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이희영의 "페인트"와 정여랑의 "5년 후"를 중심으로 오늘날 저출산 시대의 새로운 가족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매해 출산율이 급락하고 있는 현재에 우리가 저출산 시대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이희영의 "페인트"와 정여랑의 "5년 후"를 중심으로 오늘날 저출산 시대의 새로운 가족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매해 출산율이 급락하고 있는 현재에 우리가 저출산 시대를...
본 논문은 이희영의 "페인트"와 정여랑의 "5년 후"를 중심으로 오늘날 저출산 시대의 새로운 가족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매해 출산율이 급락하고 있는 현재에 우리가 저출산 시대를 극복하려면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인정하고 새로운 공동체를 국가가 인정해야하며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긍정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점을 모색해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우리 사회는 저출산 시대에 도래하였고, 이로 인한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에 당면해 있다. 이런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는 저출산을 해결할 여러 가지 방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국가가 그동안 내놓은 해결 방안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이는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비혼, 저출산, 돌봄의 문제 등의 사회적 문제를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지를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페인트", "5년 후"에서는 나름의 제안을 하고 있다. 이 두 작품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들이 비현실적이어서 환상성을 띠는 방법들이기도 하지만 작가들이 내놓은 방안들이 모두 비현실적이라고 하기에도 어렵다. 그동안 현실적으로 내놓은 방안들이 우리 사회를 변화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와 함께 어떻게 하면 가족이라는 대상이 개인의 피로도를 줄이고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지가 항상 대두되고 있고 이는 청년층에게는 중요한 문제이다. 청년층의 사회에 대한 불신을 줄이고 결혼과 출산에 두려움을 국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를 이희영의 "페인트"와 정여랑의 "5년 후"에서 보여주고 있는 원인을 분석해보고 우리 사회와의 연관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가 미래에 저출산을 비롯한 결혼의 문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 가를 "페인트"와 "5년 후"라는 소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금에 처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들이 검토되었고 실행되었으나 지금까지의 통계를 보자면 별 효과가 없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가상의 공간에서 작가들이 내놓은 대안의 의미를 살펴보며 새로운 가족상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분석하고 있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new aspects of family in today's era of low birth rates, focusing on Lee Hee-young's Paint and Jeong Yeo-rang's 5 Years Lat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tentions of the two works and find a ...
This paper examines the new aspects of family in today's era of low birth rates, focusing on Lee Hee-young's Paint and Jeong Yeo-rang's 5 Years Lat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tentions of the two works and find a direction in which we should move forward, as the birth rate is plummeting every year, and we must overcome the era of low birth rates, recognize diverse family forms, and allow the country to recognize new communities. It's purpose.
Our society has entered an era of low birth rates and is facing various social problems resulting from this. In order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the country has come up with various measures to solve the low birth rate. However, the solutions the country has proposed so far have not solved the low birth rate problem, which also means that new policies are needed. Paint and 5 Years Later, which are dealt with in this paper, make their own suggestions on how to solve social problems such as non-marriage, low birth rate, and care issues. Although the methods proposed in these two works are unrealistic and thus have a fantasy quality,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ll of the methods proposed by the authors are unrealistic. This is because the realistic measures proposed so far have failed to change our society.
At the same time, how the family can coexist and reduce individual fatigue is always emerging, and this is an important issue for the young generation. We analyze the causes shown in Lee Hee-young's Paint and Jeong Yeo-rang's 5 Years Later to find out what the problem is when the government steps in to reduce young people's distrust of society and resolve their fear of marriage and childbirth. We are looking at the relationship in detail.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how we should deal with marriage problems, including low birth rates, in the future, focusing on the novels Paint and 5 Years Later.” Various policies have been reviewed and implemented to solve the current problems, but looking at the statistics so far, they have not been very effective. Therefore, by analyzing the solutions presented by the authors in the virtual spac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we will seek a better solution while considering how we can respond to and solve the low birth rate problem in the fu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선주원, "환상적 공간을 통한 가족 서사의 재구성: 2000년대 성장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35) : 145-171, 2015
2 츠베탕 토도로프, "환상문학 서설" 필로소픽 2022
3 이희영, "페인트" 창비 2019
4 김지윤, "재난서사에 나타난 대안적 가족서사와 가족판타지 -2010년대 이후 소설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72) : 49-81, 2022
5 정혜경, "여성 성장소설에 나타난 가족서사의 재구성—아버지 부재(不在) 모티프에 대한 서사적 대응방식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4) : 407-434, 2008
6 오세정, "신화, 판타지, 팩션의 서사론과 가능세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4 (14): 429-454, 2010
7 미셀 바렛, "반사회적 가족" 나름북스 2019
8 유시민, "국가란 무엇인가" 돌베개 2017
9 이기훈, "결혼만 하면 2명이상 낳더라 ... 출산율 낮추는 건 비혼"
10 최영미 ; 박윤환,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인문학연구소 (36) : 101-137, 2019
1 선주원, "환상적 공간을 통한 가족 서사의 재구성: 2000년대 성장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35) : 145-171, 2015
2 츠베탕 토도로프, "환상문학 서설" 필로소픽 2022
3 이희영, "페인트" 창비 2019
4 김지윤, "재난서사에 나타난 대안적 가족서사와 가족판타지 -2010년대 이후 소설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72) : 49-81, 2022
5 정혜경, "여성 성장소설에 나타난 가족서사의 재구성—아버지 부재(不在) 모티프에 대한 서사적 대응방식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4) : 407-434, 2008
6 오세정, "신화, 판타지, 팩션의 서사론과 가능세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4 (14): 429-454, 2010
7 미셀 바렛, "반사회적 가족" 나름북스 2019
8 유시민, "국가란 무엇인가" 돌베개 2017
9 이기훈, "결혼만 하면 2명이상 낳더라 ... 출산율 낮추는 건 비혼"
10 최영미 ; 박윤환,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인문학연구소 (36) : 101-137, 2019
11 조은주, "가족과 통치" 창비 2018
12 김성연, "가족 개념의 해체와 재형성 - 염상섭 장편소설 『삼대』,『무화과』,『불연속선』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44) : 29-47, 2009
13 정여랑, "5년 후" 위키드위키 2020
14 김미현, "201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의 윤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63) : 63-90, 2019
15 장성규, "2000년대 이후 한국문학에 나타난 가족로망스의 변화 양상 연구" 인간학연구소 (36) : 7-32, 2018
16 이정수, "100kg 남편이 싫어요. . . 도박·술·여자 아니면 이혼 못하나요?"
이성교의 중기시 연구 - 시상 확장과 이미지의 변모를 중심으로
아기 낳는 로봇 - 저출산 위기와 페미니즘 SF의 재생산 미래주의 비판
자본주의 경제성장의 구조와 일상의 혁명 -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