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수준별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 차이 분석 = Analysis of differences in self-resili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by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554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수준별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2983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학업성취도수준, 자아탄력성,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바탕으로 일원배치 분산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이 결과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으며, 학업성취도수준과자아탄력성, 학업성취도수준과 의사소통능력, 자아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 간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을수록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도 낮다는 결과를 통해 학업성적이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 개선 활동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수준별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2983명을 대상...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수준별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2983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학업성취도수준, 자아탄력성,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바탕으로 일원배치 분산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이 결과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으며, 학업성취도수준과자아탄력성, 학업성취도수준과 의사소통능력, 자아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 간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을수록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도 낮다는 결과를 통해 학업성적이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 개선 활동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elf-resilience and communi cation ability by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Methods To this end, a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 self-resili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conducted on 2983 sec ond-year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 ity depending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self-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Conclusions The lower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e lower the level of self-resilience and communica tion ability, and it can be concluded that self-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activities for stu dents with low academic performance are necessary.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elf-resilience and communi cation ability by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Methods To this end, a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co...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elf-resilience and communi cation ability by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Methods To this end, a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 self-resili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conducted on 2983 sec ond-year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 ity depending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self-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Conclusions The lower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e lower the level of self-resilience and communica tion ability, and it can be concluded that self-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activities for stu dents with low academic performance are necessa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