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북동토성의 성벽 축조기법과 축조시기 검토 = A Study on the Method of Building Walls and the Time of Construction for the Jeongbukdong Earthen For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2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ongbukdong Earthen Fortress is a square-shaped fortress built on the flatland of River side with the same position as the Pungnap Earthen Fortress in Seoul. Its planar form is very similar to that of Sogoseong fortress in the Jeokbyeok Fortress of Han Dynasty.
      Jeongbukdong Earthen Fortress is a Plate Earthen fortress(版築土城). Its walls were constructed by stamping the earth on the ground, building a basis, installing Board for Panchuk, making the central earthwork in a trapezoid form in cross section, and adding earthwork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parts of the central earthwork. There were no rows of stylobate stone in and outside the basis in the central earthwork. Wooden columns were installed at an interval of 1.5~2.1m to fix the Board. This method of building fortress walls is very similar to that of Plate Earthen fortresses in ancient China and that of Plate Earthen fortresses of Baekje during the Hanseong period, and shows differences from that of Plate Earthen fortresses in Unified Silla and Goryeo. It has, at the same time, differences from them in three aspects: it has no trace of Gonan(棍眼) and Hangwa(夯窩), it used no clay and topsoil blocks, and it has no evidence of Toje(土堤).
      There is a big possibility that the fortress was built before Unified Silla based on its positio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walls, and the patterns of artifacts and items found in its moat and burial layer.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it was built before Goguryeo made into the basin of the Geum River in the latter half of the fifth century.
      번역하기

      Jeongbukdong Earthen Fortress is a square-shaped fortress built on the flatland of River side with the same position as the Pungnap Earthen Fortress in Seoul. Its planar form is very similar to that of Sogoseong fortress in the Jeokbyeok Fortress of H...

      Jeongbukdong Earthen Fortress is a square-shaped fortress built on the flatland of River side with the same position as the Pungnap Earthen Fortress in Seoul. Its planar form is very similar to that of Sogoseong fortress in the Jeokbyeok Fortress of Han Dynasty.
      Jeongbukdong Earthen Fortress is a Plate Earthen fortress(版築土城). Its walls were constructed by stamping the earth on the ground, building a basis, installing Board for Panchuk, making the central earthwork in a trapezoid form in cross section, and adding earthwork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parts of the central earthwork. There were no rows of stylobate stone in and outside the basis in the central earthwork. Wooden columns were installed at an interval of 1.5~2.1m to fix the Board. This method of building fortress walls is very similar to that of Plate Earthen fortresses in ancient China and that of Plate Earthen fortresses of Baekje during the Hanseong period, and shows differences from that of Plate Earthen fortresses in Unified Silla and Goryeo. It has, at the same time, differences from them in three aspects: it has no trace of Gonan(棍眼) and Hangwa(夯窩), it used no clay and topsoil blocks, and it has no evidence of Toje(土堤).
      There is a big possibility that the fortress was built before Unified Silla based on its positio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walls, and the patterns of artifacts and items found in its moat and burial layer.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it was built before Goguryeo made into the basin of the Geum River in the latter half of the fif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북동토성은 江岸의 평지 방형토성으로 성의 입지는 서울 풍납토성과 동일하다. 성의 평면형태와 구조는 漢代 赤壁土城의 小古城과 매우 유사하다.
      정북동토성은 판축토성으로 성벽의 축조기법은 지면을 정지하여 기저부를 조성하고 판축을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여 단면 사다리꼴의 중심토루를 축조한 후 중심토루의 내·외측에 내·외피토루를 덧붙여 성벽을 축조하였다. 또한 중심토루의 기저부 내·외측에는 기단석열을 시설하지 않았으며, 板木을 고정하는 목주열의 간격은 1.5~2.1m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성벽의 축조기법은 중국 고대의 연하도 고성이나 풍납동토성을 비롯한 백제 한성기 판축토성과 상당히 유사하며, 통일신라~고려시대의 판축토성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정북동토성의 성벽 축조기법은 중국 고대도성이나 백제 한성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중국 고대 판축토성에서 판축의 흔적으로 보이는 棍眼, 夯窩흔이 확인되지 않은 점, 그리고 백제 한성기 토성의 성벽축조에서 盛土材로 많이 쓰이는 점토블록과 표토블록이 축조재료로 사용되지 않은 점, 백제 한성기 토성에서 일반적으로 보이고 있는 흙을 다져 시설한 土堤시설이 확인되고 있지 않은 점 등의 차이점도 보이고 있다.
      성벽의 축조시점은 입지와 구조, 성벽의 축조기법, 垓子 내부 및 매몰층 위에서 확인된 유물과 유구의 양상을 통해 볼 때 통일신라 이전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5세기 후반 고구려가 금강유역에 진출한 시점보다 이른 시기에 축성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정북동토성은 江岸의 평지 방형토성으로 성의 입지는 서울 풍납토성과 동일하다. 성의 평면형태와 구조는 漢代 赤壁土城의 小古城과 매우 유사하다. 정북동토성은 판축토성으로 성벽의 축...

      정북동토성은 江岸의 평지 방형토성으로 성의 입지는 서울 풍납토성과 동일하다. 성의 평면형태와 구조는 漢代 赤壁土城의 小古城과 매우 유사하다.
      정북동토성은 판축토성으로 성벽의 축조기법은 지면을 정지하여 기저부를 조성하고 판축을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여 단면 사다리꼴의 중심토루를 축조한 후 중심토루의 내·외측에 내·외피토루를 덧붙여 성벽을 축조하였다. 또한 중심토루의 기저부 내·외측에는 기단석열을 시설하지 않았으며, 板木을 고정하는 목주열의 간격은 1.5~2.1m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성벽의 축조기법은 중국 고대의 연하도 고성이나 풍납동토성을 비롯한 백제 한성기 판축토성과 상당히 유사하며, 통일신라~고려시대의 판축토성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정북동토성의 성벽 축조기법은 중국 고대도성이나 백제 한성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중국 고대 판축토성에서 판축의 흔적으로 보이는 棍眼, 夯窩흔이 확인되지 않은 점, 그리고 백제 한성기 토성의 성벽축조에서 盛土材로 많이 쓰이는 점토블록과 표토블록이 축조재료로 사용되지 않은 점, 백제 한성기 토성에서 일반적으로 보이고 있는 흙을 다져 시설한 土堤시설이 확인되고 있지 않은 점 등의 차이점도 보이고 있다.
      성벽의 축조시점은 입지와 구조, 성벽의 축조기법, 垓子 내부 및 매몰층 위에서 확인된 유물과 유구의 양상을 통해 볼 때 통일신라 이전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5세기 후반 고구려가 금강유역에 진출한 시점보다 이른 시기에 축성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혁희, "한성백제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그 의미" 한국고고학회 (89) : 173-215, 2013

      2 朴重均, "한성백제 성곽유적의 최근 발굴성과와 과제" 2017

      3 차용걸, "한국 축성사 연구 – 고대 산성의 성립과 발전" 진인진 2016

      4 심정보, "풍납토성(風納土城)과 중국 고대도성과의 비교연구, 중국 고대도성조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5 이성준, "풍납토성 축조연대의 고고과학적 연구 –2011년 동성벽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88) : 42-71, 2013

      6 박찬호, "청주 정북동토성의 학술적 의미와 성과" 충북대학교 박물관 2018

      7 양시은, "청주 정북동토성의 연대 문제" 충북대학교 박물관 2018

      8 심정보, "증평 이성산성의 축조기법에 대한 검토" 한국성곽학회 25 : 2014

      9 심정보, "증평 이성산성의 축조기법에 대하여, In 증평 이성산성의 조사 성과와 사적화 방안" 한국성곽학회 2013

      10 백영종, "증평 이성산성의 성벽 축조방법과 성내 시설물에 대한 검토" 중원문화재연구원 2011

      1 이혁희, "한성백제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그 의미" 한국고고학회 (89) : 173-215, 2013

      2 朴重均, "한성백제 성곽유적의 최근 발굴성과와 과제" 2017

      3 차용걸, "한국 축성사 연구 – 고대 산성의 성립과 발전" 진인진 2016

      4 심정보, "풍납토성(風納土城)과 중국 고대도성과의 비교연구, 중국 고대도성조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5 이성준, "풍납토성 축조연대의 고고과학적 연구 –2011년 동성벽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88) : 42-71, 2013

      6 박찬호, "청주 정북동토성의 학술적 의미와 성과" 충북대학교 박물관 2018

      7 양시은, "청주 정북동토성의 연대 문제" 충북대학교 박물관 2018

      8 심정보, "증평 이성산성의 축조기법에 대한 검토" 한국성곽학회 25 : 2014

      9 심정보, "증평 이성산성의 축조기법에 대하여, In 증평 이성산성의 조사 성과와 사적화 방안" 한국성곽학회 2013

      10 백영종, "증평 이성산성의 성벽 축조방법과 성내 시설물에 대한 검토" 중원문화재연구원 2011

      11 신희권, "중한고대 축성방법 비교연구" 호서고고학회 (18) : 56-77, 2008

      12 남일룡, "조선고고연구 2" 사회과학출판사 1995

      13 정재윤, "정북동토성을 통해 본 고대 청주지역의 역사적 의미" 충북대학교 박물관 2018

      14 경기도박물관, "소근산성" 2002

      15 권오영, "백제와 주변세계" 성주탁교수 추모논총 간행위원회 2012

      16 중앙문화재연구원, "고양 멱절산유적(1차)" 2014

      17 권오영, "고대 성토구조물의 성토방식과 재료에 대한 시론" 한강문화재연구원 5 : 2011

      18 車勇杰, "龍仁 處仁城 試掘調査報告書"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2002

      19 申熙權, "風納土城의 築造技法과 性格에 대하여" 2001

      20 崔鍾圭, "風納土城의 築造技法, In 風納土城 500년 백제왕도의 비젼과 과제" 2007

      21 申熙權, "風納土城の構造と築造技法に對する小考" 大阪府立 狹山池博物館 2004

      22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Ⅱ-동벽 발굴조사 보고서-" 2002

      23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 XⅧ-(구)태양열주택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2017

      24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 XⅥ-성벽의 축조공법 및 연대규명을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 2014

      25 高龍圭, "韓國南部地域 版築土城의 硏究" 한국대한박물관협회 58 : 2001

      26 車勇杰, "韓國の版築土壘-調査事例を中心に-" 古代山城硏究會 1999

      27 湖北省文物考古硏究所, "赤壁土城(战國西漢城址墓地調査勘探發掘報告)" 科學出版社 2004

      28 中部考古學硏究所, "華城 吉城里土城" 2013

      29 朴重均, "美湖川流域 原三國時代 墳墓와 社會集團" 忠北大學校 大學院 2010

      30 김호준, "美湖川 中上流의 百濟土城 現況과 特徵" 백제학회 (10) : 105-141, 2013

      31 車勇杰, "百濟의 建築과 土木"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7

      32 河北省 文物硏究所, "燕河都" 文物出版社 1996

      33 이혁희, "漢城百濟期 土城의 築造技法"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3

      34 조순흠, "淸州 井北洞土城Ⅲ-北門址 發掘調査-" 중원문화재연구원 2013

      35 차용걸, "淸州 井北洞 土城Ⅱ-’99年度 發掘調査 報告書-"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2002

      36 차용걸, "淸州 井北洞 土城Ⅰ-1997년도 발굴조사 보고서-"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1999

      37 박찬호, "淸州 井北洞 土城 小考" 한국성곽학회 2016

      38 차용걸, "淸原 芙蓉面地域 山城 地表調査 報告書" 중원문화재연구원 2005

      39 中村椿壽, "樂浪文化" 六興出版 1990

      40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望夷山城 發掘 報告書 (Ⅰ)" 1996

      41 백영종, "曾坪 二城山城- 南城 北東門址-" 중원문화재연구원·증평군 2012

      42 羅東旭, "慶南地域 土城의 硏究" 東亞大學校 1995

      43 朴重均, "忠北地域 百濟 初期 山城의 類型" 한국성곽학회 26 : 2014

      44 車勇杰, "尹武炳博士回甲紀念論叢" 1984

      45 車勇杰, "中國 額濟納河 流域·敦煌附近 漢代·明代 城堡·烽燧 見學記" 한국성곽학회 25 :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34 0.72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