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복지법 전부개정안에 대한 고찰: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 Review on the Comprehensive Revision of the Welfa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Delivery System of Welfa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41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article is to explore whether the contents of the delivery system stipulated in the revision of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re suitable for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of the delivery system, identify issues expected fo...

      Purpose This article is to explore whether the contents of the delivery system stipulated in the revision of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re suitable for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of the delivery system, identify issues expected for effective legislative strategies, and propose legislative directions. Methods The full text of the three revised welfare laws for the disabled proposed by the National Assembly was analyzed. Result The regulation of the delivery system in the proposals of Choi Hye-young and Jang Hye-young was high in terms of integration, expertise, and efficiency. The regulation of the delivery system in lawmaker Kim Min-seok's proposal was evaluated to be lower in terms of integration and expertise than other legislation. However, the accessibility stipulated in the three laws was evaluated high in common.
      Conclusion This study is that it is essential to execute the budget for the disabled and to grant the authority to distribute services to independent centers, develop standardized services, and establish an integrated computer system related to inform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법 전부개정안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달체계 내용이 전달체계 구성 원칙에 적합한지에 대해 살펴보고, 입법 전략을 위해 예상되는 쟁점을 파악하고 입법방향...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법 전부개정안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달체계 내용이 전달체계 구성 원칙에 적합한지에 대해 살펴보고, 입법 전략을 위해 예상되는 쟁점을 파악하고 입법방향에 대해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국회에서 발의되어 있는 세 개의 장애인복지법 전부개정안의 전문을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최혜영의원과 장혜영의원안에서의 전달체계 규정은 통합성과 전문성, 효율성 측면이 높았다. 김민석 의원안에서의 전달체계 규정은 통합성, 전문성 측면이 여타 법률안에 비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세 법률안에서 규정하고 있는 접근성은 공통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법률안의 입법방향을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의 방향도 제시하였다. 결론 독립적인 센터에 장애인 예산 집행 및 서비스 배분 권한 부여와 표준화된 서비스 개발, 통합적인 장애인 정보 관련 전산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진 ; 소순창, "한국 가족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전달체계의 적절성・통합성・지속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81-108, 2016

      2 윤상용, "최근 주요 선진 외국의 장애인 소득보장과 고용서비스의 연계 동향 및 시사점 -수급 요건으로서 근로능력평가 및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3 (13): 225-249, 2009

      3 심영미,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향상을 위한 서비스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인식비교 연구: 의정부, 양주, 포천시 공무원과 노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36 (36): 257-285, 2010

      4 송기범 ; 허철무,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가 노인의 서비스 만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남양주시 ‘희망케어센터’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57-69, 2018

      5 심재호, "지역보건복지 전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사무소를 중심으로" 2003

      6 류애정, "지역단위 복지전달체계로서 희망복지지원단의 운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2) : 137-156, 2012

      7 이현주,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업무수행체계 분석 및 개선방안"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8 이종권 ; 김경미, "주거복지 공적 전달체계 개편방안 연구 - 통합적 지역거점 구축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7 (27): 33-46, 2016

      9 강혜규, "정책 환경 변화를 고려한 지역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0 배은석, "전달체계 원칙의 수요자중심 재해석을 통한 복지체감도 증진방안" 인문사회 21 9 (9): 765-778, 2018

      1 이진 ; 소순창, "한국 가족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전달체계의 적절성・통합성・지속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81-108, 2016

      2 윤상용, "최근 주요 선진 외국의 장애인 소득보장과 고용서비스의 연계 동향 및 시사점 -수급 요건으로서 근로능력평가 및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3 (13): 225-249, 2009

      3 심영미,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향상을 위한 서비스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인식비교 연구: 의정부, 양주, 포천시 공무원과 노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36 (36): 257-285, 2010

      4 송기범 ; 허철무,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가 노인의 서비스 만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남양주시 ‘희망케어센터’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57-69, 2018

      5 심재호, "지역보건복지 전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사무소를 중심으로" 2003

      6 류애정, "지역단위 복지전달체계로서 희망복지지원단의 운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2) : 137-156, 2012

      7 이현주,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업무수행체계 분석 및 개선방안"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8 이종권 ; 김경미, "주거복지 공적 전달체계 개편방안 연구 - 통합적 지역거점 구축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7 (27): 33-46, 2016

      9 강혜규, "정책 환경 변화를 고려한 지역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0 배은석, "전달체계 원칙의 수요자중심 재해석을 통한 복지체감도 증진방안" 인문사회 21 9 (9): 765-778, 2018

      11 윤평호 ; 윤상오,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행복조례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5 (25): 335-359, 2021

      12 최병윤, "재난취약계층으로서 장애인의 재난 취약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융합과학회 11 (11): 108-130, 2022

      13 이동석,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과 한국 장애인복지의 성격-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27-251, 2004

      14 이재희, "장애인의 평등권 보장에 대한 헌법적 검토" 헌법재판연구원 2017

      15 조주은,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에 관한 연구 : 요인과 제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6 이승기 ; 김동기, "장애인서비스 종합지원체계 도입에 따른 전달체계 개편과 법적 강화방안에 관한 고찰" 사회복지법제학회 11 (11): 3-24, 2020

      17 이선우, "장애인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9) : 221-252, 2008

      18 이승기, "장애인복지인프라 개편 모의적용사업에 대한 고찰 :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1) : 321-353, 2009

      19 윤상용, "장애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분석과 발전적 대안 모색- 서비스 진입체계를 중심으로" 16 (16): 2012

      20 이승기, "장애인복지서비스 연계를 위한 법적 제도화 방안 고찰" 사회복지법제학회 12 (12): 93-113, 2021

      21 장혜영의원 대표발의, "장애인복지법전부개정안"

      22 신은경 ; 신형익 ; 이한나,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15개 장애유형에 적용된 ICF 2단계 분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490-529, 2012

      23 이용표 ; 배진영, "장애인복지법 제15조 개정에 따른 대안입법 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법정책학회 22 (22): 263-294, 2022

      24 최혜영의원 대표발의, "장애인복지법 전부개정안"

      25 전동일, "장애인기본법에 따른 장애 관련 법령 정비 방안 모색 토론회" 2016

      26 신은경, "장애인기본법 제정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연맹 2013

      27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권리협약 해설집" 국가인권위원회 2007

      28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검토보고서, "장애인권리보장법안 및 장애인복지법 전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서" 2021

      29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검토보고서, "장애인권리보장법안 검토보고서, 오제세 대표 발의안"

      30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검토보고서, "장애인권리보장법안 검토보고서 김승희 대표 발의안"

      31 김민석의원 대표발의, "장애인권리보장법안"

      32 최혜영의원 대표발의, "장애인권리보장법률안"

      33 장혜영의원 대표발의, "장애인권리보장법률안"

      34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장애인권리보장법률 제정을 위한 토론회자료집" 2014

      35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기초연구 쟁점별 간담회 자료집" 한국장애인개발원 2019

      36 우주형, "장애인권리보장 및 복지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장애인권리보장법제정연대 2014

      37 조한진, "장애의 이론모델과 실천모델의 전환에 입각한 장애인복지법 게정방향" 49 (49): 233-256, 2006

      38 김미혜 ; 박상현 ; 김권일, "장애수용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운동참여 및 여가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융합과학회 9 (9): 58-73, 2020

      39 김경란,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장애등급제 3차 시범사업 참여 공무원과 동행상담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29-54, 2019

      40 김경란,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개편된 장애인 전달체계 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 사회복지전달체계 구성원칙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72 (72): 109-130, 2020

      41 조한진, "장애등급제 폐지에 대한 우려의 실체와 대안. 토론회 토론문.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국회의원 최동익, 국회의원 김정록. 차선자. 장애여성의 차별과 인권보호-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13 (13): 133-, 2013

      42 김경란, "장애등급제 폐지 추진 현황과 향후 과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0) : 7-46, 2018

      43 박진우,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참여를 위한 사회인지적 결정요인: 건강행동접근과정(HAPA)을 중심으로" 한국융합과학회 11 (11): 1-20, 2022

      44 이상우 ; 김준표 ; 장영신, "자원봉사센터 민간 위탁운영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협의회를 중심으로" 한국융합과학회 11 (11): 161-179, 2022

      45 이승기, "이용자 중심적 장애인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전제조건 및 충족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0) : 81-102, 2012

      46 성은미 ; 민소영, "읍·면·동 통합의 전달체계 변화 전략에 따른 서비스 접근성의 탐색 - 경기도 4개 도시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3) : 87-113, 2015

      47 이명훈, "외국의 복지전달체계와 재정성과 제고를 위한 시사점" 국회예산정책처 2009

      48 김민석의원 대표발의, "애인복지법전부개정안"

      49 이선주 ; 황선환, "시각장애인의 12주간 필라테스 참여에 따른 신체조성, 체력 및 심리적 건강의 변화" 한국융합과학회 7 (7): 314-328, 2018

      50 문영민 ; 김원영, "시·청각장애인의 문화예술 접근성 연구 -공연예술 접근성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9 (19): 99-128, 2015

      51 서동명 ; 이승기 ; 조윤화, "수요자 중심형 장애인복지 전달체계 모델 개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7) : 191-216, 2012

      52 최성재, "사회복지행정론" 나남 2006

      53 김영종, "사회복지행정" 학지사 2011

      54 김영종, "사회복지행정" 학지사 2018

      55 심영미 ; 김종호, "사회복지전달체계 구성원칙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1-25, 2011

      56 심영미 ; 최경구,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 구성원칙의 인식정도가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포천, 양주, 의정부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241-267, 2010

      57 홍인정,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 및 시사점- 구성원칙 중 전문가를 중심으로" 164 : 57-69, 2010

      58 강혜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효율화: 체감도를 높일 복지서비스 이용 기반 마련 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한 공개토론회 발표자료" 2011

      59 성은미,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경기도 무한돌봄센터를 중심으로" 경기복지재단 2012

      60 윤찬영, "사회복지법제론" 나남 2010

      61 이재완 ; 황성준,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소명의식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8 (18): 169-196, 2016

      62 심석순, "발달장애인 서비스 전달체계의 비판적 고찰: 발달장애인법의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설치조항을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48) : 187-218, 2015

      63 김경란, "문재인 정부의 장애등급제 폐지 이후 대안 모색" 2018

      64 에이블 뉴스, "모순적 장애등급제, 생의 사각지대에 높이다"

      65 김혜란 ; 임창수 ; 김상범 ; 김은자 ; 홍광우, "농촌지역 주거약자를 위한 주택 리모델링 지원사업 개선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9 (19): 75-91, 2013

      66 서재호,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에 대한 평가 :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성원칙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139-164, 2008

      67 정인영 ; 윤상용, "국민연금법과 장애인복지법의 장애판정기준 일원화의 타당성 고찰"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231-255, 2014

      68 민소영, "공공전달체계 개편 실험과 대안 모색: 보건복지전달체계 강화 시범사업에 기반하여" 한국사회정책학회 29 (29): 43-77, 2022

      69 조임영,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장애’의 정의에 대한 입법론 연구 — 비교법적 분석ㆍ검토를 통한 논증적 접근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44 : 33-69, 2018

      70 박태정, "UN 장애인권리협약에 의한 장애인복지법 분석- 제19조(자립생활)를 중심으로" 101-125, 2010

      71 Gates, B, "Social Program Administration: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Policy" Prentice Hall 1980

      72 OECD, "Sickness, Disability and Work: Breaking the Barriers vol 2" 2007

      73 OECD, "Sickness, Disability and Work: Breaking the Barriers vol 1" 2006

      74 Hill, Carolyn, "Producing human services Why do agencies collaborate?" 5 (5): 63-81, 2003

      75 유재남, "OECD 15개국 노인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성 평가" 한국노인복지학회 (53) : 333-354, 2011

      76 Friedlander, W.A,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Prentice-Hall 1980

      77 Austin, D, "Human Services Management: Organizational Leadership in Social Work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41-42, 2001

      78 Chiriacescu, "Ensuring Acc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o Social Services: The need for regulatory mechanisms in South East Europe" 2006

      79 Gilbert N,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Prentice-Hall 1986

      80 Gilbert, N,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Pearson Education, nc 2005

      81 이태진, "2002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평가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