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정 형사소송법상 공동피고인의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 피의자신문조서 관련조항의 해석을 중심으로 ― = Evidential Admissibility of the Co-defendant's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in Amended Criminal Procedure Law — Focused on interpretation of Articles of the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69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2020.2.4. The amended Criminal Procedure Law (Act No. 16924) unified the evidential Admissibility system of the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recoded by the investigative agency regardless of the author. This amendment was made under the intention o...

      2020.2.4. The amended Criminal Procedure Law (Act No. 16924) unified the evidential Admissibility system of the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recoded by the investigative agency regardless of the author.
      This amendment was made under the intention of strengthening the principle of court-oriented Trials and direct cross-examination through the resolu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n the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by investigation agencies and the guarantee of human rights.
      Accordingly, by reviewing the theories and precedents regarding the evidential Admissibility of the Co-defendant's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which was discussed on the premise of the dualization of the evidential Admissibility system of the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under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Law, the amended Articles of the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I tried a new interpretation of.
      ① In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312 (1), (3) and (4) of the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under the amended Criminal Procedure Law, the exceptions to Hearsay Rule do not prejudice the principle of court-oriented Trials and direct cross examination, and are accompanied by these principle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fact that it contributes to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proper punishment through the discovering objective facts.
      ② Article 312 (1) of the amended Criminal Procedure Law deleted the phrase “a criminal defendant when the criminal defendant was the stage of criminal suspect” and newly added the phrase “the criminal defendant, who was the suspect at the time”. The same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the criminal defendant, who was the suspect at the time.” in the two Articles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unification of the evidential Admissibility system.
      ③ “the criminal defendant, who was the suspect at the time” means the defendant, and the Co-defendant does not. Therefore, the evidential Admissibility of the Co-defendant's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shall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Article 312 (4). As a result, the Co-defendant's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is treated as a testifier's Protocol of statement. This is because the exceptional recognition of evidential Admissibility of Hearsay documents subject to the defendant's guarantee of the right to cross-examine against the Co-defendant not only meets the purpose of the Hearsay Rule, but can also be said as a reasonable balance between the principles of due process and th principles of truth-finding.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defendant's position as a Co-defendant, the cross examine should be conducted by separating Oral-proceeding, such as practice and precedent, and giving the Co-defendant a status as a wit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20.2.4. 개정된 형사소송법(법률 제16924호)은 작성주체를 불문하고 수사기관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체계를 일원화하였다. 이번 개정은 검・경수사권 조정에 따른 수사기관별 피...

      2020.2.4. 개정된 형사소송법(법률 제16924호)은 작성주체를 불문하고 수사기관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체계를 일원화하였다. 이번 개정은 검・경수사권 조정에 따른 수사기관별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차이의 해소와 인권보장을 통한 공판중심주의와 직접심리주의의 강화라는 취지하에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현행 형사소송법상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체계의 이원화(요건의 차등)를 전제로 논의되었던 공동피고인의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학설 및 판례를 검토하여 개정된 피의자신문조서의 관련규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모색해 보았다.
      ① 개정 형사소송법상 피의자신문조서에 관한 제312조 제1항, 제3항, 제4항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전문법칙의 예외규정들이 공판중심주의와 직접심리주의를 저해하는 것이 아니고 이런 원칙들과 함께 실체진실발견을 통한 적정한 형벌권의 행사에 기여한다는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② 개정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은 “피고인이 된 피의자” 문구를 삭제하고 제312조 제3항과 동일한 “그 피의자였던 피고인”이라는 문구를 신설하였다. 두 조문의 “그 피의자였던 피고인”이라는 문구는 동일하게 해석하는 것이 증거능력체계의 일원화 취지에 부합한다.
      ③ “그 피의자였던 피고인”은 당해피고인을 의미하고 공동피고인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동피고인의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은 제312조 제4항에 의해서 판단하여야 한다. 그 결과 공동피고인의 피의자신문조서는 참고인진술조서로 취급된다. 당해피고인의 반대신문권 보장을 조건으로 한 전문서류의 예외적 증거능력부여가 전문법칙의 취지에도 부합할 뿐만 아니라, 적법절차의 원칙과 실체진실발견주의의 합리적인 조화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공동피고인의 피고인적 지위를 고려하여 실무 및 판례와 같이 변론을 분리하여 공동피고인에게 증인으로서 지위를 부여해서 반대신문이 행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사법개혁특별위원회, "형사소송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2019

      2 법원행정처, "형사소송법 개정법률해설"

      3 김인회, "형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8

      4 정웅석, "형사소송법" 대명출판사 2012

      5 노명선, "형사소송법"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6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16

      7 이창현, "형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7

      8 조서연,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고찰" 국회입법조사처 (1542) : 2019

      9 손동권,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한 형사소송법 제314조의 적용문제 - 그리고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입법론 -" 경찰대학 11 (11): 29-53, 2011

      10 김태명, "판례형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7

      1 사법개혁특별위원회, "형사소송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2019

      2 법원행정처, "형사소송법 개정법률해설"

      3 김인회, "형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8

      4 정웅석, "형사소송법" 대명출판사 2012

      5 노명선, "형사소송법"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6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16

      7 이창현, "형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7

      8 조서연,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고찰" 국회입법조사처 (1542) : 2019

      9 손동권,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한 형사소송법 제314조의 적용문제 - 그리고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입법론 -" 경찰대학 11 (11): 29-53, 2011

      10 김태명, "판례형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7

      11 최병천, "판례중심 형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6

      12 김정한, "실무형사소송법" 준커뮤니케이션즈 2020

      13 손동권, "새로운 형사소송법" 세창출판사 2019

      14 강동범, "사법경찰관이 작성한 공범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부설법학연구소 41 : 145-166, 2014

      15 신동운, "사법개혁추진과 형사증거법의 개정" 법학연구소 47 (47): 107-132, 2006

      16 "법원실무제요. [3-2] 형사(II)" 2014

      17 이은모, "공범자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법학연구소 32 (32): 217-236, 2015

      18 장승혁, "공범인 공동피고인의 진술과 반대신문권의 실질적 보장" 대한변호사협회 (485) : 81-100, 2019

      19 이창섭, "공범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소고(小考)"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2 (12): 125-150, 2010

      20 문영식, "공범에 대한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1 (21): 39-79, 2013

      21 이완규, "공범관계 피의자에 대한 경찰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대검찰청 2010

      22 정웅일, "공동피고인의 피고인적 지위와 법정진술-공동피고인의 피고인적 지위에서 바라본학설ㆍ판례의 문제점-" 법학연구소 (21) : 443-481, 2012

      23 박흥식, "공동피고인을 상대로 한 진술증거의성격과 증거의 인부" 법학연구소 26 (26): 71-111, 2015

      24 김현수, "공동피고인 진술의 법률관계― 증거법적 영역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2 (22): 503-534, 2014

      25 정웅석, "개정법상 공범자의 법정외 진술의 증거능력" 한국법학원 (107) : 145-170, 2008

      26 김경락, "개정 형사소송법상 수사기관이 작성한 공범자의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 증거능력을 인정하기 위한 적용법조를 중심으로 -" 대검찰청 (67) : 35-76, 2020

      27 법무부, "개정 형사소송법" 2007

      28 신동운, "간추린 신형사소송법" 법문사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