      • A. 코메니우스의 생애 4
      • B.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배경 6
      • C. 코메니우스의 인간 이해 8
      • Ⅲ.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Pampaedia)사상 11
      • A. 범교육학의 기본원리 12
      • 1. Didactica 와 Paideia 12
      • 2. 길 인도로서의 교육 educatio 13
      • 3. 제자리에 앉히는 교육 institutio 14
      • B. 범교육학의 교육목적 15
      • C. 범교육학의 교육이념 18
      • 1. 모든 사람들(Omnes) 18
      • a. 여성 교육 19
      • b. 가난한 자 교육 21
      • c. 장애자 교육 22
      • 2. 모든 것(Omnia) 24
      • 3. 모든 포괄적인 방법(Omnino) 29
      • a. 전체적이고 완전하게 31
      • b. 참되고 철저하게 32
      • c. 온화하고 즐겁게 34
      • D. 범교육학의 내용 36
      • 1. 하나님이 주신 세권의 책 37
      • 2. 학교에서 사용되는 교재로서의 책 38
      • E. 범교육학의 장 41
      • 1. 범지혜 학교의 의미와 본질 41
      • 2. 학교의 조직과 구성 44
      • 3. 학급의 구분 46
      • 4. 학교의 장소와 학습시간의 운영 47
      • 5. 8단계 학교론 50
      • a. 태아학교 50
      • b. 유아기학교 52
      • c. 아동기학교 54
      • d. 청소년학교 56
      • e. 청년기학교 57
      • f. 젊은 장년기학교 58
      • g. 노년기학교 59
      • h. 사망기학교 60
      • F. 범교사론 60
      • Ⅳ.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사상 교육방법론 65
      • A. 교육의 기초로서의 인식론적 유형 65
      • B. 귀납법적 교육 67
      • C. 단계적, 발달론적 교육 68
      • D. 교육적 인식을 위한 세 원천 70
      • Ⅴ.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 사상 평가 및 기독교교육적 적용 72
      • A. 평가 72
      • 1. 공헌점 72
      • a. 하나님의 창조질서 회복을 위한 인간교육 72
      • b. 지성과 덕성과 종교성의 통합으로서의 전인적 평생교육 73
      • 2. 제한점 74
      • a. 인간과 세계와 교육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 74
      • B. 코메니우스 범교육학사상의 구조분석을 통한 기독교교육의 교육목적론 76
      • 1. 팜패디아의 구조분석 76
      • a. 1장에서 4장의 구조분석과 구조의 특징 76
      • b. 5장에서 7장의 구조분석과 구조의 특징 80
      • c. 8장에서 15장의 구조분석과 구조의 특징 84
      • 2. 구조분석을 통해 본 팜패디아의 기독교교육 목적론 85
      • a. 구조분석을 통해 본 팜패디아 의 특징 89
      • b. 구조분석을 통해 본 팜패디아 의 기독교교육목적론의 특징 90
      • C.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 교육사상적 의의 92
      • D. 현대 기독교교육의 과제 및 역할과 전망 96
      • 1. 코메니우스의 재해석 및 현대 기독교교육의 재구성 96
      • 2. 현대 기독교교육에서 영성교육의 중요성과 전망 제시 97
      • 3. 새 공동체를 지향하는 기독교교육의 역할과 전망 제시 98
      • Ⅵ. 결론 100
      • A. 요약 100
      • B. 제언 101
      • 참고문헌 1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