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보육실습을 수행한 초임교사의 보육 실천을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하여 그들의 이야기 속에 담긴 경험의 의미를 고찰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보육실습을 수행한 초임교사의 보육 실천을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하여 그들의 이야기 속에 담긴 경험의 의미를 고찰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보육실습을 수행한 초임교사의 보육 실천을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하여 그들의 이야기 속에 담긴 경험의 의미를 고찰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이며,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보육실습을 경험하였던 초임교사와의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보육 실천과 코로나19 상황 속 보육실습이 초임교사의 보육 실천에 지니는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은혜 씨는 코로나19로 인하여 4주 비대면 실습을 경험하여 상상일지를 작성하고 아이들과 접촉하지 못하여 아쉬움을 느꼈다. 2주 직접 실습의 추가적 경험으로 짧지만 ‘진짜 실습’을 경험하였다. 이후 담임교사로 현장을 경험하였으며 이 경험은 도은혜 씨에게 ‘밑거름’과 ‘발판’이 되었다. 앞으로 계속해서 보육교사로 나아가고자 하며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허진서 씨는 코로나19 상황 속 4주 직접 실습과 2주 간접 실습을 경험하였다. 단축된 실습으로 타협한 것에 대해 아쉬움과 후회가 남았지만, 그 속에서 놀이 중심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고 이는 연장반 교사로 현장에 나갔을 때도 고민이 지속되었다. 허진서 씨는 끊임없는 고민을 해나갔으며 그 속에서 성장하였다. 이렇듯 코로나19 상황 속 보육실습을 경험한 초임교사는 각자의 맥락에서 전문성 있는 보육교사 되어가기를 경험하고 있었다. 코로나19로 인해 제한된 실습으로 아쉬움을 느끼고 배움의 갈망을 느끼기도 하였다. 초임교사가 되어 어려움을 겪고 자신의 부족함을 느꼈지만 부단한 노력으로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고 더욱 단단해진 모습을 보였다. 둘째,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동료 교사와의 관계 맺음을 통한 성장’이 도출되었으며, 시간성 측면에서는 ‘전화위복을 통한 전문성 향상’이, 장소 측면에서는 ‘장소가 변화함에 따른 보육관의 생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 속 보육실습을 경험하였던 이들의 보육 실천의 과정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코로나19 상황 속 보육실습을 경험하였던 초임교사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독특한 경험을 한 초임교사의 경험을 숙고해보는 새로운 논의의 장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arrated experiences of beginning Teachers who experienced childcare Practi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explore meanings of their childcare work.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arrated experiences of beginning Teachers who experienced childcare Practi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explore meanings of their childcare work.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Beginning Teachers who Experienced Childcare Practi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llowed by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narrative inquiry.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In the case of the first research participant, due to COVID-19, she experienced '4 weeks of non-face-to-face childcare practice' and felt disappointed because she could not meet the children and kept an imagination journal. She also experienced ‘2 weeks of in-person childcare practice’, which was short, but she experienced 'real childcare practice'. Afterward, she experienced the field as a teacher, and this experience became her 'foundation' and 'springboard'. She hopes to continue to work as a teacher in the future and is striving for professionalism.
The second participant experienced ‘4 week direct childcare practice’ and ‘2 week indirect childcare practice’ under the COVID-19 situation. Although she felt regret for having to compromise with the shortened practice, she began to think about 'play-centeredness' and continued to think about it when she went out into the field as a teacher. She continued to think about it and made progress.
In this way, the beginning teachers who experienced childcare practi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ecame professional childcare teachers under their own circumstances. Due to the limited childcare practice due to COVID-19, they felt regret and a desire to learn.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and felt their own inadequacies, but they tried to overcome them with unremitting efforts and became stronger.
Second, In terms of interaction, ‘growth through building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emerged; in terms of temporality, ‘professional growth through turning misfortune into blessing’ emerged; and in terms of place, ‘creation of childcare beliefs as places change’ emerged.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xamines the childcare experiences of beginning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childcare Practi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and open up new avenues of discussion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