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정부 시기 간호노동자의 전문성과 여성성은 양자 모두 근대적 형태의 보건의료 체계를 구축하는데 동원된 중요한 자원이었다. 특히 보건소 체계가 부족한 인력으로도 어떻게든 작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86609
조민지 (가톨릭대학교)
2025
Korean
간호원 ; 간호사 ; 간호보조원 ; 간호조무사 ; 면허 ; 전문직 ; Nurse ; Licensed Nurse ; Nursing Assistant ; Profession.
KCI등재
학술저널
383-420(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박정희 정부 시기 간호노동자의 전문성과 여성성은 양자 모두 근대적 형태의 보건의료 체계를 구축하는데 동원된 중요한 자원이었다. 특히 보건소 체계가 부족한 인력으로도 어떻게든 작동...
박정희 정부 시기 간호노동자의 전문성과 여성성은 양자 모두 근대적 형태의 보건의료 체계를 구축하는데 동원된 중요한 자원이었다. 특히 보건소 체계가 부족한 인력으로도 어떻게든 작동하도록 지탱하는 핵심에 다양한 형태의 간호노동이 있었다. 이 시기 한국사회 다른 공공부문과 마찬가지로 보건의료 체계 역시 부족한 자원과 미비한 제도로도 작동하기 위해 일선 서비스노동자들의 여성성에 의존했다. 여타 대면서비스 직종과 구별되는 특징은, 간호노동은 기존 사회의 관행과 상호작용하는 대면서비스이면서도 한편으로는 근대적 형태의 지식과 기술을 동시에 포함한다는 점이다. 전자의 요소가 성차별적 질서 속에서 노동자들의 지위를 끌어내리는 동안, 후자의 요소는 노동시장에서 지위를 유지하고 협상력을 갖는 근거가 된다. 두 방향의 힘이 극적으로 교차하는 면허 간호원의 사례는 여성노동자들의 지위에 여성성과 전문성이라는 서로 다른 요소가 길항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사례이다. 이 시기 간호원들의 지위를 둘러싼 갈등은 이 문제를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전략이 어떤 효과를 불러오는지 보여준다. 면허를 소지한 전문직임에도 불구하고 피고용인으로만 존재하던 간호원들은 이 시기 여성노동자들의 취약한 지위를 공유했다. 특히 여성 간호원들이 생애주기에 따라 경험하는 차별이야말로 당대 공공부문의 보건정책이 부족한 자원으로도 유지되기 위해 직접적으로 의존하는 자원이었다. 한편으로 이들이 보유한 전문성은 보건의료 현장에 핵심적인 변수로 작용했고, 간호원들이 현장에서 면허보다 많은 권한과 책임을 수행하는 일도 흔했다. 이처럼 정부의 보건의료 정책이 간호원들의 역할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처우가 민간기관보다 열악하다 보니 공공부문의 간호인력난은 고질적인 문제가 되었다. 정부는 더욱 저임금의 대체인력을 도입하는 것으로 대응했는데, 다른 전문직과 달리 유독 간호직군에 대해서 이 발상이 가능했던 이유는 간호노동의 성별화된 특성과 무관하지 않았다. 단독개업이 불가능했던 간호원 면허의 가치는 이 조치를 통해 평가절하 되었고, 이는 전문기술이나 지식 또한 여성의 성역할과 결부되면 경력이나 훈련과 무관한 것으로 취급되었던 점을 보여준다. 간호원 당사자들은 이러한 상황에 맞서 간호의 독자적 전문성을 인정받으려 했으나, 간호에서 의료행위의 요소를 강조할수록 의사와의 종속관계가 강해지고, 비의료적 요소를 강조할수록 성역할에 근거한 돌봄노동이 강조되어 결과적으로 보조원과의 차별점이 사라진다는 점에 그 딜레마가 있었다. 결국 돌봄노동에 대한 평가절하가 온존하는 상황에서는 간호노동의 가치를 정당하게 평가받을 수 없었던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both the professionalism and femininity of nursing workers were important resources mobilized to build the modern healthcare system in South Korea. The femininity of frontline service workers was at the core o...
During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both the professionalism and femininity of nursing workers were important resources mobilized to build the modern healthcare system in South Korea. The femininity of frontline service workers was at the core of its sustainability in times of insufficient resources and systems, like other public sectors in Korean society during the 1960s and 70s. What distinguishes nursing labor from other face-to-face service occupations is, however, that it contains the components of modern knowledg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ose of human interactions following the existing social practices. While the former element lowers the status of workers in the gender-discriminatory order, the latter element serves as leverage for maintaining their status and negotiating power in the labor market. The case of licensed nurses, where the two forces dramatically intersect, is an example in which the different elements of femininity and professionalism antagonize over one’s status. The conflict surrounding the status of nurses shows the effects the strategies of related agents surrounding this issue caused. Despite being licensed professionals yet only as employees, nurses shared the vulnerable status of female workers at that time.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female life cycle that nurses had to face was a basis for maintaining the public health policy under the lack of resources. On the other hand, as their expertise acted as a key variable in the health care field, nurses often performed mor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in medical practice than their licenses allowed. Even though the government’s health care policy heavily depended on the role of nurses, their poor working conditions naturally caused the chronic shortage of nurses in the public sector. Facing this proble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introduce lower-paying replacement workers, which became exceptionally possible in this case, unlike other professions. Considering that nurses could not open their individual practice,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value of a nurse’s license was devalued after this phase, which indicates that professional skills or knowledge could be undervalued once they were intertwined with gender roles. Under these circumstances, licensed nurses tried to gain recognition for their independent expertise, yet there was a dilemma: the more they emphasized medical elements in nursing, the stronger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doctors became; the more they emphasized non-medical elements, the stronger the existing gender roles inscribed in their care work, which ultimately blurred the distinction from nursing assistants. That is, as far as the care work was fundamentally trivialized, the status of nursing work could not be stable.
첨예한 국경사 연구에서 한·중 학계를 잇는 가교 : 『백두산정계와 간도문제 연구』(이화자, 혜안, 2024)
한국 근대 민중에 대한 종합적 연구 : 『민중을 바라보는 방법-한국 근대 민중의 성장과 민중 인식의 편차』(왕현종, 소명출판, 2024)
‘식료제국’ 일본과 ‘식료식민지’ 조선의 사이에서 : 『음식조선-제국이 재편한 음식경제사』(임채성, 돌베개, 2024)
예외상태 법 이론으로 쿠데타 세력에 동조한 법학자 다시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