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도시는 그 도시만의 창조적이고 고유의 가치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 내외적으로 도시 이미지를 제고하고, 시민 삶의 질적 향상을 꾀하며, 지속적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57137
서울 :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공공디자인 , 2014. 8
2014
한국어
서울
vii, 121 p. ; 26 cm
지도교수: 맹형재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의 도시는 그 도시만의 창조적이고 고유의 가치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 내외적으로 도시 이미지를 제고하고, 시민 삶의 질적 향상을 꾀하며, 지속적으...
오늘날의 도시는 그 도시만의 창조적이고 고유의 가치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 내외적으로 도시 이미지를 제고하고, 시민 삶의 질적 향상을 꾀하며, 지속적으로 사회, 문화, 역사적으로 발전하는 도시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동시에 도시의 가치와 미래 비전을 느낄 수 있는 정체성을 가지기 위해 많은 관심과 지원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고도 도시는 일반적 도시와 차별화된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내포하고 있어 도시의 가치성 및 독특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고도 도시는 도시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다양한 실험 및 행위 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공공 디자인으로서 도시 공간 및 도시 이미지의 인식 시발점이 되고 도시민 및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공공가로시설물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도 도시들에 설치된 공공가로시설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고도 도시인 부여의 공공가로시설물이 갖추어야 할 특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고도 도시로서 부여의 정체성 확립 및 이미지 향상과 도시 공간의 질적 수준을 향상 시켜 주고 궁극적으로 도시의 경쟁력을 갖추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고도 도시에 있어 공공가로시설물 디자인은 도시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가치 구현의 의미가 크다. 역사문화적 과거와 현재의 도심을 잇는 가교 기능으로서 도시의 공간적 구성 역할을 하는 것이다. 고도 도시로서 역사문화적 유적지가 산재해 있는 도심속에 근대화를 통한 현 도심의 이질적 구성을 연계시켜 주는 요소적 역할로서 공공가로시설물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구성 요소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고도 도시 및 공공가로시설물에 대한 개념 및 구성 요소 등을 연구하였고, 고도 도시들 및 특성을 같이 하는 공간들을 직접 조사하고 연구 논문 등을 통한 사례 연구로 이루어 졌다.
고도 도시의 선정 기준은 국내의 경우 고도보존특별법이 정하는 도시로 정했으며, 이 고도 도시들을 바탕으로 연구하였으며, 사례의 질적 우수성을 위해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역사문화공간을 추가로 연구하였다. 해외의 경우도 역사문화도시로서 고도 도시의 성격을 가지는 대표 도시를 연구하였다.
도시의 고유성과 정체성이 중요한 가치이며, 도시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고자 하는 고도 도시에 있어 공공가로시설물을 분석한 결과 특성과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이루어 져야한다. 고도 도시의 역사. 문화. 사회. 경제적 특성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그 도시만의 자기다움이 내포되어야 하며, 고도 도시로서 다른 도시와 비교하여 우월성 및 독특성이 내포되어 있는데 이런 기대감을 충족시켜야 한다.
둘째, 디자인의 가치성이 내포되어야 한다. 사랑받는 디자인으로 단순한 시설물의 차원을 벗어나 오랫동안 지속 가능한 디자인으로 의미성 부여를 통한 도시의 상징화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 유무형적 역사적 시간을 이어갈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전통성이 있어야 한다. 도시의 역사. 문화의 유물, 유적, 재료, 기술 등의 계승을 구현해야 한다.
넷째, 도시 요소들과의 조화 위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 과거, 현재, 미래와의 조화. 주변공간과 시설물간 및 인간과의 조화 및 연계가 이루어 져야 하며, 주변 환경과 색채, 형태의 어울림 속에서 기능적 요소와 상징적 요소 등 모든 상호관계간의 배분 및 효율성을 지켜야 한다.
다섯째, 도시의 자원 요소 활용 및 가치성 지원 아래에서 예술적 조형미로 승화할 수 있는 미적 추구를 표현한다. 이는 기술적 , 정신적 요소의 혼합을 통한 예술미를 가져야 한다.
여섯째, 공공가로시설물의 새로운 기능성 추구로 고도 도시 인식 및 체험 요소 가미로서 편의 및 안정성 차원의 공공가로시설물에서 시각, 촉각, 등을 통한 디자인 컨셉의 도시 이해 및 교육의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