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연명의 「귀거래사」에 대한 「和歸去來辭」의 유행은 단연 소동파에 의해서이다. 그는 도연명을 최고의 시인으로 인식했을 뿐 아니라, 그의 인격에 대해서도 존경의 마음을 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41351
2008
-
「和歸去來辭」 ; 蘇軾 ; 彭尺木 ; 秋堂菊人 ; 崔東植 ; 洪覺範 ; 常庵崇禪師 ; Hwa Gwi Geo Rae Sa ; So Sik ; Paeng Cheok Mok ; Chu Dang Guk in ; Hong Gak Beom ; Sang Am Sung Seon Sa
810
KCI등재
학술저널
211-254(4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연명의 「귀거래사」에 대한 「和歸去來辭」의 유행은 단연 소동파에 의해서이다. 그는 도연명을 최고의 시인으로 인식했을 뿐 아니라, 그의 인격에 대해서도 존경의 마음을 보...
도연명의 「귀거래사」에 대한 「和歸去來辭」의 유행은 단연 소동파에 의해서이다. 그는 도연명을 최고의 시인으로 인식했을 뿐 아니라, 그의 인격에 대해서도 존경의 마음을 보여왔다. 그러나 소동파의 그런 의식은 노년의 유배지에서 비롯되어 도연명의 시 전체를 和韻하는 과정에서 「화귀거래사」가 탄생한 것이다. 하지만 당시 소동파는 유배인이라는 신분제한으로 자유롭게 귀향할 수 있는 처지도 아니었다. 따라서 그는 ‘無何有의 고을’, 즉 寂滅의 세계를 그의 귀착지로 인식한 것이다.<BR> 이처럼 소동파의 귀거래의식은 도연명과는 다른 의식세계를 구축하면서 「화귀거래사」의 다양한 귀향의식을 낳게 된 것이다. 이에 불교인은 자연 불교의 사상에 의한 「화귀거래사」를 남기게 되었다. 이처럼 불교사상에 의한 「화귀거래사」는 한국과 중국의 居士와 승려로 고작 5~6인이 있을 뿐이며, 모두 몇 편이 지나지 않는다.<BR> 그러나 불교 「화귀거래사」의 내에서도 각기 다른 불교관으로 그들의 歸宿意識 또한 같을 수만은 없다. 본고는 이처럼 다양한 불교적 歸去來 의식을 분석, 탐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assing vogue of 〈和歸去來辭〉 answering to 〈歸去來辭〉 made by 陶淵明 was definitely brought by 蘇東坡 in Song(宋)-Dynasty. He didn"t take only 陶淵明 as a best poet, but also gave honor to his innocent per...
A passing vogue of 〈和歸去來辭〉 answering to 〈歸去來辭〉 made by 陶淵明 was definitely brought by 蘇東坡 in Song(宋)-Dynasty. He didn"t take only 陶淵明 as a best poet, but also gave honor to his innocent personality. However that sense of 蘇東坡 was derived in a place of exile in his old age. But 蘇東坡 as a deportee wasn"t situation to return to his hometown, so he regared an ‘town of 無何有", which is a world of Nirvana as his coming back place.<BR> In this way, his ‘consciousness of homecoming" differ from that of 陶淵明, produced a diversity of ‘consciousness of homecoming" in the 〈和歸去來辭〉. Besides him, only 5~6 writer as a Buddhist monk leave some poems in Korea and China.<BR> But, there were lots of the conception of Buddhism in the inside of 〈和歸去來辭〉, their ‘consciousness of homecoming" couldn"t be identical. In this article, I analyzed and made researches these sort of various Buddhist ‘consciousness of homecom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윤수, "한국의 和陶辭 연구(기 6)―일제 강점기 7편"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 : 1992
2 남윤수, "한국의 和陶辭 연구" 亦樂 2004
3 남윤수, "韓國의 和陶辭 硏究" 역락 2004
4 불전간행위원회, "韓國佛敎全書(全 10책)" 東國大學校出版部 1979
5 陶潛, "陶淵明集"
6 ??行, "蘇詩補註"
7 梵天 彦琪, "舒州梵天琪和尙 註證道歌"
8 慧? 眞覺, "禪門拈頌" 東國大學校出版部 2005
9 宋 釋覺範, "石門文字禪"
10 吉岡義豊, "歸去來辭と佛敎" 東京大學 文學部 宗敎學硏究室內 日本宗敎學會 (154) : 1958
1 남윤수, "한국의 和陶辭 연구(기 6)―일제 강점기 7편"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 : 1992
2 남윤수, "한국의 和陶辭 연구" 亦樂 2004
3 남윤수, "韓國의 和陶辭 硏究" 역락 2004
4 불전간행위원회, "韓國佛敎全書(全 10책)" 東國大學校出版部 1979
5 陶潛, "陶淵明集"
6 ??行, "蘇詩補註"
7 梵天 彦琪, "舒州梵天琪和尙 註證道歌"
8 慧? 眞覺, "禪門拈頌" 東國大學校出版部 2005
9 宋 釋覺範, "石門文字禪"
10 吉岡義豊, "歸去來辭と佛敎" 東京大學 文學部 宗敎學硏究室內 日本宗敎學會 (154) : 1958
11 蘇轍, "欒城集"
12 蘇軾, "東坡全集"
13 宋 釋普濟, "五燈會元" 德昌出版社 1976
14 任繼愈, "中國佛敎叢編 禪宗編" 江蘇古籍出版社 199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 | 1.236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