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악산국립공원 멸종위기 산양(Naemorhedus caudatus) 개체군 크기와 서식지 이용 현황 = Current status of population size and habitat selection of the long-tailed goral(Naemorhedus caudatus) in Seoraksan National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016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e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ndangered long-tailed goral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using feces and camera trap during 2010 to 2014 (track survey, camera trap). As a result of feces tracking and camera trap, its population size was estimated as 160 (camera trap)~251 (feces) individuals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The goral prefer 35°~60° (slope), 600~700m (elevation), NE (aspect), 0~50m (distance to stream), 300~600m (distance to road) and bread-leaved forest (forest type) according to field tracking of fecal. Based on field camera trap, we estimated the age classes of goral populations and activity of gorals during day-time (07-18 time, 56.5%) and night-time (18-07 time, 43.5%). Such analyses of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of the goral could be applied as important fundamental data for conservation of gorals and management of their habitat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e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ndangered long-tailed goral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using feces and camera trap during 2010 to 2014 (track survey, camera trap). As...

      This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e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ndangered long-tailed goral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using feces and camera trap during 2010 to 2014 (track survey, camera trap). As a result of feces tracking and camera trap, its population size was estimated as 160 (camera trap)~251 (feces) individuals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The goral prefer 35°~60° (slope), 600~700m (elevation), NE (aspect), 0~50m (distance to stream), 300~600m (distance to road) and bread-leaved forest (forest type) according to field tracking of fecal. Based on field camera trap, we estimated the age classes of goral populations and activity of gorals during day-time (07-18 time, 56.5%) and night-time (18-07 time, 43.5%). Such analyses of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of the goral could be applied as important fundamental data for conservation of gorals and management of their habita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산양과 서식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산양의 분변 및 카메라 트랩을 이용한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분석을 2010~2014년 동안 수행하였으며 생태학적 조사 방법(흔적조사, 카메라트랩조사)을 사용하였다. 분변 조사와 카메라트랩핑 분석 결과 각각 166개체 및 251개체의 산양이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적조사(분변)를 통한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에서 산양은 경사도 35°~60°, 고도 600~700m, 향 북동, 수계와의 거리 0~50m, 도로와의 거리 300~600m, 활엽수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메라트랩 조사를 통한 산양 개체군 구성, 주간(07-18시)이 56.5%, 야간(18-07시)이 43.5%로 산양의 활동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산양의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은 향후 그들이 살아가는 서식지의 보전과 서식지의 관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산양과 서식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산양의 분변 및 카메라 트랩을 이용한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분석을 2010~2014년 동안 수행하였으...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산양과 서식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산양의 분변 및 카메라 트랩을 이용한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분석을 2010~2014년 동안 수행하였으며 생태학적 조사 방법(흔적조사, 카메라트랩조사)을 사용하였다. 분변 조사와 카메라트랩핑 분석 결과 각각 166개체 및 251개체의 산양이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적조사(분변)를 통한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에서 산양은 경사도 35°~60°, 고도 600~700m, 향 북동, 수계와의 거리 0~50m, 도로와의 거리 300~600m, 활엽수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메라트랩 조사를 통한 산양 개체군 구성, 주간(07-18시)이 56.5%, 야간(18-07시)이 43.5%로 산양의 활동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산양의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은 향후 그들이 살아가는 서식지의 보전과 서식지의 관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태영, "설악산국립공원내 산양(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의 잠재 서식지 적합성 모형; 다기준평가기법(MCE)과 퍼지집합(Fuzzy Set)의 도입을 통하여" 한국조경학회 32 (32): 28-38, 2004

      2 서창완, "설악산 산양을 대상으로 한 야생동물 서식지 적합성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28-38, 2008

      3 최태영, "설악산 국립공원의 산양 보호구역 설정기법에 관한 연구 : 서식지 적합성 모형, 서식지 수용능력, 최소 존속 개체군 이론을 이용하여" 한국조경학회 32 (32): 23-35, 2005

      4 Myslenkov, A. I, "The status of research and conservation of gorals in russia" 43-80, 2012

      5 Piao, R.,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ize of goral genus in china" 40-, 2013

      6 Piao, R., "The Study on Common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China and Northeast asia" 65-114, 2008

      7 Won, P. H.,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Publication of Volume 7. Minister of Education 59-65, 1967

      8 Park, H. B., "The Habitat-using Characteristics of Long-tailed-goral(Naemorhedus caudatus), in the Northern of Gyeongbuk Province an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Gyeongbuk Univ. 2011

      9 Voloshina, I. V., "The Amur Goral" 123-131 123-131, 1992

      10 Yang, B. K., "Systematic, Ecology and Current Population Status of the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Korea" Chungbuk Nat'l Univ. 2002

      1 최태영, "설악산국립공원내 산양(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의 잠재 서식지 적합성 모형; 다기준평가기법(MCE)과 퍼지집합(Fuzzy Set)의 도입을 통하여" 한국조경학회 32 (32): 28-38, 2004

      2 서창완, "설악산 산양을 대상으로 한 야생동물 서식지 적합성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28-38, 2008

      3 최태영, "설악산 국립공원의 산양 보호구역 설정기법에 관한 연구 : 서식지 적합성 모형, 서식지 수용능력, 최소 존속 개체군 이론을 이용하여" 한국조경학회 32 (32): 23-35, 2005

      4 Myslenkov, A. I, "The status of research and conservation of gorals in russia" 43-80, 2012

      5 Piao, R.,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ize of goral genus in china" 40-, 2013

      6 Piao, R., "The Study on Common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China and Northeast asia" 65-114, 2008

      7 Won, P. H.,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Publication of Volume 7. Minister of Education 59-65, 1967

      8 Park, H. B., "The Habitat-using Characteristics of Long-tailed-goral(Naemorhedus caudatus), in the Northern of Gyeongbuk Province an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Gyeongbuk Univ. 2011

      9 Voloshina, I. V., "The Amur Goral" 123-131 123-131, 1992

      10 Yang, B. K., "Systematic, Ecology and Current Population Status of the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Korea" Chungbuk Nat'l Univ. 2002

      11 Cho, C. U., "Systematic Study on the Long-tailed Goral(Naemorhedus caudatus), with Ecology and Conservation Plan" Chungbuk Nat'l Univ. 2013

      12 Myslenkov, A. I., "Sexual behaviour of Amur goral" 75-80, 1998

      13 Nasimovich, A. A., "Role of Snow Cover Conditions in the Life of Ungulates within USSR Territory" Lzd. AN SSSR 371-, 1955

      14 NIBR, "Red Date Book of Endangered Mammals in Korea" NIBR 49-, 2012

      15 Sanderson, J., "Prionailurus bengalensis. In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4. 2." IUCN

      16 Mishra, C., "On habitat selection by the Goral, Nemorhaedus Goral Bedfordi(Bovidae, Artiodactyla)" 240 : 573-580, 1996

      17 Duckworth, J. W., "Naemorhedus caudatus. In: IUCN" IUCN

      18 Shaffer, M. L., "Minimum population sizes for species conservation" 31 : 131-134, 1981

      19 Zhang, Z. J., "Microhabitat Seperation during Winter among Sympatric Giant Pandas, Red Pandas, and Tufted Deer : The Effects of Diet, Body size, and Energy Metabolism" 82 : 1451-1458, 2004

      20 Chen, W., "Micro habitat Use and Seperation between the Serow(Capricornis sumatraensis), and the Chinese Goral(Naemorhedus griseus), in Winter" 73 : 249-252, 2009

      21 Wilson, D. E.,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nd ed. vol 1)"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705-706, 2005

      22 Yoon, M. H., "Korean Mammals" Dongbang Media 272-274, 2004

      23 IUCN,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4 조재운, "Habitat use of reintroduced Long-tailed Gorals (Naemorhedus caudatus)in Woraksan (Mt.) National Park in Korea"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184-191, 2015

      25 Wu, H., "Habitat Selection by Long Tailed Goral in Spring and Winter" 2 : 92-97, 2002

      26 Wang, B. J., "Habitat Selection by Chinese Goral(Naemorhedus griseus), in Spring in Fengtongzhai Nature Reserve" 27 : 269-272, 2008

      27 조재운, "GPS Collar를 이용한 멸종위기 한국 산양(Naemorhedus caudatus)의 행동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8 (28): 1-9, 2014

      28 Myslenkov, A. I., "Ecology and Behaviour of the Amur Goral" Nauka 1-128, 1989

      29 Myslenkov, A. I., "Ecology and Behaviour of Amur Goral"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159-195, 2012

      30 KNPS, "2012 Annual Monitoring report of Seraksan"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29-240, 2012

      31 KNPS, "2010 Monitoring report of Amur goral" korea national parks authority 32-12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