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특성이 체류외국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 지역의 외국인 비중이나 거주자가 인지하는 환경은 외국인에 대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858058
2017
-
320
KCI등재
학술저널
159-180(2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특성이 체류외국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 지역의 외국인 비중이나 거주자가 인지하는 환경은 외국인에 대한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특성이 체류외국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 지역의 외국인 비중이나 거주자가 인지하는 환경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양한 지표로 표현되는 객관적 지역특성이 외국인에 대한 내국인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많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 경제 특성, 물리적 시설 등을 포함한 자료를 병합함으로써 인지된 지역환경 뿐만 아니라 객관적 지역특성이 외국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종마다 세부적인 차이가 있으나 도시화 수준은 낮을수록, 보행환경이 적절하지 않을수록, 외국인비중이 높을수록, 제조업 사업체수가 많을수록, 순인구유입이 높을수록 사회적거리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다문화사회를 위한 지역정책은 외국인 개인뿐 아니라 외국인이 거주하는 지역과 환경을 고려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재정적 여건은 열악하고, 외국인의 비중이 큰 지역의 경우 광역ㆍ중앙 차원의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거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체류외국인의 적응교육뿐 아니라 내국인의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과 지역 커뮤니티의 지원이 필요하며, 생활환경 차원에서는 지역의 보행환경을 관리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examines the the effec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social distance to foreigner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roportion of foreigners in the region and the subjective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a social distance ...
The study examines the the effec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social distance to foreigner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roportion of foreigners in the region and the subjective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a social distance to foreigners, but the effect of objective characteristics represented by various regional index produced conflicting results. We analyzed the effects of objective local characteristics on perceptions of foreigners as well as perceived local environment by merging data including population,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Social distance to foreigners has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ethnics and groups. And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urbanization level, the worse the walking environment,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foreigners, the more manufacturing enterprises, the higher the net population inflow, the more social dista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UN인종차별철폐위원회, "현대적 형태의 인종주의, 인종차별, 외국인혐오 및 이와 관련한 불관용에 관한 특별보고관의 대한민국 방문 보고서" 2015
2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3 박세훈, "한국의 외국인 밀집지역 : 역사적 형성과정과 사회공간적 변화" 한국도시행정학회 23 (23): 69-100, 2010
4 김유란,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태도에 따른 영상물 프레이밍 효과 연구 – 이주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회교육연구소 18 : 19-54, 2015
5 최은진, "출신국적에 따른 서울시 외국인 이주자의 거주지 분리" 한국도시행정학회 24 (24): 85-107, 2011
6 김석호, "지식공간이론을 이용한 사회적 거리감 척도의 한국사회에서의 적용가능성" 한국인구학회 36 (36): 1-20, 2013
7 김희철, "이주회로별 수도권 외국인 거주지역 공간분포와 영향요인 - 전문인력과 노동자 유형의 외국인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233-248, 2011
8 박효민, "이주민 주거 밀집지역 내 내국인 인식 연구" 한국정당학회 15 (15): 105-138, 2016
9 노성훈, "외국인의 증가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 : 집단위협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24): 151-184, 2013
10 임현철,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에 대한 공간적 패턴: 탐색적 공간자료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1908-1923, 2014
1 UN인종차별철폐위원회, "현대적 형태의 인종주의, 인종차별, 외국인혐오 및 이와 관련한 불관용에 관한 특별보고관의 대한민국 방문 보고서" 2015
2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3 박세훈, "한국의 외국인 밀집지역 : 역사적 형성과정과 사회공간적 변화" 한국도시행정학회 23 (23): 69-100, 2010
4 김유란,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태도에 따른 영상물 프레이밍 효과 연구 – 이주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회교육연구소 18 : 19-54, 2015
5 최은진, "출신국적에 따른 서울시 외국인 이주자의 거주지 분리" 한국도시행정학회 24 (24): 85-107, 2011
6 김석호, "지식공간이론을 이용한 사회적 거리감 척도의 한국사회에서의 적용가능성" 한국인구학회 36 (36): 1-20, 2013
7 김희철, "이주회로별 수도권 외국인 거주지역 공간분포와 영향요인 - 전문인력과 노동자 유형의 외국인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233-248, 2011
8 박효민, "이주민 주거 밀집지역 내 내국인 인식 연구" 한국정당학회 15 (15): 105-138, 2016
9 노성훈, "외국인의 증가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 : 집단위협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24): 151-184, 2013
10 임현철,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에 대한 공간적 패턴: 탐색적 공간자료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1908-1923, 2014
11 박세훈,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국토연구원 64 : 59-76, 2010
12 김준형, "외국인 유입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 외국인 인구와 내국인 인구 변화간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감정평가학회 15 (15): 23-37, 2016
13 김윤경, "외국인 밀집지역의 공간적 분포와 영향요인 분석" 한국주거환경학회 12 (12): 1-15, 2014
14 최재연,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한 장소이미지 및 만족도의 내·외국인간 차이에 관한 연구 - 이태원 관광특구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37-54, 2013
15 박신영, "외국인 노동자 밀집거주에 의한 근린효과 - 서울 가리봉동·대림동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17-230, 2012
16 정지은, "외국인 거주자의 주거입지 선택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17-129, 2011
17 전영자,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1-13, 2010
18 박윤환, "수도권 지역 외국인들의 거주지 분리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소 48 (48): 429-453, 2010
19 이상신, "소수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 결정요인 연구 : 우파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적 거리감" 다문화통합연구센터 8 (8): 39-68, 2015
20 전대성, "사회참여가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연구소 53 (53): 197-218, 2015
21 강현주, "부산시 외국인 거주자의 거주 실태 및 특성 분석" 부동산도시연구원 8 (8): 39-64, 2016
22 이명진, "다문화사회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 한국조사연구학회 11 (11): 63-85, 2010
23 최병두, "다문화사회를 대비한 도시 및 지역정책 과제" 국토연구원 364 : 44-51, 2012
24 조민지, "다문화 사회에 대한 지역의 관용도와 이주민이 인지하는차별정도의 관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49-65, 2017
25 인태정, "다문화 사회 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339-370, 2009
26 민지선, "거주지역의 외국인 비중이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회 36 (36): 71-94, 2013
27 이다은, "거주지역의 외국인 비중과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인식의 상관관계 – 도농간 외국인 접촉 맥락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88-604, 2016
기성시가지 공공임대주택을 위한 일본 도시재생기구의 역할변화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4-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For Housing Policy Studies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5 | 1.15 | 1.3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15 | 2.122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