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물화(物化)가 보여준 오장환 시의 근대성 = A Study on the Modernity of Oh Jang-hwan"s Poetry through Reif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616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오장환의 시에 나타난 물화의 양상을 살펴 오장환 시가 보여준 근대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장환 시의 근대성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형식과 내용의 이분법을 그대로 적용...

      이 연구는 오장환의 시에 나타난 물화의 양상을 살펴 오장환 시가 보여준 근대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장환 시의 근대성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형식과 내용의 이분법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분화 혹은 결합의 양상으로 제시되었다. 물화 비판을 통해 오장환 시의 근대성을 확인하는 것은 한국문학의 세계문학적 보편성을 확보하는 일이 될 것이다.
      오장환은 1930년대 확대되어 가는 근대 자본주의 도시 노동자의 삶을 비판적으로 보여주었다. 그의 눈에 비친 당대 자본주의 노동은 기계의 부속품처럼 사물화 되었으며 ‘교환가치’에 치중한 나머지 본래의 가치를 상실하였다. 나아가 그는 계급적 대립을 통해 자본가가 바라본 모든 객체가 물화화 되었다고 보았다.
      여성의 물화는 오장환의 시에서 단순히 여성의 성을 상품화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상품화된 성을 통해 여성은 근대적 주체로 성장하지 못하고 주체적 남성에 기대어 살아가는 전근대적 여성으로 전락하고 만다. 오장환은 여성의 물화가 인간과 인간의 물화관계에서 확대되어 인간 자신을 상품화하여 결국 현실과 대결하지 못하는 ‘주변인’으로 남게 된다고 보았다.
      공동체의 물화는 오장환의 시 해석에서 단순히 전통에 대한 부정으로 귀결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오장환의 시가 보여준 공동체의 물화는 그가 가문이나 가족, 혹은 민족에 대해 가지는 식민지 근대의 문화적 속성을 비판하는 기능을 한다. 그는 전통적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폭력성은 피하면서 상품화되어 가는 공동체를 통해 근대자본주의의 한계를 인식하고 ‘상상의 공동체’를 무화한다.
      식민지적 근대의 단면을 ‘물화’라는 형식을 통해 가장 비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오장환 시의 문학사적 가치는 재확인 된다. ‘물화’는 그의 시를 한국문학으로서의 특수성과 세계문학으로서의 보편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nity revealed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through reification in his poems. Previous studies o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either applied the dichotomy of form and content as it was or focused on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nity revealed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through reification in his poems. Previous studies o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either applied the dichotomy of form and content as it was or focused on the patterns of differentiation or combination between modernism and realism. The present study will claim its significance by securing the universality of modernity found in the poetic literature of Korea.
      Oh critically presented the life of urban workers in modern capitalism that was expanding in the 1930s. He observed the capitalist labor of the times becoming the object of reification like the parts of a machine and losing the values of labor that were heavily inclined toward the "exchange value." Furthermore, he well demonstrated the reification of capitalists" perceptions of objects through the confrontation of classes.
      In his poems, the reification of women does not end merely at the level of commercializing women. Through the commercialized gender, women fail to grow into modern subjects and degenerate into pre-modern women that depend on the subject perceptions of men. The poet criticized that the reification of women made women remain as a "marginal man" incapable of confronting the reality by commercializing themselves beyond human relationships.
      The reification of community displayed by the poet fills up the parts that require interpretations more than just a denial of tradition when it comes to the interpretations of his poems. His reification of community also criticized the cultural attributes of colonial modern times that he saw in the clan, family or people. He eliminated an "imaginary community" by avoiding the violence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and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modern capitalism through a community that was being commercialized.
      His poetry attains its value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showing the aspects of colonial modern times in the most tragic fashion. His poems extend to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by checking the modernit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30s and further delving into the problems of modern day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노동(勞動)의 물화 - ‘교환가치’
      • 3. 여성(女性)의 물화 - ‘주변인’
      • 4. 공동체(共同體)의 물화 - ‘상상의 공동체’의 무화(無化)
      • 국문초록
      • 1. 서론
      • 2. 노동(勞動)의 물화 - ‘교환가치’
      • 3. 여성(女性)의 물화 - ‘주변인’
      • 4. 공동체(共同體)의 물화 - ‘상상의 공동체’의 무화(無化)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민달, "현대시에 나타난 ‘공동체’ 연구 - 1990년대 시를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18) : 305-333, 2012

      2 남기혁, "한국현대시사" 민음사 2007

      3 신광영,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을유문화사 2004

      4 유성호, "한국문학의 근대와 근대성" 소명출판 2006

      5 김유중, "한국 현대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6 서준섭, "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일지사 1988

      7 한형구, "한국 근대 문학과 ‘민족’(民族)이라는 상상 공동체-민족주의적 정열, 혹은 한국 근대문학 형성의 주동력" 한국근대문학회 12 (12): 202-236, 2005

      8 게오르그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5

      9 임화, "임화평론집" 서음출판사 1989

      10 김승구, "이상, 욕망의 기호" 월인 2004

      1 손민달, "현대시에 나타난 ‘공동체’ 연구 - 1990년대 시를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18) : 305-333, 2012

      2 남기혁, "한국현대시사" 민음사 2007

      3 신광영,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을유문화사 2004

      4 유성호, "한국문학의 근대와 근대성" 소명출판 2006

      5 김유중, "한국 현대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6 서준섭, "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일지사 1988

      7 한형구, "한국 근대 문학과 ‘민족’(民族)이라는 상상 공동체-민족주의적 정열, 혹은 한국 근대문학 형성의 주동력" 한국근대문학회 12 (12): 202-236, 2005

      8 게오르그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5

      9 임화, "임화평론집" 서음출판사 1989

      10 김승구, "이상, 욕망의 기호" 월인 2004

      11 박준상, "이름 없는 공동체:레비나스와 블랑쇼에 대해" 한국현상학회 (18) : 3-141, 2002

      12 홍성철, "유곽의 역사" 페이퍼로드 2007

      13 김학동, "오장환 평전" 새문사 2004

      14 김재용, "오장환 전집" 실천문학사 2002

      15 김재용, "오장환 전집" 실천문학사 2002

      16 남기혁, "오장환 시의 육체와 퇴폐, 그리고 모럴의 문제-해방 이전의 시 창작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155-190, 2012

      17 김종태, "오장환 시의 여성성에 나타난 현실 인식 방법 연구" 한국시학회 (14) : 209-235, 2005

      18 이현승, "오장환 시의 부정의식 연구* - 초기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5) : 227-248, 2009

      19 서지영, "오장환 시의 모더니티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3) : 137-160, 2001

      20 도종환, "오장환 시 연구" 충남대 2006

      21 게오르그 루카치, "역사와 계급의식" 거름 2005

      22 김용희,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 풍경에 대한 내면의식과 시적 양식의 모색 - 1930년대 오장환의 경우 -" 한국문학회 (43) : 229-258, 2006

      23 윤여탁, "시의 논리와 서정시의 역사" 시와시학사 1995

      24 최두석, "시와 리얼리즘" 창작과비평사 1996

      25 백수인, "소통과 상황의 시학" 국학자료원 2007

      26 캐슬린 배리, "섹슈얼리티의 매춘화" 삼인 2002

      27 장만호, "부정의 아이러니와 환멸의 낭만주의 - 오장환 초기시의 시의식" 한국비평문학회 (32) : 173-196, 2009

      28 차승기, "반근대적 상상력의 임계들 : 식민지 조선 담론장에서의 전통․세계․주체" 푸른역사 2009

      29 악셀 호네트, "물화 인정이론적 탐구" 나남출판

      30 최준호, "문화산업에 의해 물화된 몸과 그 비판으로서의 아도르노의 몸" 철학연구소 (36) : 215-241, 2008

      31 김기림, "김기림 전집2 시론" 심설당 1988

      32 앨런 매길, "극단의 예언자들:니체, 하이데거, 푸코, 데리다" 새물결 1996

      33 전경옥, "그림을 통해 본 가부장적 근대 유럽에서 활용한 여성 이미지의 이중성" 아시아여성연구소 50 (50): 165-210, 2011

      34 로이 스트롱, "권력자들의 만찬" 넥서스 2005

      35 장석원, "교지 『徽文』의 오장환 ―발굴작을 중심으로 본 오장환 문학의 기원"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3 : 39-73, 2013

      36 테오도르 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2001

      37 박윤우, "吳章煥 詩 硏究: 비판적 인식의 변모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 1989

      38 고봉준, "1930년대 후반 시의 도시표상 연구 - 오장환, 김광균, 박팔양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5) : 109-138,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72 1.3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