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충동 청소년의 미술치료 단일사례 본 연구는 자살충동을 겪고 있는 청소년이 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경험의 의미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800259
포천 :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 임상미술치료 임상미술치료 전공 , 2021. 2
2021
한국어
경기도
125 ; 26 cm
지도교수: 정여주 교수님
I804:41065-20000037016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살충동 청소년의 미술치료 단일사례 본 연구는 자살충동을 겪고 있는 청소년이 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경험의 의미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
자살충동 청소년의 미술치료 단일사례
본 연구는 자살충동을 겪고 있는 청소년이 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경험의 의미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자살충동을 겪고 있는 고3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2020년 5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주 1~2회 90분씩 20회기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미술치료를 진행하며 수집된 자료들은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의뢰 당시 상세 불명의 우울 에피소드를 진단받고, 학업에 대한 좌절과 불안 등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 어지러움 등 신체적인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고등학교에 올라가면서 자살사고와 자살계획, 자해행동이 시작되었으며 미술치료 초기 충동적인 자살 시도가 있었다. 연구자는 위급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심리적 안정을 최우선으로 모와 긴밀히 협조하고, 지도 교수님께 자문을 구하고 지도를 받으며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대상자와 신뢰 관계를 형성하여 충족하지 못한 욕구들을 안전한 환경 속에서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심리적인 해방감과 안정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초기 면접지, 회기 축어록과 관찰일지, 작품사진, 모와의 면담 내용을 수집하고, 보조도구로서 사전·사후 그림검사(HTP)와 척도검사(자살생각척도, 학업스트레스척도)를 실시하여 양적·질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자살충동 청소년이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의미는 <삶에 대한 희망>, <고통 감내>, <삶의 변곡점> 3개의 상위주제와 본질적인 경험을 뒷받침하는 7개의 하위주제가 나타났다.
자살충동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에게 미술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자와의 신뢰 형성은 안전한 울타리가 되어 자살충동을 겪고 있는 청소년의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표출하고 긴장감이 해소되고 이완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자살충동을 겪고 있는 청소년은 미술치료 과정에서 비현실적인 기대감과 과장된 자기보상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기대감으로 전환되었다.
셋째, 비구조적인 미술치료 과정은 창의적인 이야기와 등장인물의 심적 투사와 전이가 반복적으로 이뤄지면서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자아와 만나 획일적인 관념과 사고에서 벗어나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주제들로 변화하였다.
넷째, 자살충동을 겪고 있는 청소년은 미술치료를 통해 자살생각과 학업스트 레스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다섯째, 자살충동을 겪고 있는 청소년은 자신의 감정과 욕구, 바람들을 명료화하는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절망감에서 벗어나 진로를 탐색하고 미래에 대한 목표와 희망을 품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자살충동 청소년은 창의적인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인식하고 수용하게 되었으며, 위기상황과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내적인 힘이 향상되어 절망감에서 벗어나 미래에 대한 희망을 고취할 수 있었다.
핵심 되는 말 : 자살충동, 청소년, 미술치료, 사례연구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