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은 인간을 기르는 과정이다. 그런데 인간은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를 실현해 간다. 따라서 교육적 실천은 언제나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규정된다. 이 과제를 실현할 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은 인간을 기르는 과정이다. 그런데 인간은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를 실현해 간다. 따라서 교육적 실천은 언제나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규정된다. 이 과제를 실현할 수...
교육은 인간을 기르는 과정이다. 그런데 인간은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를 실현해 간다. 따라서 교육적 실천은 언제나 자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규정된다.
이 과제를 실현할 수 있는 실마리를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Johann Amos Comenius)의 범교육론에서 찾고자 한다.코메니우스는 17c 중세에서 근대에로 넘어오는 시기에 산 기독교교육학자이며 그의 범교육론은 기독교교육서로서 그의 모든 교육학의 정접에 있으며 중심을 차지한다.
범교육론은『Dererum humanarum emendatione Consultationis Catholica, 인간세계의 개선에 관한 일반담론』의 한 부분으로 코메니우스 사상을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범지(pansophia)를 가르치는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인간세계의 개선에 관한 일반담론』에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인간 세계가 개선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일반적(Catholicus) 혹은 보편적(Universalis) 이라는 형용사에 의해 제시되며, 코메니우스는 이 형용사를 그리스어인 πav(pan:전체)과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개선의 표준으로 정하는 것은 인간 즉 그의 건강이나 혹은, 시민이나 가족의 영화로운 삶이 아니라 전체(Pan, Ganzen, All)이다. 일반담론의 목표는 전체 즉 하나님의 창조질서 하나님, 인간, 세계의 질서의 회복에 있으며, 인간은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매개로 존재한다. 인간의 개선을 통해서 전체,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하는 것이다.
코메니우스는 인간의 자연물질의 올바른 사용을 하나님의 창조질서 회복의 실천적 계기로서 파악한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물(物)은 물질주의의 죽은 물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코메니우스에게 있어서 회복된 물은 다름 아닌 모든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내포하고 있는 물(物)이며 회복된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 본질인 것이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코메니우스의 범교육론을 통하여 범교육학(Pampaedia) 교육사상에 대한 내용과 구조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코메니우스의 교육목적론의 의의를 밝히고, 나아가 그의 사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통해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 교육사상적 의의를 밝히고 나아가 현대 기독교교육의 과제 및 역할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