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673년 세종지역 불교신앙의 성격 = Nature of Buddhist Faith in Sejong Area in 67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resent Sejong area, several Buddha statues at a specific time in the year of 673 are being created. The Buddha statues are a type of stone monument that has not been found before, and they are Amitabulbisang(阿彌陀佛碑像) and Cheonbulbis...

      In the present Sejong area, several Buddha statues at a specific time in the year of 673 are being created. The Buddha statues are a type of stone monument that has not been found before, and they are Amitabulbisang(阿彌陀佛碑像) and Cheonbulbisang(千佛碑像).
      The Gyeyunyeon(癸酉年) 673 year was the time after Silla built the Soboryju(所夫里州) in the Sabi(泗沘) area of Baekje and it is understood that Silla secured control over the area since then. If so, it could be seen that the influence of Silla on this area was exercised during the period. However, inscription of the Amitabulbisang shows Dalsol(達率), which is a rank of Baekje. It is the only thing that appears in the inscription, whereas Jisik(智識) and Hyangdo(香徒) shown in the inscription are all using the ranks of Silla. This means that Baekje's religious influence still remained.
      If Baekjae's religious influence had been sustained, it could be examined through the nature of the Amitabha belief. Amitabha belief began from human instinctive fear of death, and it seems that it contains a future-oriented nature reflecting the dark reality that Baekje people felt through destruction and war of the countr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Cheonbulbisang, which is found in the same area, shows a different nature from the Amitabulbisang. Cheonbulbisang uses the term Hyangdo of a Silla element, but it does not exhibit any rank of Baekje at all. Above all, nature of the Cheonbulbisang, is strongly projecting the will to embody the present age as the Buddha's Pure Land. 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Shilla's Amitabha belief at that time had a temporal nature. If so, it can be said that Silla's influences were included in composition of the Cheonbulbisang.
      The fact that the future-oriented belief of Baekje and the temporal Pure Land realization belief of Silla were mixed and appeared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region reflects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s well as the unification state. Because Silla was conducting a war with Tang at the time, the present Sejong area was a key point of military and transportation. Therefore, it is deemed that Silla exercised influence on formation of Buddha statues in Sejong area in Gyeyunyeon 673, considering the geopolitical position of the region and the groundwork of the Silla-Tang War(羅唐戰爭).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의 세종지역에는 673년이란 특정시점에 다수의 佛碑像이 조성되고 있다. 이 불비상은 이전에는 발견된 바 없는 石碑형식으로,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과 「계유명삼존천불비상」...

      현재의 세종지역에는 673년이란 특정시점에 다수의 佛碑像이 조성되고 있다. 이 불비상은 이전에는 발견된 바 없는 石碑형식으로,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과 「계유명삼존천불비상」이 그것이다.
      계유년인 673년은 신라가 백제의 사비지역에 소부리주를 설치한 이후로,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렇다면 이 지역에 대한 신라의 영향력이 행사되던 시기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아미타불비상의 명문에는 백제의 관등인 達率이 보인다. 명문에 보이는 지식 및 향도들이 모두 신라의 관등이 사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유일하게 보이는 것이다. 이는 여전히 백제의 신앙적 영향력이 남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백제의 신앙적 영향력이 지속되고 있었다면, 이는 아미타신앙의 성격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아미타신앙은 죽음에 대한 인간의 본능적인 두려움에서 출발한 것으로, 나라의 멸망과 전쟁을 통하여 백제의 유민들이 느꼈을 암울한 현실을 투영한 내세지향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같은 시기에 동일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천불비상은 아미타불비상과는 다른 성격을 보여준다. 천불비상에는 신라적 요소인 香徒란 용어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백제의 관등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천불비상의 성격이 현세를 부처의 정토로 구현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게 투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당시 신라의 아미타신앙이 현세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천불비상의 조성에 신라의 영향력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같은 시기에 동일한 지역에서 백제의 내세지향적 신앙과 신라의 현세적 정토구현의 신앙이 혼융되어 나타나는 것은 통일정국이라는 점과 더불어 이 지역이 가지는 지정학적 특성도 반영한다. 현재의 세종지역은 군사 및 교통의 요충지이며, 당시 신라가 당과의 전쟁을 수행하고 있었던 점을 고려할 때 그러하다. 따라서 신라가 계유년인 673년에 세종지역의 불비상 조성에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이 지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를 고려하면서 나당전쟁에 대한 포석도 함께 생각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웅석, "한국 고대 香徒의 조직과 역할" 한국고대사학회 (81) : 179-220, 2016

      2 김영미, "통일신라시대 아미타신앙의 역사적 성격" 50·51 : 1985

      3 정요근, "통일신라시기의 간선교통로 - 王京과 州治·小京 간 연결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63) : 147-190, 2011

      4 정병삼, "통일신라 관음신앙" 서울대 국사학과 8 : 1982

      5 노중국, "통일기 신라의 백제고지지배" 한국고대사학회 1 : 1988

      6 이기운, "천태의 육근참회와 원효의 육정참회 천태의 법화삼매참의와 원효의 대승육정참회를 중심으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15) : 117-148, 2006

      7 민순의, "참법(懺法)의 종교학적 기능과 의미 - 의식(意識)과 의식(儀式)의 두 측면을 중심으로 -" 불교문예연구소 (8) : 63-104, 2017

      8 문명대, "원오리사지 소조상의 연구-고구려천불상 조성과 관련하여-" 58-70, 1981

      9 김수태, "연기지방의 백제부흥운동" 19 : 2003

      10 김주성, "연기불상군 명문을 통해 본 연기지방 백제유민의 동향" 15 : 2000

      1 채웅석, "한국 고대 香徒의 조직과 역할" 한국고대사학회 (81) : 179-220, 2016

      2 김영미, "통일신라시대 아미타신앙의 역사적 성격" 50·51 : 1985

      3 정요근, "통일신라시기의 간선교통로 - 王京과 州治·小京 간 연결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63) : 147-190, 2011

      4 정병삼, "통일신라 관음신앙" 서울대 국사학과 8 : 1982

      5 노중국, "통일기 신라의 백제고지지배" 한국고대사학회 1 : 1988

      6 이기운, "천태의 육근참회와 원효의 육정참회 천태의 법화삼매참의와 원효의 대승육정참회를 중심으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15) : 117-148, 2006

      7 민순의, "참법(懺法)의 종교학적 기능과 의미 - 의식(意識)과 의식(儀式)의 두 측면을 중심으로 -" 불교문예연구소 (8) : 63-104, 2017

      8 문명대, "원오리사지 소조상의 연구-고구려천불상 조성과 관련하여-" 58-70, 1981

      9 김수태, "연기지방의 백제부흥운동" 19 : 2003

      10 김주성, "연기불상군 명문을 통해 본 연기지방 백제유민의 동향" 15 : 2000

      11 전영래, "연기 비암사석불비상과 진모씨" 24 : 1994

      12 정은우, "연구논문 : 연기 불비상과 충남지역의 백제계 불상" 백제문화연구소 (32) : 89-98, 2003

      13 이기백, "신라사상사연구" 일조각 1986

      14 김영미, "신라불교사상사연구" 민족사 1994

      15 김지견, "신라 화엄학의 계보와 사상" 12 : 1973

      16 안병섭, "신라 지명 ‘연기(燕岐)’의 명명 연원에 관한 고찰" 한국학연구소 (60) : 141-170, 2017

      17 김영태, "선광사연기를 통해 본 백제의 청관음경신앙과 그 일본전파" 19 : 1982

      18 도이 쿠니히코, "삼국시대의 선지식과 지식의 기초적 검토" 16 : 1999

      19 정경희, "삼국시대 사회와 불교경전의 연구" 60 : 1988

      20 김영태, "삼국시대 불교신앙 연구" 불광출판사 1990

      21 국립청주박물관, "불비상 염원을 새기다" 2013

      22 정병삼, "불교철학의 확립" 국사편찬위원회 9 : 1995

      23 노중국,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1988

      24 곽동석, "백제의 조각과 미술" 공주대박물관·충청남도 1992

      25 강종원, "백제와 주변세계" 진인진 2012

      26 조경철, "백제불교사연구" 지식산업사 2016

      27 강희정, "백제 양류관음상고-호림박물관 소장 양류관음상 2구를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70·71 : 2004

      28 강진원, "계유명아미타삼존사면석불 명문 검토" 12 : 2014

      29 김창호,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의 명문" 8 : 1991

      30 최병식, "계유명삼존천불비상에 대한 재검토" 19 : 2003

      31 김수진, "계유명 조상비의 조성과 신라의 연기지역 영역화" 2017

      32 "賢劫經"

      33 "維摩經"

      34 길기태, "百濟 泗期의 阿彌陀信仰" 진단학회 (102) : 27-57, 2006

      35 소현숙, "燕岐地域 佛敎造像碑 연구 -石碑形의 形式과 癸酉銘像의 銘文을 中心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6) : 117-152, 2017

      36 김춘실, "日本 <善光寺緣起>에 보이는 百濟 佛敎受容의 一例" 백제연구소 (45) : 81-104, 2007

      37 길장, "大乘玄論"

      38 "三國遺事"

      39 "三國史記"

      40 정병삼, "7세기 후반 신라불교의 사상적 경향" 불교학연구회 9 : 153-176, 2004

      41 홍련희, "7世紀 燕岐地域 阿彌陀佛像의 西方淨土圖像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11 : 71-105,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34 0.72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