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목 특수성에 따른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생의 내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 of Teacher's Motivation and Student's Self-efficacy o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accordance with Domain-specif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4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which teacher's motivation and student's self-efficacy, influencing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accordance with domain-specify and its change in middle school students by using a sample from Korea Education Longi...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which teacher's motivation and student's self-efficacy, influencing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accordance with domain-specify and its change in middle school students by using a sample from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data with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ing. This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eacher's motivation, student's self-efficacy, and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showed linear model that their interrelationship between intercept and slope are negative for each subject. Second, analysis of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s showed that teacher's motivation and student's self-efficacy are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o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Korean, English, and Math subjects with growth over a period time. These findings show that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Korean, English, and Math are influenced by his/her self-efficacy and his/her self-efficacy by his/her subject teacher's motivation. To improv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Korean, English, and Math, teachers should care to motivate students in their clas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동기의 관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과목 특수성에 따른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내재동기에 미치는 ...

      본 연구는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동기의 관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과목 특수성에 따른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내재동기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종단적 자료에 근거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내재동기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영역(과목)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기위해 이차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한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내재동기는 학생들의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둘째, 교사의 동기부여는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내재동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변인간 관계성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과목특수성에 따라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국어, 영어, 수학 과목 모두에서 교사가 동기부여를 할수록 학생의 자기효능감의 초기값이 높을 뿐 아니라 자기효능감의 감소율이 낮아지며 자기효능감의 초기값이 높으면 내재동기의 초기값이 높을 뿐 아니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내재동기의 감소가 낮아지게 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동기부여를 하는 교수적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주요과목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또한 과목에 대한 흥미와 몰입을 나타내는 내재동기에 영향을 미치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일, "학습에 대한 흥미와 내재동기증진을 위한 학습환경디자인"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39-66, 2004

      2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29-350, 2004

      3 전성연, "학습동기" 학지사 2009

      4 한영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LCSI 성격특성,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 동서정신과학회 14 (14): 43-58, 2011

      5 이수진,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개인적, 가족적 변인간의 연구: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 연관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179-1197, 2005

      6 김은주, "청소년들의 유능성과 관계성 및 내재동기가 공부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345-365, 2011

      7 박병기, "창의성과 학습동기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651-678, 2006

      8 신종호, "지각된 부모의 학업지원, 성취기대, 일상통제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21-137, 2010

      9 김아영, "자아효능감과 학습동기"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1-38, 2004

      10 박혜숙,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살펴 본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학생, 교사 및 학교특성의 예측력"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45-168, 2007

      1 김성일, "학습에 대한 흥미와 내재동기증진을 위한 학습환경디자인"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39-66, 2004

      2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29-350, 2004

      3 전성연, "학습동기" 학지사 2009

      4 한영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LCSI 성격특성,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 동서정신과학회 14 (14): 43-58, 2011

      5 이수진,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개인적, 가족적 변인간의 연구: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 연관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179-1197, 2005

      6 김은주, "청소년들의 유능성과 관계성 및 내재동기가 공부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345-365, 2011

      7 박병기, "창의성과 학습동기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651-678, 2006

      8 신종호, "지각된 부모의 학업지원, 성취기대, 일상통제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21-137, 2010

      9 김아영, "자아효능감과 학습동기"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1-38, 2004

      10 박혜숙,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살펴 본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학생, 교사 및 학교특성의 예측력"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45-168, 2007

      11 김선희, "자기조절학습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학업성취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결정성동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김아영,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른 동기유형의 분류" 15 (15): 97-119, 2001

      13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69-187, 2002

      14 정문성, "사회과 협동학습구조에서의 의사결정모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26 : 185-206, 1998

      15 성은현, "내?외 동기, 자기효능감, 창의성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7 (27): 183-193, 2006

      16 노석준, "교육적 관점에서 본 학습이론" 아카데미프레스 2006

      17 김아영, "교실에서의 동기"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5-36, 2003

      18 Wigfield, A., "Transitions during early adolescence: Changes in children’s domain specific self-perceptions and general self-esteem across the transition to junior high school" 27 : 552-565, 1991

      19 Wang, M., "Toward a knowledge base for school learning" 63 (63): 249-294, 1993

      20 Hater, 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mpetence, affect, and motivational orientation within the classroom: Process and patterns of change, In Achievement and motivation: A Social-developmental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7-144, 1992

      21 McDermott, P. A., "The organization of student performance in American schools : discipline, motivation, verbal learning, and nonverbal learning" 93 (93): 65-76, 2001

      22 Hedelin, L., "The development of interests in the Swedish comprehensive school" 4 (4): 17-35, 1989

      23 Schunk, D. H., "The developmen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Develop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Academic Press 2001

      24 Ryan, A., "The classroom social environment and changes in adolescents' motivation and engagement during middle school" 38 : 437-460, 2001

      25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63 : 636-654, 2003

      26 Murdock, T. B., "Teachers as source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identity: Variable-centered and person-centered analytic approaches" 103 (103): 383-399, 2003

      27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s: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28 Schunk, D. H., "Self-efficacy for reading and writing: Influence of modeling, goal setting, and self-evaluation" 19 : 159-172, 2003

      29 Pajares, F.,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66 (66): 543-578, 1996

      30 Schunk, D. H., "Self-efficacy and cognitive skill learning, In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3: Goal and cognition" Academic Press 1989

      31 Bandura, A.,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32 Bandura, A., "Self 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33 Klem, A. M., "Relationships matter : Linking teacher support to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74 (74): 262-273, 2004

      34 Haladyna, T., "Relations of student teacher and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toward social studies" 6 : 36-44, 1982

      35 Weinstein, R., "Promoting positive expectations in schooling, In How students learn: Reforming schools throughlearner-centered educ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81-111, 1998

      36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 33-40, 1990

      37 Ashton, P.T.,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Longman 1986

      38 Spinath, B.,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link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competence belief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15 : 87-102, 2005

      39 Lepper, M.,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in the classroom : age differences and academic correlates" 97 (97): 184-196, 2005

      40 Ryan, "Instrinsic an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25 : 54-67, 2000

      41 Oldfather, P., "Gaining and losing voice: A longitudinal study of students' continuing impulse to learn acros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ontexts" 17 : 1-25, 1993

      42 Pekrun, R., "Facets of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 longitudinal expectancy-value approach, In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JAI Press 1993

      43 Patrick, H., "Early adolescents’ perceptions of the classroom social environment, motivational beliefs, and engagement" 99 (99): 83-98, 2007

      44 Hong, S., "Direct and Indirect Longitudina; Effects of Parental Invelvement on Student Achivement: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ing Across Ethnic Groups" 97 (97): 32-42, 2005

      45 Gottfried, A. E., "Continuity of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from childhood through late adolescene : A longitudinal study" 93 : 3-13, 2001

      46 Jang, H. S., "Can self-determination theory explain what underlies the productive, satisfying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ctivistically oriented korean students" 101 (101): 644-661, 2009

      47 Singer, J. S.,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ing change and event occur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48 Ashby, F. G., "A neuropsychological theory of positive affect and its influence on cognition" 106 (106): 529-550, 1999

      49 Hater, S., "A New Self-Report Scale of Intrinsic Versus Extrinsic Orientation : Motivation and Informational Components" 17 : 300-312, 19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