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혜정, "한국경찰의 형성과 성격(1945-1953)" 숙명여자대학교 2002
2 이재호, "한국경찰권행사와 인권보호의 적정성과 한계" 한국동북아학회 12 (12): 331-358, 2007
3 김경동, "팬데믹 이후, 새로운 노멀과 인권경찰에 관한 소고" 한국법학회 22 (22): 157-182, 2022
4 한희원, "제경찰인권 기준에 비추어 본 인권경찰의 본령과 그 실천에 대한 연구" 한국법정책학회 18 (18): 149-171, 2018
5 라광현 ; 정재훈 ; 정의롬,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른 시민들의 인식과 기대 : 서울, 세종, 제주를 중심으로" 대한범죄학회 14 (14): 169-192, 2020
6 이재호, "인권친화적 경찰활동을 위한 과제" 치안정책연구소 32 (32): 75-106, 2018
7 박경래, "인권과 경찰활동: 조직 및 환경적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7 (7): 123-162, 2008
8 류준혁, "위계선형 모형 사용을 통한 시민의 경찰 인식 영향 요인 분석" 대한범죄학회 7 (7): 57-100, 2013
9 류준혁 ; 홍태경, "시민의 정치적 그리고 이념적 성향과 경찰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연구"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2 (12): 129-143, 2016
10 김상균, "수사기관의 인권침해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10년간 진정사건통계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 17 (17): 133-149, 2012
1 강혜정, "한국경찰의 형성과 성격(1945-1953)" 숙명여자대학교 2002
2 이재호, "한국경찰권행사와 인권보호의 적정성과 한계" 한국동북아학회 12 (12): 331-358, 2007
3 김경동, "팬데믹 이후, 새로운 노멀과 인권경찰에 관한 소고" 한국법학회 22 (22): 157-182, 2022
4 한희원, "제경찰인권 기준에 비추어 본 인권경찰의 본령과 그 실천에 대한 연구" 한국법정책학회 18 (18): 149-171, 2018
5 라광현 ; 정재훈 ; 정의롬,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른 시민들의 인식과 기대 : 서울, 세종, 제주를 중심으로" 대한범죄학회 14 (14): 169-192, 2020
6 이재호, "인권친화적 경찰활동을 위한 과제" 치안정책연구소 32 (32): 75-106, 2018
7 박경래, "인권과 경찰활동: 조직 및 환경적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7 (7): 123-162, 2008
8 류준혁, "위계선형 모형 사용을 통한 시민의 경찰 인식 영향 요인 분석" 대한범죄학회 7 (7): 57-100, 2013
9 류준혁 ; 홍태경, "시민의 정치적 그리고 이념적 성향과 경찰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연구"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2 (12): 129-143, 2016
10 김상균, "수사기관의 인권침해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10년간 진정사건통계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 17 (17): 133-149, 2012
11 장일식, "사회적 약자 보호 확대를 위한 경찰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20 (20): 109-134, 2018
12 김재민, "범죄피해자 인권보호 의식에 관한 고찰 - 경찰관과 대학생의 인권보호 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 치안정책연구소 31 (31): 29-62, 2017
13 이재영,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에 나타난 경찰 인권침해의 특성" 한국경찰학회 24 (24): 197-222, 2022
14 임창호,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 만족도에의 영향요인" 한국치안행정학회 17 (17): 193-210, 2020
15 이재호, "경찰활동과 인권보호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6 (26): 37-73, 2012
16 김수원, "경찰활동과 인권" 한국학술정보(주) 2007
17 유주성, "경찰청 인권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연구" 경찰청 2022
18 노진석 ; 김주아, "경찰청 인권영향평가제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14 (14): 7-26, 2020
19 이영미 ; 탁종연, "경찰의 장애인에 대한 인권의식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6 (6): 3-30, 2007
20 김헌진 ; 박종렬, "경찰의 인권침해에 대한 연구- 사례 해석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6 (6): 265-282, 2018
21 김영중, "경찰의 인권의식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 인권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법학회 12 (12): 81-107, 2014
22 이재영 ; 유영재, "경찰의 인권보호 활동에 관한 연구-경찰관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32 (32): 247-286, 2023
23 김지선, "경찰의 인권보호 방안에 대한 소고 -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를 중심으로 -" 경찰학연구소 13 (13): 9-37, 2018
24 박주애 ; 김승현, "경찰에 대한 시민의 인식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 연구 -미디어의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32 (32): 127-152, 2023
25 정의롬, "경찰관의 인권 인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26 김채윤 ; 양혜정, "경찰관 인권행동강령의 제정 의의 고찰" 한국경찰학회 22 (22): 187-208, 2020
27 매튜 로빈손 ; 노성훈 ; 최낙범, "경찰과 경찰활동에 대한 미디어 보도: “좋은 녀석,” “나쁜 녀석,” 그리고 “추악한 녀석”" 경찰대학 12 (12): 161-191, 2012
28 이채식, "경찰경험과 미디어접촉이 청소년의 경찰인식에 미치는 영향" 2 : 63-77, 2015
29 Sunshine, J., "The role of procedural justice and legitimacy in shaping public support for policing" 37 (37): 513-548, 2003
30 Reisig, M. D.,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finement of process-based policing measures" 34 (34): 1005-1028, 2007
31 김미호, "SERVQUAL을 통한 경찰서비스의 주민만족도 평가"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3-3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