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남지방 목관묘와 사로국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915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남지방 목관묘는 묘제의 기본적인 모습이나 장례와 관련지우면 중국 중원에서 성립된 묘제가 변용된 것이다. 이 목관묘는 출토되는 유물 가운데 청동기로 보아 처음에는 한반도 서북지방...

      영남지방 목관묘는 묘제의 기본적인 모습이나 장례와 관련지우면 중국 중원에서 성립된 묘제가 변용된 것이다. 이 목관묘는 출토되는 유물 가운데 청동기로 보아 처음에는 한반도 서북지방에서 유래하여 호서와 호남에서 정착하여 새롭게 변용된 이형동기와 함께 상주를 비롯한 낙동강 중상류로 먼저 들어와 그것이 낙동강을 따라 남하하여 대구와 경주지역에서 많이 사용된 것이 확인된다. 이것이 목관묘 문화의 1차적 파급이라고 할 수 있고, 그 묘제는 적석목관묘일 가능성이 크고 순수목관묘도 존재했을 것이다. 이후 2차의 목관묘 문화 파급으로 군집하는 경향이 발생하였다. 이때는 점차 순수목관묘만 사용된다.
      이러한 목관묘와 그 유물은 이제까지 논의되어 온 바와 같이 고조선계 유이민과 관련되었음을 증빙하는 자료로 판단된다. 이형동기가 출토되는 적석목관묘가 섞인 1차 파급 목관묘 문화의 경우 준왕의 남래, 秦·漢 문화가 섞인 2차 파급 목관묘 문화의 경우 고조선 멸망 즈음의 유이민과 관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위만의 성립 이후 중국 秦·漢을 통해 그 문화가 그 이전 재지 문화와 융합되어 있었고, 그것이 남하하여 남부지방 목관묘 문화를 형성시킨 것이 된다.
      경주의 사로국은 이러한 목관묘 문화의 2차 파급 후 좀 시간이 흘러 기원전 1세기 후반 무렵에 성립되었다. 처음 목관묘를 축조하는 2차 파급의 유이민 집단은 산간에 자리하여 그리 세력을 확장할 수 없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발달된 문화 수준과 서북지방과의 교류 장악 등을 통해 세력을 키웠고, 그것이 기반이 되어 성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성립된 사로국은 그 기반이 경주지역의 지리적으로 구분되는 6개 지구에 자리했던 세력집단이었다. 그리고 남산 서북록에 중심을 둔 경주시가지 지구의 세력이 대표적인 존재로 사로의 국읍으로 역할을 하였다. 이들이 육촌과 관련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oden coffin tomb in Yeongnam province is transformed from tombstyle which is estavlished in China central plains. To begin with, this wooden coffin tomb originate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look at bronze goods of excavated re...

      The wooden coffin tomb in Yeongnam province is transformed from tombstyle which is estavlished in China central plains. To begin with, this wooden coffin tomb originate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look at bronze goods of excavated relics, become established in Hoseo and Honam region. It first of all came in upper-middle region of Nakdong river, inculding Sangju etc, with the particular shaped bronze which were transformed new style. This moved south along Nakdong river, and It is used in Daegu and Gyeongju. This is able to primary affect of the wooden coffin tomb culture, and maybe this tomb-style will be the wooden coffin with stones and exist the original wooden coffin. Since then tendency to community come into the secondary ripple effect of the wooden coffin tomb culture. At this time, there is used gradually the original wooden coffin.
      These kind of wooden coffin tomb and relic seemed to be evidence which related the old Joseon emigration. The primary ripple effect which is excavated the particular shaped bronze and mixed the wooden coffin with stones is associated with king Jun’s south movement, the secondary ripple effect of the wooden coffin tomb culture which is mixed the Chin-Han culture in China is associated with emigration when happened at the fall of the old Joseon.
      The small state of Gyeongju, ‘Saro(斯盧)’ is established at the second half of the 1st century B.C after the secondary ripple effect of the wooden coffin tomb culture. At first, emigration group who construct the wooden coffin tomb are located in the hills, they can’t extend. But as time goes on widen it’s influence through developed culture and interchange of northwestern area, after all this established culture is based. ‘Saro’ located at Gyeongju where is classified into the district of the six villages(六村). The power group of Gyeongju downtown where place at the northwest of Namsan mountain play a role as capital of ‘Sar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머리말
      • Ⅱ. 경주의 지형과 원삼국시대 분묘의 분포
      • Ⅲ. 사로국 성립기의 무덤 목관묘
      • Ⅳ. 사로국의 성립과 구조
      • 국문 초록
      • Ⅰ. 머리말
      • Ⅱ. 경주의 지형과 원삼국시대 분묘의 분포
      • Ⅲ. 사로국 성립기의 무덤 목관묘
      • Ⅳ. 사로국의 성립과 구조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국대 경주캠퍼스박물관, "황성동 고분군" 2002

      2 미야자토 오사무,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전개" 사회평론 2010

      3 黃曉芬, "한대의 무덤과 그 제사의 기원" 학연문화사 2006

      4 구자봉, "한국고대의 고고와 역사" 학연문화사 1997

      5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10

      6 리순진, "평양일대 나무곽무덤의 성격에 대하여"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1996 (1996): 1996

      7 중원문화재연구원, "충주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부지 내 정밀발굴조사 전문가검토회의"

      8 이희준,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再論" 한국고고학회 52 : 69-94, 2004

      9 경남대박물관, "창원 덕천리유적" 2013

      10 주보돈, "진한에서 신라로, In 신라 형성기의 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1

      1 동국대 경주캠퍼스박물관, "황성동 고분군" 2002

      2 미야자토 오사무,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전개" 사회평론 2010

      3 黃曉芬, "한대의 무덤과 그 제사의 기원" 학연문화사 2006

      4 구자봉, "한국고대의 고고와 역사" 학연문화사 1997

      5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10

      6 리순진, "평양일대 나무곽무덤의 성격에 대하여"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1996 (1996): 1996

      7 중원문화재연구원, "충주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부지 내 정밀발굴조사 전문가검토회의"

      8 이희준,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再論" 한국고고학회 52 : 69-94, 2004

      9 경남대박물관, "창원 덕천리유적" 2013

      10 주보돈, "진한에서 신라로, In 신라 형성기의 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1

      11 이희준, "진·변한사 연구" 경상북도·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2

      12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2 -고조선·부여·진국편" 동광출판사 1990

      13 이건무, "의창 다호리 유적 진전 보고"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 : 1989

      14 서희국, "유적발굴보고 5" 과학출판사 1958

      15 문화재연구소, "월성해자 발굴조사 보고서" 1990

      16 호남문화재연구원, "완주 갈동유적" 2005

      17 국립경주박물관, "영천 용전리 유적" 2007

      18 이청규, "영남지방 청동기문화의 전개" 21 : 1997

      19 정연식, "역사음운학과 고고학으로 탐색한 閼川 楊山村" 한국고대사학회 (80) : 5-38, 2015

      20 이성주, "신라·가야사회의 기원과 성장" 학연문화사 1998

      21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신라 형성기의 유적" 2011

      22 최병현, "신라 조기 경주지역 목곽묘의 전개와 사로국 내부의 통합과정" 한국고고학회 (95) : 102-159, 2015

      23 이희준, "삼한 소국 형성 과정에 대한 고고학 접근의 틀" 43 : 2000

      24 김원룡, "사로육촌과 경주고분" 70 : 1976

      25 이청규, "사로국 형성 전후의 경주" 한국대학박물관협회 55 : 2000

      26 국립광주박물관, "보성 동촌리유적" 2003

      27 이청규, "다뉴경과 고조선" 단국대학교출판부 2015

      28 조상기, "논산 원북리유적" 중앙문화재연구원 2001

      29 高久健二, "낙랑고분문화연구" 학연문화사 1995

      30 경북문화재연구원, "김천 문당동 유적" 2008

      31 송호정, "기원전 2세기 古朝鮮 準王의 南來와 益山" 한국고대사학회 (78) : 27-55, 2015

      32 이현혜, "고고학자료로 본 斯盧國 六村" 한국고대사학회 (52) : 193-232, 2008

      33 이희준, "경주 황성동유적으로 본 서기전 1세기~서기 3세기 사로국" 신라문화연구소 38 : 137-186, 2011

      34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경주 황성동유적Ⅱ" 2005

      35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경주 황성동유적Ⅰ" 2003

      36 국립중앙박물관, "경주 황성동 유적 발굴조사 보고" 국립박물관 1985

      37 경주대박물관, "경주 황성동 고분군Ⅲ" 2003

      38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황성동 고분군Ⅱ -513·545번지" 2002

      39 경북문화재연구원, "경주 황성동 590번지 유적Ⅴ" 2015

      40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황성동 590번지 유적Ⅱ" 2015

      41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황성동 590번지 유적Ⅰ" 2014

      42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주 황성동 575번지 고분군" 2010

      43 장유미, "경주 황남동 95-6번지 유적" 영남지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6

      44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주 화천리 산251-1 유적Ⅰ∼Ⅲ" 2012

      45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현곡면 하구리 축사신축부지내 유적, In 경주의 문화유적Ⅶ" 2010

      46 성림문화재연구원, "경주 하구리 초기철기시대 옹관묘유적" 2013

      47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하구리 유적" 2013

      48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경주 탑동 21-3번지 유적, In 2010년도 소규모 발굴조사Ⅳ -경북2" 2011

      49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죽동리 고분군" 1998

      50 신라문화유산조사단, "경주 죽동리 560·561번지 유적, In 경주의 문화유적Ⅹ" 2010

      51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조양동 유적Ⅱ" 2003

      52 중앙문화재연구원, "경주 인동리 유적" 2004

      53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월성로고분군" 1990

      54 한울문화재연구원, "경주 소현리 유적Ⅰ" 2015

      55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사방리 유적" 2010

      56 전덕재, "경주 사라리집단의 정치적 성격" 한국상고사학회 2005

      57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주 사라리 유적Ⅲ -목곽묘·옹관묘" 2007

      58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주 사라리 유적Ⅱ -목관묘·주거지" 2001

      59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주 사라리 유적Ⅰ" 1999

      60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북토리 고분군" 2011

      61 성림문화재연구원, "경주 문산리 청동기시대 유적 -Ⅲ·Ⅳ구역-" 2012

      62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문산리 유적" 2009

      63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동산리 유적" 2010

      64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주 덕천리 유적Ⅲ" 2009

      65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주 덕천리 유적Ⅱ" 2008

      66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구정동 고분" 2006

      67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주 구어리 고분군" 2002

      68 정인성, "衛滿朝鮮의 鐵器文化" 백산학회 (96) : 39-77, 2013

      69 岡內三眞, "朝鮮の異形有文靑銅器の製作技術" 日本考古學會 69 (69): 1983

      70 權五榮, "三韓의 「國」에 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