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전혜린의 젠더의식과 실천적 글쓰기 = Jeon Hyerin's Gender Consciousness and Practical Wri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48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on Hyerin has been considered as a sensitive individual who could not stand a repetitive and depersonalized daily life. Her voice pursuing ‘existence’ and ‘self’ was regarded as what highlighted ideality and revealed indifference to others a...

      Jeon Hyerin has been considered as a sensitive individual who could not stand a repetitive and depersonalized daily life. Her voice pursuing ‘existence’ and ‘self’ was regarded as what highlighted ideality and revealed indifference to others and the society. However, the world of her consciousness inharmonious with the reality is also the indicator showing a tension and competition with the oppressive reality where one cannot live as a ‘true 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he ideational values regarded as what Jeon Hyerin pursued were produced in what context and what relation they have to the issues in the reality.
      Her practical deed to purse ‘self’ was embodied as she refused an obstacle―the gender bias rigidified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of South Korea at that time―to it. In the atmosphere where socioculturally-formed feminity needed to be internalized, she showed that one could cross the line between feminity and masculinity and created a crack in the solid dichotomous view on gender. At this point, the power to traverse the essentialized gender starts from not turning away from the very moment when ‘self’ is recognized. In the fixed logic about role gender socially inducing women’s loss of self, she argued that staring at this absurdity that every woman could feel was the only opportunity to live a life for ‘self’ that did not follow conventionalities and the viewpoint of others. Such a way is closely related to the reasons shown in existentialist philosophy by Sartre and Beauvoir and the book she read, In the Midst of Life by Luise Rinser. In addition, she expressed her sympathy and support for multiple women undefinable as a single identity whom she had met through reading by the act of writing including translation, indicating the reasons not to harmonize with the gender rules in the public sphere. It suggests that she developed her motivator and ways to write so as to fight against the reality and overcome limitations, influenced by the books she read.
      This way, she carried out a cultural practice shaking the gender norms through writing and reading. Moving across the boundary between feminity and masculinity, which were standardized, she emphasized individuals who created ‘themselves’, and as a result, it appeared as a performance tearing down the dichotomous gender structure of those days. Viewed in this say, It can be said to be an on-sided interpretation to affirm that the attempts to escape from the ordinary and snobbishness seen in her works are to disregard the detailed reality or to get away of the re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혜린은 반복적인 일상이나 몰개성적인 삶을 견디지 못하는 민감한 감수성을 지닌 예외적 개인으로 이해되어왔다. ‘실존’과 ‘자기’를 추구하는 그의 목소리는 관념성을 부각하는 것...

      전혜린은 반복적인 일상이나 몰개성적인 삶을 견디지 못하는 민감한 감수성을 지닌 예외적 개인으로 이해되어왔다. ‘실존’과 ‘자기’를 추구하는 그의 목소리는 관념성을 부각하는 것이자 타인과 사회에 대한 무관심을 드러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실과 불화하는 그의 의식세계는 ‘참된 자기’로 살아가기 어렵게 하는 억압적 현실과의 긴장과 경합을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전혜린이 추구했다고 여겨지는 관념적 가치들이 어떠한 맥락에서 생산되었고, 현실 문제와 어떠한 관련성을 띠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혜린의 ‘자기’를 추구하려는 실천적 행위는, 그 과정에서 장애가 되는 당대 한국사회의 가부장적 관념 속에 굳어진 젠더 규범을 거부하면서 구체화되었다.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 여성성을 내면화해야 하는 분위기 속에서, 전혜린은 한 개인이 여성성과 남성성에 속하는 면면들을 넘나들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이분법적 젠더체계의 견고함에 균열을 일으켰다. 이때, 본질화된 젠더를 횡단하는 힘은 ‘자기’가 인식되는 찰나의 순간을 외면하지 않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사회적으로 여성의 자기 상실을 유도하는 고착화된 성역할 논리 속에서, 전혜린은 여성이라면 공통적으로 느끼게 되는 이 부조리함을 응시하는 것만이 인습과 타인의 시선을 따르지 않는 ‘자기’의 삶을 살게 하는 계기가 된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샤르트르, 보부아르 등의 실존주의 철학과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가운데』 등 그가 읽었던 책에서 나타나는 사유들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인다. 또한 독서를 통해 만난 단일한 정체성으로 규정되지 않는 복수의 여성‘들’에 대한 공감과 지지를 번역을 비롯한 산문에 담아냄으로써 공론장의 젠더 규범과 화합하지 않는 사유를 보여주었다. 이는 전혜린이 자신의 현실과 투쟁하고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글쓰기 실천의 동력과 방법을 그가 읽은 책과의 영향 속에서 키워나갔음을 알게 한다.
      이처럼 전혜린은 읽고 쓰는 행위를 통해 젠더 규범을 동요하게 하는 문화적 실천을 수행했다. 규범화된 여성성과 남성성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자기’를 만들어가는 개인을 강조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당대 이분화된 젠더구조를 무너뜨리는 수행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볼 때, 전혜린 문학에서 발견되는 평범함과 속물성을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를 구체적 현실을 도외시하거나 현실 밖으로 탈주하고자 했다고 단언하는 것은 일면적인 해석이라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임하, "한국전쟁과 여성노동의 확대" 고려사학회 (14) : 251-278, 2003

      2 이동하, "한국문학과 인간해방의 정신" 푸른사상 300-312, 2003

      3 김윤식, "한국근대작가론고" 일지사 397-405, 1974

      4 장순란, "한국 최초의 여성 독문학자 전혜린의 삶과 글쓰기에 대한 조명" 한국독일어문학회 11 (11): 149-174, 2003

      5 천정환, "처세ㆍ교양ㆍ실존 1960년대의 ‘자기계발’과 문학문화" 민족문학사학회 40 : 91-133, 2009

      6 주디스 버틀러, "젠더트러블" 문학동네 114-149, 2008

      7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 (상)" 을유문화사 9-31, 1993

      8 전혜린, "전후문학의 새물결" 신구문화사 81-88, 1962

      9 이덕희, "전혜린(사랑과 죽음의 교향시)" 나비꿈 42-, 2012

      10 이행미, "전혜린 문학에 나타난 ‘고향’과 ‘회상’의 글쓰기" 한국현대문학회 (54) : 413-453, 2018

      1 이임하, "한국전쟁과 여성노동의 확대" 고려사학회 (14) : 251-278, 2003

      2 이동하, "한국문학과 인간해방의 정신" 푸른사상 300-312, 2003

      3 김윤식, "한국근대작가론고" 일지사 397-405, 1974

      4 장순란, "한국 최초의 여성 독문학자 전혜린의 삶과 글쓰기에 대한 조명" 한국독일어문학회 11 (11): 149-174, 2003

      5 천정환, "처세ㆍ교양ㆍ실존 1960년대의 ‘자기계발’과 문학문화" 민족문학사학회 40 : 91-133, 2009

      6 주디스 버틀러, "젠더트러블" 문학동네 114-149, 2008

      7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 (상)" 을유문화사 9-31, 1993

      8 전혜린, "전후문학의 새물결" 신구문화사 81-88, 1962

      9 이덕희, "전혜린(사랑과 죽음의 교향시)" 나비꿈 42-, 2012

      10 이행미, "전혜린 문학에 나타난 ‘고향’과 ‘회상’의 글쓰기" 한국현대문학회 (54) : 413-453, 2018

      11 진성희, "장아이링과 전혜린의 글쓰기와 ‘일상’" 중국어문논역학회 (22) : 323-345, 2008

      12 "자유문학"

      13 김륜옥, "잉에보르크 바흐만과 전혜린 - 1950년 전후 독일 및 한국 여성지식인의 삶과 문학" 한국헤세학회 (20) : 301-329, 2008

      14 전혜린, "이 모든 괴로움을 또다시 (전집 2)," 청산문고 17-, 1968

      15 김복순, "여원연구: 여성․교양․매체" 국학자료원 23-55, 2008

      16 김현주, "여원연구: 여성․교양․매체" 국학자료원 56-82, 2008

      17 "여원"

      18 박숙자, "여성은 번역할 수 있는가 - 1960년대 전혜린의 죽음을 둘러싼 애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8) : 5-42, 2013

      19 김미정, "여성교양소설의 불/가능성-‘한국-루이제 린저’의 경우(1)" 문학과지성사 (116) : 64-87, 2016

      20 "여상"

      21 "세대"

      22 김화영, "바람을 담는 집" 문학동네 123-130, 1996

      23 전혜린, "미래완료의 시간 속에" 광명출판사 19-, 1966

      24 김용언, "문학소녀(전혜린, 그리고 읽고 쓰는 여자들을 위한 변호)" 반비 7-236, 2017

      25 이행선, "루이제 린저의 수용과 한국사회의 ‘생의 한가운데’ - 신여성, 인생론, 세계여성의 해(1975), 북한바로알기운동(1988)" 민족문화연구원 73 : 267-303, 2016

      26 전혜린, "독일전후문제작품집" 신구문화사 387-, 1961

      27 전혜린, "독일전후문제작품집" 신구문화사 144-332, 1961

      28 R. W. 코넬, "남성성/들" 이매진 112-135, 2013

      29 전혜린, "그리고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 (전집 1)" 청산문고 24-, 1968

      30 전혜린, "그래도 인간은 산다 (전집 3)" 청산문고 173-234, 1968

      31 서은주, "경계 밖의 문학인 - '전혜린'이라는 텍스트" 한국여성문학학회 (11) : 33-56, 2004

      32 오영수, "갯마을" 중앙문화사 91-121, 1956

      33 조혜란, "『제2의 성 Le Deuxième sexe』의 초기 한국어 번역과 수용 : 이용호의 1955년, 1964년 번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34 "Fides"

      35 전지니, "8.15 해방과 ‘노라’ 이야기 - 최의순의 「노랭이집」, 정비석의 「안해의 항의문」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175-201, 2012

      36 변광배, "2의 성: 여성학 백과사전" 살림 107-119, 2007

      37 김기란, "1960년대 전혜린의 수필에 나타난 독일 체험 연구" 대중서사학회 (23) : 67-97, 2010

      38 김양선, "1950년대 세계여행기와 소설에 나타난 로컬의 심상지리 -전후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2) : 205-230, 2010

      39 임미진, "1945∼1953년 한국 소설의 젠더적 현실 인식 연구" 서울대학교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9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