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안전을 위한 스마트폰 앱은 점점 더 대중화되고 기능적으로 다양 해지고 있다. 여성에 대한 성폭력의 증가와 모바일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앱의 대중화에 기여한 계기가 되었다. 이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17841
서울 : Hongik University, 2020
학위논문(석사) -- Hongik University , 도시건축전공 , 2020. 2
2020
영어
서울
vii, 71 p. ; 26 cm
지도교수: Chang, Ji In
I804:11064-00000002490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여성 안전을 위한 스마트폰 앱은 점점 더 대중화되고 기능적으로 다양 해지고 있다. 여성에 대한 성폭력의 증가와 모바일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앱의 대중화에 기여한 계기가 되었다. 이러...
여성 안전을 위한 스마트폰 앱은 점점 더 대중화되고 기능적으로 다양 해지고 있다. 여성에 대한 성폭력의 증가와 모바일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앱의 대중화에 기여한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앱들은 '개인 안전 앱(personal safety app)' 또는 '안심귀가 앱(safe return app)'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긴급 상황에서 즉각적인 도움을 얻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늦은 밤 귀가길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면 가족, 친구 또는 경찰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으며, 또한 범죄 발생 후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여성을 위한 개인 안전 앱은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도록 발전하였다. 그 범위는 단순한 패닉 버튼에서 위치 추적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움직임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고급 기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반 구조화 인터뷰 또는 설문 조사를 통해 개인 안전 앱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개인 안전 앱의 주관적인 사용자 경험에 관한 사전 연구는 거의 또는 전혀 없었다. 이러한 격차를 메우기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 실제 통용되고 있는 개인 안전 앱의 기능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인식, 감정 및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최근 활용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위치 추적기술을 사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보다 구체적으로 여성의 보행안전을 향상시키고자 설계된 개인 안전 앱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이러한 연구범위에 해당하는 여덟 개의 앱에 대한 개략적인 개요와 기능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이중 Google Play에서 평점정보를 얻을 수 있는 여섯 개의 앱의 사용자 평점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선정된 샘플 앱의 사용자 리뷰 데이터를 사용하여 단어 빈도 분석(word frequency analysis), 감정 분석(sentiment analysis) 및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으로 구성된 포괄적인 정성 분석을 거친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로 개인 안전 앱의 기능들 중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친구나 가족에게 긴급 알림 기능은 공통된 기능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이중 일부 앱들은 비디오 스트리밍 및 지오펜싱(geofencing)과 같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평점 분석에 사용된 여섯 개 앱 모두 1점에서 5점까지의 평점에서 3.5 이상의 합리적으로 높은 누적 평균 평점을 보여주었고, 샘플 앱 사용자 리뷰 데이터의 주제분석에서는 사용자는 안전, 유용한 기능 및 사용 편의성에서 높은 평점을 주면서 만족했지만 오동작 및 배터리 소모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 비용발생으로 인한 접근성에 관해서는 불만족했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사례연구로 제시한 서울시의 공공 앱인 안심이는 오프라인에서 진행하고 있는 안심귀가 스카우트 서비스와 함께 CCTV와 통합관제 센터가 연계된 안심귀가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서 타 해외의 개인안전 앱들과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안심이는 공공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안심이의 벤치마킹을 통해 타 개인 안전 앱의 활용영역도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 많은 공공-민간의 협력은 공공 인프라를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와 경찰에 직접적인 신고 서비스를 통해 여성 안전, 더 나아가 공공안전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martphone applications for women’s safety are becoming more popular and functionally diversified. Increasing numbers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and advances in mobile technology are major contributing factors to the popularity of these apps. ...
Smartphone applications for women’s safety are becoming more popular and functionally diversified. Increasing numbers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and advances in mobile technology are major contributing factors to the popularity of these apps. They are also called ‘personal safety apps’ or ‘safe-return home apps’. They focus on reducing fear of crime and accessing immediate assistance in emergencies. Women can alert family, friends, or the police in real time when dangerous situations arise on the way home at night. The apps also enable immediate response after occurrence of crime. Personal safety apps for women have been developed with various features. Their range varies from simple panic button to advanced features, such as real-time monitoring using location tracking of user movement.
Even th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or survey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eatures and effectiveness of personal safety app, little or no prior research concerning the subjective user experience of personal safety apps exists. To fill this gap in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features of personal safety app on the market, while also endeavoring to understand the user’s perceptions, feelings and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m.
This study focuses on apps that implement real-time monitoring service using location tracking, which usag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looks at personal apps designed to enhance women’s pedestrian safety by using user data as follows. First, overview and function of eight target apps that fall within this research scope are reviewed through feature analysis. Second, user ratings analysis of six apps, freely available on Google Play, is conducted. Last, the apps are subjected to comprehensive qualitative analyses, consisting of word frequency analysis, sentim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ature analysis shows that most apps provide real time monitoring and emergency notification to friends or family. Some apps are found to offer differentiated services, such as video streaming and geofencing. Second, rating analysis indicates that all six apps received a reasonably high cumulative average rating of over 3.5 out of 5. Word frequency analysis shows the importance of physical configurations (CCTV, control center, mobile phones), app features (safe-return home, emergency reporting, SOS calls, scouts), and crime related keywords (criminal, risks situation, and emergencies). Thematic analysis reveals that users are satisfied with safety, useful features and easiness to use, while they are dissatisfied with its inaccessibility due to cost and technical issues, such as problematic operation and battery drain.
The case study finds that Ansimi, the public app develop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unique in providing CCTV-linked safe-return home services together with offline safe-return home services. The Ansimi app prevents crime by providing a monitoring service linking offline scout service, CCTVs and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As a consequence, response to crime can be immediate after an emergency request is received. For private apps, Ansimi’s can serve as a benchmark for providing real-time monitoring service and direct report service to police through greater public-private cooper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