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창업교육 전문성 제고를 위한 창업전문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 A study for Establishing Entrepreneurship Graduate School enhancing the Expertis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951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문적인 창업교육을 담당해 온 창업대학원이 시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창업교육 전문성제고를 위한 기관으로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지 여부와 이를 위해 특수대학원 형태로 되...

      본 연구는 전문적인 창업교육을 담당해 온 창업대학원이 시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창업교육 전문성제고를 위한 기관으로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지 여부와 이를 위해 특수대학원 형태로 되어 있는 창업대학원을 전문대학원 형태로 전환하는 문제의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연구는 세 가지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창업대학원 관련 현황을 정리하고 관련 이론적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외 창업대학원의 설립 및 운영현황을 정리하였다. 둘째, 창업대학원의 교육적 성과와 사업적성과에 대한 사항을 조사하여 창업대학원이 창업교육 전문기관으로서의 위상이 어느 정도 확보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창업대학원이 전문대학원으로 전환되어야 하는 수요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업대학원은 전국 5개 권역에 5곳이 설립되어 8년째 운영 중이며, 해외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창업학 박사과정을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창업대학원의 외형적성과도 창업전문가인 창업자와 창업컨설턴트 육성에 있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창업대학원 교육프로그램과 교수진 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창업대학원의 전문대학원 전환과 박사과정 설치에 대해서는 높은 수요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whether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 institution enhancing the expertis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ich is demanded these days and also examining which forms of graduate scho...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whether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 institution enhancing the expertis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ich is demanded these days and also examining which forms of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is needed between special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and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Three researches are made by this study. First of all, status of special graduate schools of Entrepreneurship and advanced studies are researched and secondly, educational performanc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m are researched and how they secure the prestige as a professional institution for educating Entrepreneurship has been analyzed. Finally, what needs of switching over from special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to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rveyed As a result,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established at five rovince in Korea. Doctoral course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opened independently in U. S. A. And also high performance of promoting Entrepreneur and consultant for Entrepreneur has been researched. Level of satisfaction on education program and faculties has been surveyed highly. High demand for reconversion to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and doctoral course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investiga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시화, "한국 대학원의 창업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국책 창업대학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진주산업대학교 벤처창업대학원 2008

      2 황보윤, "창업대학원 졸업생을 위한 창업 및 지원체계 연구" 창업대학원협의회 2010

      3 김주미, "우리나라 창업교육 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창업대학원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원 2007

      4 박윤희, "실업계 고등학교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제" 한국직업교육학회 23 (23): 83-110, 2004

      5 Lilien. G. L., "Marketing Engineering" Prendtice Hall 2002

      6 Urban, G. L., "Design and Marketing of New Product" Prentice Hall 1993

      7 과학기술부, "2011학년도 대학원 정원조정계획 및 설치세부계획" 2010

      1 이시화, "한국 대학원의 창업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국책 창업대학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진주산업대학교 벤처창업대학원 2008

      2 황보윤, "창업대학원 졸업생을 위한 창업 및 지원체계 연구" 창업대학원협의회 2010

      3 김주미, "우리나라 창업교육 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창업대학원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원 2007

      4 박윤희, "실업계 고등학교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제" 한국직업교육학회 23 (23): 83-110, 2004

      5 Lilien. G. L., "Marketing Engineering" Prendtice Hall 2002

      6 Urban, G. L., "Design and Marketing of New Product" Prentice Hall 1993

      7 과학기술부, "2011학년도 대학원 정원조정계획 및 설치세부계획"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2 1.187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