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안학교의 문화적 리더십: 지리산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Cultural Leadership of Alternative School: Based on Jirisan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9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cultural leadership level of Jirisan high school. 9 cultural characteristics level which used in GLOBE research program was used in analysis. 9 cultural characteristics level was selected based on cultural standards related literature verification in the former large sample survey study and current divergent culture theory. 9 cultural characteristics level indicates uncertainty avoidance, authority-centrism, social and institutional collectivism, affiliated group orientation, gender equalitarianism, self-assertiveness, achievement orientation, human orientation. Cultural leadership showed in curriculum of Jirisan high school and its operation was analyzed to be favorable to authority orientation, gender equalitarianism, future orientation, achievement orientation, and human orientation, and unfavorable to uncertainty avoidance and self-assertiveness. Therefore, uncertainty avoidance, self-assertiveness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improve sustainability of operation of Jirisan high school, continuous improvement effort on 9 cultural level as well as preparation of fund for operation of school is requir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analyze cultural leadership level of Jirisan high school. 9 cultural characteristics level which used in GLOBE research program was used in analysis. 9 cultural characteristics level was selected based on cultural standards related li...

      This study is to analyze cultural leadership level of Jirisan high school. 9 cultural characteristics level which used in GLOBE research program was used in analysis. 9 cultural characteristics level was selected based on cultural standards related literature verification in the former large sample survey study and current divergent culture theory. 9 cultural characteristics level indicates uncertainty avoidance, authority-centrism, social and institutional collectivism, affiliated group orientation, gender equalitarianism, self-assertiveness, achievement orientation, human orientation. Cultural leadership showed in curriculum of Jirisan high school and its operation was analyzed to be favorable to authority orientation, gender equalitarianism, future orientation, achievement orientation, and human orientation, and unfavorable to uncertainty avoidance and self-assertiveness. Therefore, uncertainty avoidance, self-assertiveness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improve sustainability of operation of Jirisan high school, continuous improvement effort on 9 cultural level as well as preparation of fund for operation of school is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문화적 리더십 차원에서 지리산고등학교의 교육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서는 GLOBE 연구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9개 문화특성 차원을 적용했다. 9개 문화특성 차원은 과거 대(大) 표본 조사연구에서의 문화척도 관련 문헌검증과 현재 이문화(異文化)이론의 기초 위에서 선정되었다. 9개 문화특성 차원은 불확실성 회피성, 권력중심성, 사회제도적 집단주의, 소속집단주의, 양성평등주의, 자기주장성, 미래지향성, 업적지향성, 인간지향성을 가리킨다. 지리산고등학교 교육과 운영에 나타난 문화적 리더십은 권력중심성․사회제도적 집단주의․양성평등주의․미래지향성․업적지향성․인간지향성에서 유리한 것으로, 불확실성 회피성․자기주장성에서 불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리산고등학교는 불확실성 회피성․자기주장성 차원의 교육개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지리산고등학교 운영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려면, 학교운영 기금 마련뿐만 아니라 9가지 문화차원에 대한 검토와 꾸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문화적 리더십 차원에서 지리산고등학교의 교육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서는 GLOBE 연구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9개 문화특성 차원을 적용했다. 9개 문화특성 차원은 과거...

      이 연구는 문화적 리더십 차원에서 지리산고등학교의 교육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서는 GLOBE 연구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9개 문화특성 차원을 적용했다. 9개 문화특성 차원은 과거 대(大) 표본 조사연구에서의 문화척도 관련 문헌검증과 현재 이문화(異文化)이론의 기초 위에서 선정되었다. 9개 문화특성 차원은 불확실성 회피성, 권력중심성, 사회제도적 집단주의, 소속집단주의, 양성평등주의, 자기주장성, 미래지향성, 업적지향성, 인간지향성을 가리킨다. 지리산고등학교 교육과 운영에 나타난 문화적 리더십은 권력중심성․사회제도적 집단주의․양성평등주의․미래지향성․업적지향성․인간지향성에서 유리한 것으로, 불확실성 회피성․자기주장성에서 불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리산고등학교는 불확실성 회피성․자기주장성 차원의 교육개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지리산고등학교 운영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려면, 학교운영 기금 마련뿐만 아니라 9가지 문화차원에 대한 검토와 꾸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민영, "홀리스틱을 지향하는 대안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11 (11): 121-143, 2007

      2 한준상, "홀리스틱교육 패러다임과 사회과학 간의 상관성" 11 (11): 23-50, 2007

      3 송순재, "한국에서 대안교육의 전개과정 및 성격과 주요 문제점" 9 (9): 33-56, 2005

      4 심성보, "한국대안학교운동의 현황과 과제" 6 (6): 173-202, 1996

      5 송광선, "한국기업의 연봉제 도입현황과 특성 및 이의 평가"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 (1): 33-57, 1999

      6 지리산고등학교, "학교교육계획서" 2013

      7 이풍길, "특성화고교 대안학교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 분석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3 (33): 1-22, 2001

      8 방기혁, "초등 다문화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25-48, 2011

      9 서정호, "지리산권의 생태주의 대안학교의 형성과 전망"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8 (28): 241-269, 2013

      10 김홍태, "일본 대안교육의 사례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87-106, 2002

      1 송민영, "홀리스틱을 지향하는 대안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11 (11): 121-143, 2007

      2 한준상, "홀리스틱교육 패러다임과 사회과학 간의 상관성" 11 (11): 23-50, 2007

      3 송순재, "한국에서 대안교육의 전개과정 및 성격과 주요 문제점" 9 (9): 33-56, 2005

      4 심성보, "한국대안학교운동의 현황과 과제" 6 (6): 173-202, 1996

      5 송광선, "한국기업의 연봉제 도입현황과 특성 및 이의 평가"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 (1): 33-57, 1999

      6 지리산고등학교, "학교교육계획서" 2013

      7 이풍길, "특성화고교 대안학교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 분석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3 (33): 1-22, 2001

      8 방기혁, "초등 다문화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25-48, 2011

      9 서정호, "지리산권의 생태주의 대안학교의 형성과 전망"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8 (28): 241-269, 2013

      10 김홍태, "일본 대안교육의 사례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87-106, 2002

      11 함나래,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분석 :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박용석, "영국 신교육운동이 우리 대안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학회 49 (49): 33-53, 2011

      13 이병환, "서구 대안학교의 동향과 특성 비교"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7 (7): 121-140, 2008

      14 최병천, "벽촌의 명문고 거창고등학교를 찾아서 : 자아완성과 인간교육의 샘터" 368 : 64-72, 1987

      15 김수동, "배려리더십" 이너북스 2008

      16 박해성, "미래를 위한 대안교육 운영 모델: 지리산고등학교 사례중심" 2009

      17 이병환, "미국 대안교육의 다양화 경향 분석과 정책적 시사"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163-188, 2008

      18 Northouse, P. G., "리더십" 경문사 2013

      19 홍인숙, "독일 대안학교에 관한 연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2 (32): 533-556, 2005

      20 김영화, "도시형 대안학교 설립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1

      21 임후남, "대안학교의 자율성과 공공성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25-48, 2005

      22 박은숙, "대안학교의 실태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3 (3): 23-41, 2005

      23 최석민, "대안학교의 개념적 준거 탐색" 27 (27): 1-19, 2006

      24 조용환, "대안학교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문화기술지 연구" 1 (1): 113-155, 1998

      25 정진곤, "대안학교에서의 자유의 의미와 비판적 분석" 22 : 163-181, 1999

      26 최호성, "대안학교 설립운영 규정(안)에 대한 비판적 논의"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5 (55): 181-201, 2007

      27 윤기종, "대안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적 범주 탐색" 11 (11): 89-106, 2006

      28 이병환, "대안학교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정책제안" 한국열린교육학회 15 (15): 75-99, 2007

      29 이춘화, "대안학교 교육 만족도 분석" 공주대학교 2004

      30 이종태, "대안교육에 대한 소고" 32 : 87-110, 2013

      31 조한혜정, "대안교육과 평생학습에 대한 시론: 돌봄과 배움이 가능한 작은 학교 만들기"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64 : 7-47, 2008

      32 이종각, "대안교육 활성화 조건과 연착륙화 전략" 한국교육행정학회 20 (20): 273-298, 2002

      33 김수동, "대안교육 운영모델: 지리산고등학교에 대한 토론" 2009

      34 정연순, "네트워크로서의 학교: 도시형 대안학교 운영원리의 평생교육적 해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23-47, 2006

      35 지리산고등학교, "꿈이 있는 지리산고등학교"

      36 조은희, "기독교대안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7 (37): 125-159, 2013

      37 이병환, "국내외 대안학교의 운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31-56, 2004

      38 신진섭, "국내외 대안교육의 실천사례 비교연구" 7 (7): 327-346, 1999

      39 이병환, "국내외 대안교육의 모델 비교" 6 (6): 89-110, 2001

      40 김은산, "교육개혁 성공적 실시 학교들에 관한 연구" 13 : 39-63, 1996

      41 정숙녀, "간디학교 방문기 : 숲속의 작은 학교" 2 (2): 177-182, 1998

      42 조금주, "간담회를 통해 본 대안학교 문제점 및 개선방안" 10 (10): 1-15, 2004

      43 김문숙, "‘새로운’ 현대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의 대안교육운동 자연과 노작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3 (43): 130-165, 2009

      44 김수동, "‘미국 북서부지역 보충교육서비스(SES) 보고서’에 따른 우리교육에 주는 시사점" 14 : 28-33, 2008

      45 House, R. J., "Cultural influences 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s : Project GLOBE" 1 (1): 171-233, 1999

      46 Glatthorn, A. A., "Alternatives in education: Schools and programs" Dodd, Mead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7-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홀리스틱교육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Research In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3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