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계로서의 동물, 동물의 문학적 재현 - 조선후기 ‘동물전(動物傳)’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376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8세~19세기 조선사회에서 창작된 동물전(動物傳)을 중심으로 동물, 인간과 동물의 관계가 문학적으로 어떻게 재현되었는가를 살핀 것 이다. 18세기를 전후하여 이익을 비롯해서 김약...

      이 글은 18세~19세기 조선사회에서 창작된 동물전(動物傳)을 중심으로 동물, 인간과 동물의 관계가 문학적으로 어떻게 재현되었는가를 살핀 것 이다. 18세기를 전후하여 이익을 비롯해서 김약련, 유언호, 이유홍, 최남복, 홍우건 등의 문인들은 개, 닭, 말 등을 주인공으로 삼아 「의구전」, 「충구 전」, 「할계전」, 「우계전」, 「의록전」 등 동물에 관한 전을 남겼다. 역사기록 의 일종으로 발전한 인물전의 전통을 생각할 때 인간 세계의 타자로 존재 했던 동물이 입전대상이 되었다는 것, 그리고 주로 18세기를 전후하여 이 기록들이 나왔다는 것은 동물에 대한 인식 상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음을 시사한다. 이는 우화소설이나 가전에서 동물을 재현한 것과는 차이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18세기를 전후하여 나온 동물에 관 한 기록들의 증가 현상을 검토하고, 동물전에 나타난 재현 양상을 인간에 게 충성과 의리를 지키는 존재, 스스로 열행과 의리를 수행하는 존재, 기예를 가진 존재, 애도의 대상이 된 존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시기에 동물전이 나오게 된 역사문화적 배경으로 인물성동이논쟁과 지식 의 재배치 경향을 언급하고, 동물전 가운데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다룬 전들이 주로 개와 과부, 여종, 시집간 여자 등과의 관계로 재현된다는 점 을 주목했다. 18세기 전후에 등장한 동물전의 동물 재현은 특이한 행동을 했거나 사 람과 특별한 관계를 맺은 동물에 대한 것이다. 작가들은 동물의 행위를 충, 효, 열이라는 유교적 윤리로 평가하는 한편 동물의 기예를 발견하고 애도의 대상으로 삼는다. 동물전은 인간중심적인 태도를 여전히 드러내지만 동물의 기예를 발견하거나 동물을 애도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 서 기존의 동물에 대한 인식에서 이탈하는 면모를 드러낸다. 이처럼 특정 동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경험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동물전은 동 물에 대한 인식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이며, 타자화된 존재를 비유할 때 동원되곤 했던 동물을 그 자체로 재현했다는 점에서 새 로운 동물 인식을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how anim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were represented in literature of late Chosŏn society, focusing on the biography of animals created in that period. Around the 18th century, Yi Yik (李瀷), Kim Yak-ry...

      This article examines how anim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were represented in literature of late Chosŏn society, focusing on the biography of animals created in that period. Around the 18th century, Yi Yik (李瀷), Kim Yak-ryeon (金若鍊), Yu Eon-ho (俞彦鎬), Yi Yoo-hong (李惟弘), Choi Nam-bok (崔南復), and Hong Woo-gun (洪祐健) wrote the biographies of dogs, hens, and horses, such as “Uigujeon” (義狗傳), “Chunggujeon” (忠狗傳), “Halgyejeon” (瞎鷄傳), “Ugyejeon” (友鷄傳) and “Euirokjeon” (義鹿傳). Considering the tradition of biography that was developed as a kind of historical record, the fact that animals became the subjects of biographies showed som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animals in late Chosŏn society. This article therefore examines the increasing phenomenon of records on animals from around the 18th century, and considers the patterns of reproduction that appeared in biographies of animals: as beings that keep loyalty to humans; beings that perform loyalty between them ; beings that have technics; and beings that became objects of mourning. In this paper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biography of animals of this period, I paid attention to the tendency to relocate knowledge and the debate on the natures of people and things(人物性同異論爭) and demonstrat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the biography of animals were mainly represented in the form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ogs and persons such as widows, maidservants and married women. Animal representations in the biography of animals around the 18th century were about animals that had performed unusual behaviors or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humans. The writers mentioned animals’ noticeable technique and showed mourning toward them, while they showed the tendency to evaluate animals’ behavior through the eye of a Confucian ethic of loyalty, filial piety, and chastity. This reveals that their view point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of animals. Although the biography of animals still kept human-centered perspective, the fact that it selected specific animals as a main character and presented the concrete and vivid descriptions shows the valuable example of the diversification of perceptions of animals in that period. Animals which had been used to represent the others were significantly shown here as themselves, which proves the existence of expanded perception of anim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개요>
      • 1. 동물로의 전환(animal turn)
      • 2. 18~19세기 동물에 대한 기록의 증가
      • 3. 재현의 양상 – 동물전을 중심으로
      • 3.1. 인간에게 충성과 의리를 지키는 존재
      • <국문개요>
      • 1. 동물로의 전환(animal turn)
      • 2. 18~19세기 동물에 대한 기록의 증가
      • 3. 재현의 양상 – 동물전을 중심으로
      • 3.1. 인간에게 충성과 의리를 지키는 존재
      • 3.2. 스스로 열행과 의리를 수행하는 존재
      • 3.3. 기예를 가진 존재
      • 3.4. 애도의 대상이 된 존재
      • 4. 동물의 발견, 타자의 위치에서 교감하는 존재들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나 해러웨이, "해레웨이 선언문" 책세상 1-370, 2019

      2 안영훈, "한국 동물가전의 양상과 특징" 택민국학연구원 (18) : 175-197, 2016

      3 이택동, "한국 古典에 투영된 동물의 表象" 시학과언어학회 (24) : 139-162, 2013

      4 이수광, "지봉유설" 을유문화사 2001

      5 위백규, "존재집"

      6 윤승준, "조선시대 ‘동물설’에 대한 일고찰-조선전기를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15 : 227-259, 1997

      7 박제가, "정유각집"

      8 이옥, "이옥전집 1~4" 휴머니스트 2009

      9 홍우건, "원천집"

      10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1 도나 해러웨이, "해레웨이 선언문" 책세상 1-370, 2019

      2 안영훈, "한국 동물가전의 양상과 특징" 택민국학연구원 (18) : 175-197, 2016

      3 이택동, "한국 古典에 투영된 동물의 表象" 시학과언어학회 (24) : 139-162, 2013

      4 이수광, "지봉유설" 을유문화사 2001

      5 위백규, "존재집"

      6 윤승준, "조선시대 ‘동물설’에 대한 일고찰-조선전기를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15 : 227-259, 1997

      7 박제가, "정유각집"

      8 이옥, "이옥전집 1~4" 휴머니스트 2009

      9 홍우건, "원천집"

      10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11 박지원, "열하일기"

      12 유언호, "연석"

      13 송충기, "역사학에서 ‘동물로의 전환(Animal Turn)’ -짐승의 사회문화사에서 포스트휴머니즘 역사로-" 한국서양사학회 (139) : 212-241, 2018

      14 이익, "성호선생전집"

      15 박현욱, "성시전도시의 유형과 18세기 서울의 경관 - 13종 성시전도시를 중심으로 -" 서울역사편찬원 (90) : 69-128, 2015

      16 김경미, "생태비평의 관점에서 본 「호질」" 한국한문학회 (72) : 139-166, 2018

      17 존 버거, "본다는 것의 의미" 동문선 1-285, 2000

      18 김약련, "두암선생문집"

      19 윤승준, "동물전 연구 서설" 근역한문학회 14 : 353-391, 1996

      20 최남복, "도와유고"

      21 홍대용, "담헌집"

      22 김성한, "나누고 누리며 살아가는 세상만들기" 연암서가 1-504, 2016

      23 김경미, "개인적인 삶에 대한 긍정과 지식의 재배치 - 이옥의 <백운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48) : 367-400, 2015

      24 이유홍, "간정집"

      25 김희경, "朝鮮後期 城市風俗圖의 類型別 特徵 硏究" 온지학회 (16) : 297-334, 2007

      26 Harriet Ritvo, "on the animal turn" The MIT Press 136 : 118-122,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