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녹색기술 분야의 지식지도를 구축하고 국내외 녹색기술 정보를 시계열로 비교 분석하여 녹색 기술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녹색기술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될 영역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98926
2012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511-518(8쪽)
1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녹색기술 분야의 지식지도를 구축하고 국내외 녹색기술 정보를 시계열로 비교 분석하여 녹색 기술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녹색기술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될 영역을 ...
본 연구는 녹색기술 분야의 지식지도를 구축하고 국내외 녹색기술 정보를 시계열로 비교 분석하여 녹색 기술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녹색기술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될 영역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녹색기술정보포털 (www.gtnet.go.kr)에서 제공하고 있는 녹색기술 정보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은 키워드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를 시기별로 나누어 연구주제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전체 영문 키워드 중 상위 100대 키워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주로 태양광 에너지,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 관련 분야의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년도별 주요 키워드에 대한 추세를 살펴보았을 때, Solar Cell, Nanotechnology, Smart Grid, Fuel Cell 등의 중심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재생 에너지의 생성 및 활용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trend in green technology was observed and the domain of the green technology area that will be actively studied in the future was found by establishing knowledge map in green technology area and comparing and analyzing green techno...
In this study, the trend in green technology was observed and the domain of the green technology area that will be actively studied in the future was found by establishing knowledge map in green technology area and comparing and analyzing green technology information in Korea and overseas in time ser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keyword of green technology information provided by green technology information portal site (www.gtnet.go.kr) operated by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keyword, and change of study subject was found by dividing the analysis result into periods. In the result of network analysis on top 100 keywords from total English keyword, it was found that renewable energy related areas such as solar energy and biomass had high centrality. When the main keyword trend by year was studied, centrality of solar cell, nanotechnology, smart grid, and fuel cell were found to increase, showing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in generation and use of renewable energy are actively mad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소영, "학제적 분야의 정보서비스를 위한 학술지 인용 분석에 관한 연구: Y대학교 생명공학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25 (25): 283-308, 2008
2 김태희, "평가위원간 네트워크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기술혁신학회 13 (13): 794-817, 2010
3 윤병운, "특허데이터를 활용한 녹색기술의 기술 파급 분석" 동국대학교 2011
4 이일환, "지식맵 분석을 통한 녹색기술분야 연구네트워크 분석" 대한기계학회 1 : 4607-4612, 2010
5 홍미영, "중점녹색기술 기술수준 현황과 시사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1
6 장혜란, "암유전자 연구주제 네트워크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15 (15): 369-399, 2012
7 손동원, "사회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10
8 최일영,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도서관 학술DB 이용 패턴 연구: K대학도서관 학술DB 이용 사례" 한국정보관리학회 27 (27): 25-40, 2010
9 이상훈, "농림지식 검색시스템의 서비스 현황분석과 개선방향"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2 (42): 45-58, 2008
10 서민호, "녹색기술 정보수요 분석을 통한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3 (13): 117-124, 2012
1 유소영, "학제적 분야의 정보서비스를 위한 학술지 인용 분석에 관한 연구: Y대학교 생명공학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25 (25): 283-308, 2008
2 김태희, "평가위원간 네트워크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기술혁신학회 13 (13): 794-817, 2010
3 윤병운, "특허데이터를 활용한 녹색기술의 기술 파급 분석" 동국대학교 2011
4 이일환, "지식맵 분석을 통한 녹색기술분야 연구네트워크 분석" 대한기계학회 1 : 4607-4612, 2010
5 홍미영, "중점녹색기술 기술수준 현황과 시사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1
6 장혜란, "암유전자 연구주제 네트워크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15 (15): 369-399, 2012
7 손동원, "사회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10
8 최일영,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도서관 학술DB 이용 패턴 연구: K대학도서관 학술DB 이용 사례" 한국정보관리학회 27 (27): 25-40, 2010
9 이상훈, "농림지식 검색시스템의 서비스 현황분석과 개선방향"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2 (42): 45-58, 2008
10 서민호, "녹색기술 정보수요 분석을 통한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3 (13): 117-124, 2012
11 여운동, "국가적 차원의 유망연구영역 탐색 :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과학계량학적 접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9 (39): 95-113, 2008
12 송충한, "국가 전략 기초연구분야 도출 및 미래유망 우수과학자 선정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0
13 "http://www.gtnet.go.kr"
14 이현정, "NetMiner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 사이람 2010
15 H. J. Kwon, "Measurement convergence intensity between technology fields by analysis of betweenness centrality" 1 : 1-5, 2007
16 Cambriso, Alberto, "Mapping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ranstional cancer research" 42 : 3140-3148, 2006
C 프로그램을 테스팅하기 위한 분기 커버리지에 기반을 둔 자동 테스트 데이터 생성
Landsat 7 ETM+ 영상에서 얻은 지표온도와 지형인자의 상관성 분석
번들소프트웨어 디자인을 위한 다이어리 스터디 적용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