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1912년 초에 등장한 파블로 피카소의 콜라주에 잠재해 있던 현대적 조각의 가능성을 규명한 2023년 연구의 후속 논문으로서, 피카소의 입체주의 구축을 원천으로 해서 블 라디미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79928
조주연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원)
2024
Korean
피카소 ; 타틀린 ; 가보 ; 입체주의 구축 ; 구축주의 ; 구축 조각 ; Picasso ; Tatlin ; Gabo ; Cubist Construction ; Contructivism ; Consctucted Sculpture
KCI등재
학술저널
129-155(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12년 초에 등장한 파블로 피카소의 콜라주에 잠재해 있던 현대적 조각의 가능성을 규명한 2023년 연구의 후속 논문으로서, 피카소의 입체주의 구축을 원천으로 해서 블 라디미르 ...
이 논문은 1912년 초에 등장한 파블로 피카소의 콜라주에 잠재해 있던 현대적 조각의 가능성을 규명한 2023년 연구의 후속 논문으로서, 피카소의 입체주의 구축을 원천으로 해서 블 라디미르 타틀린과 나움 가보가 서로 다르게 발전시킨 조각의 실제를 검토하고 양자의 미학 적 차별성을 정립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입체주의가 어떻게 저 먼 러시아에서 그 토록 빨리 또 정확하게 이해되고 수용되었는지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고, 그다음에는 타틀린과 가보가 1910년대 중반에 입체주의로부터 각각 발전시킨 특유의 개념, 즉 물질문화(material culture)와 입체기하학(stereometry)에 입각한 작업을 살펴본다. 물질문화와 입체기하학은 이 후 구축주의와 구축 조각의 토대가 되는데, 결론에서는 양자의 미학적 차이를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follow-up study to a 2023 article that elucidated the potential of modern sculpture latent in Pablo Picasso’s collages that emerged in early 1912. It aims to examine the new practices of sculpture developed differently by Vladimir Ta...
This paper is a follow-up study to a 2023 article that elucidated the potential of modern sculpture latent in Pablo Picasso’s collages that emerged in early 1912. It aims to examine the new practices of sculpture developed differently by Vladimir Tatlin and Naum Gabo based on Picasso’s Cubist construction and to establish the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o this end, I first examine how Cubism was understood and accepted so fast and correctly in far and away Russia, and then examine the works based on the unique concepts that Tatlin and Gabo each developed from Cubism in the mid-1910s, namely material culture and stereometry. Material culture and stereometry later became the foundations of Constructivism and constructive sculpture, and the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암호화폐를 통한 공동체에 나타나는 무위의 공동체적 요소 연구
사진 미학에 나타난 바니타스 알레고리 연구-볼프강 틸만스의 《정물 Still Life》 연작을 중심으로
반성하는 신체, 탈존의 예술: 메를로-퐁티의 신체론이 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새지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