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찰의 인권보호 정책에 대한 시민인식 = Citizens' perception of the police's human rights protection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7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lice organizations have been attempting to change to human rights-friendly police by reorganizing the human rights-related legal system. However, questions still remain as to how much citizens are experiencing such changes and whether they are highly receptive to the police's human rights polic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citizens' perceptions of the police's human rights protection policy and what variables affect their perceptions. Specifically,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 the media, police trust, and human rights policy awareness on citizens' perceptions of the police's human rights protection policy was empirically analyzed.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800 people proportionally allocated by gender, age, and reg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of the ques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ctivities and human rights was all over 3.4. In addition, citizens recognized that the life safety function was most related to human rights protection activities. Citizens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criminal management system and the victim assessment repor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 the media, trust in the police, and awareness of the human rights poli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itizens' perception of the police's human rights protection policies.
      번역하기

      Police organizations have been attempting to change to human rights-friendly police by reorganizing the human rights-related legal system. However, questions still remain as to how much citizens are experiencing such changes and whether they are highl...

      Police organizations have been attempting to change to human rights-friendly police by reorganizing the human rights-related legal system. However, questions still remain as to how much citizens are experiencing such changes and whether they are highly receptive to the police's human rights polic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citizens' perceptions of the police's human rights protection policy and what variables affect their perceptions. Specifically,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 the media, police trust, and human rights policy awareness on citizens' perceptions of the police's human rights protection policy was empirically analyzed.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800 people proportionally allocated by gender, age, and reg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of the ques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ctivities and human rights was all over 3.4. In addition, citizens recognized that the life safety function was most related to human rights protection activities. Citizens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criminal management system and the victim assessment repor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 the media, trust in the police, and awareness of the human rights poli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itizens' perception of the police's human rights protection polic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혜정, "한국경찰의 형성과 성격(1945-1953)" 숙명여자대학교 2002

      2 이재호, "한국경찰권행사와 인권보호의 적정성과 한계" 한국동북아학회 12 (12): 331-358, 2007

      3 김경동, "팬데믹 이후, 새로운 노멀과 인권경찰에 관한 소고" 한국법학회 22 (22): 157-182, 2022

      4 한희원, "제경찰인권 기준에 비추어 본 인권경찰의 본령과 그 실천에 대한 연구" 한국법정책학회 18 (18): 149-171, 2018

      5 라광현 ; 정재훈 ; 정의롬,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른 시민들의 인식과 기대 : 서울, 세종, 제주를 중심으로" 대한범죄학회 14 (14): 169-192, 2020

      6 이재호, "인권친화적 경찰활동을 위한 과제" 치안정책연구소 32 (32): 75-106, 2018

      7 박경래, "인권과 경찰활동: 조직 및 환경적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7 (7): 123-162, 2008

      8 류준혁, "위계선형 모형 사용을 통한 시민의 경찰 인식 영향 요인 분석" 대한범죄학회 7 (7): 57-100, 2013

      9 류준혁 ; 홍태경, "시민의 정치적 그리고 이념적 성향과 경찰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연구"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2 (12): 129-143, 2016

      10 김상균, "수사기관의 인권침해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10년간 진정사건통계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 17 (17): 133-149, 2012

      1 강혜정, "한국경찰의 형성과 성격(1945-1953)" 숙명여자대학교 2002

      2 이재호, "한국경찰권행사와 인권보호의 적정성과 한계" 한국동북아학회 12 (12): 331-358, 2007

      3 김경동, "팬데믹 이후, 새로운 노멀과 인권경찰에 관한 소고" 한국법학회 22 (22): 157-182, 2022

      4 한희원, "제경찰인권 기준에 비추어 본 인권경찰의 본령과 그 실천에 대한 연구" 한국법정책학회 18 (18): 149-171, 2018

      5 라광현 ; 정재훈 ; 정의롬,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른 시민들의 인식과 기대 : 서울, 세종, 제주를 중심으로" 대한범죄학회 14 (14): 169-192, 2020

      6 이재호, "인권친화적 경찰활동을 위한 과제" 치안정책연구소 32 (32): 75-106, 2018

      7 박경래, "인권과 경찰활동: 조직 및 환경적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7 (7): 123-162, 2008

      8 류준혁, "위계선형 모형 사용을 통한 시민의 경찰 인식 영향 요인 분석" 대한범죄학회 7 (7): 57-100, 2013

      9 류준혁 ; 홍태경, "시민의 정치적 그리고 이념적 성향과 경찰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연구"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2 (12): 129-143, 2016

      10 김상균, "수사기관의 인권침해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10년간 진정사건통계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 17 (17): 133-149, 2012

      11 장일식, "사회적 약자 보호 확대를 위한 경찰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20 (20): 109-134, 2018

      12 김재민, "범죄피해자 인권보호 의식에 관한 고찰 - 경찰관과 대학생의 인권보호 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 치안정책연구소 31 (31): 29-62, 2017

      13 이재영,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에 나타난 경찰 인권침해의 특성" 한국경찰학회 24 (24): 197-222, 2022

      14 임창호,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 만족도에의 영향요인" 한국치안행정학회 17 (17): 193-210, 2020

      15 이재호, "경찰활동과 인권보호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6 (26): 37-73, 2012

      16 김수원, "경찰활동과 인권" 한국학술정보(주) 2007

      17 유주성, "경찰청 인권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연구" 경찰청 2022

      18 노진석 ; 김주아, "경찰청 인권영향평가제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14 (14): 7-26, 2020

      19 이영미 ; 탁종연, "경찰의 장애인에 대한 인권의식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6 (6): 3-30, 2007

      20 김헌진 ; 박종렬, "경찰의 인권침해에 대한 연구- 사례 해석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6 (6): 265-282, 2018

      21 김영중, "경찰의 인권의식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 인권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법학회 12 (12): 81-107, 2014

      22 이재영 ; 유영재, "경찰의 인권보호 활동에 관한 연구-경찰관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32 (32): 247-286, 2023

      23 김지선, "경찰의 인권보호 방안에 대한 소고 -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를 중심으로 -" 경찰학연구소 13 (13): 9-37, 2018

      24 박주애 ; 김승현, "경찰에 대한 시민의 인식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 연구 -미디어의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32 (32): 127-152, 2023

      25 정의롬, "경찰관의 인권 인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26 김채윤 ; 양혜정, "경찰관 인권행동강령의 제정 의의 고찰" 한국경찰학회 22 (22): 187-208, 2020

      27 매튜 로빈손 ; 노성훈 ; 최낙범, "경찰과 경찰활동에 대한 미디어 보도: “좋은 녀석,” “나쁜 녀석,” 그리고 “추악한 녀석”" 경찰대학 12 (12): 161-191, 2012

      28 이채식, "경찰경험과 미디어접촉이 청소년의 경찰인식에 미치는 영향" 2 : 63-77, 2015

      29 Sunshine, J., "The role of procedural justice and legitimacy in shaping public support for policing" 37 (37): 513-548, 2003

      30 Reisig, M. D.,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finement of process-based policing measures" 34 (34): 1005-1028, 2007

      31 김미호, "SERVQUAL을 통한 경찰서비스의 주민만족도 평가"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3-32,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